지난 4월 21일 (목) ~22일 (금) '2022 노동안전보건실무학교'가 열렸다. △ 정태진 EHS프렌즈 대표이사의 '위험성 평가 제대로 하기 △ 최명선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실장 '중대재해기업처벌법' △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의 '유해물질과 직업병' △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의 '감정노동과 직장내괴롭힘' 등의 강의가 진행됐다. 40여명의 참가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산업단지 노후설비 안전관리특별법 제정 추진단
지난 3월 30일 (수) 양재동 SPC본사 앞에서 '산업단지 노후설비 안전관리특별법 제정 추진단'을 발족식이 열렸다. 일과건강과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충남지부, 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강은미 국회의원, 전남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등이 함께 했다.
지난 4월 22일 (금)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철도 지하철 노동자들의 산업재해 현실과 과제 국회토론회'가 열렸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토론자로 참여해 궤도노동자의 안전보건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로 △지하 침실 지상 이전 △지하공간 공기질 관리 전략 마련 △교대제 교번제 설계 안정화 △2인1조 작업 세부화 △철도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안전보건 훼손 영역 제거 등 5가지를 제시했다.
2022 시민활동가 워크숍
지난 4월 5일 (화)~14일 (목) '2022 시민활동가 워크숍'이 진행됐다. 어린이, 여성노동자,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유해화학물질 반대운동과 건강한 사회를 위한 대안을 논의했다. 2022년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지난 3월 31일 (목)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금융산업공익재단과 함께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안전한 아시아 EDC Free ASIA' 국제 컨퍼런스를 열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2021년부터 말레이시아, 네팔, 방글라데시,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등 8개국 10여 개 NGO들과 일상 속에 환경호르몬을 확인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공동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아시아 공동 노력 활성화 방안 토론이 진행됐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생활 속의 환경호르몬 뿐 아니라 맹독성 농약, 광산과 지역사회 중금속 오염 등의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와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2월 25일 (금)~26일 (토) 이틀에 걸쳐 2022 노동자 건강권 포럼이 진행됐다. 올해로 11번째인 노동자 건강권 포럼은 중대재해처벌법 원년을 맞아 새 정부의 안전보건 과제를 살펴보고, 2세 산재, 노동자의 정신건강, 직업성‧환경성 암, 이주노동, 여성노동, 화학물질 알권리 등에 대해 함께 토론했다.
지난 12월 9일 김용균 3주기를 맞아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김용균특조위 이행점검 보고회’가 열렸다. 정부의 발전 산업 안전강화 방안 이행점검보고서가 실제 작업 현장과는 다르다며 알맹이 없는 보고서라고 비판했다. 김용균특조위 이행점검단 민간위원으로 참여한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은 '현장안전 개선과 향후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할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11월 25일(목) 오후 2시 서대문 프란치스코회관에서 '플랫폼 노동자 건강돌봄 사업 평가토론회'가 진행됐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플랫폼 노동자 노동환경 개선 과제와 전망'에 대해 발제했다. 토론회는 유튜브 채널 'Green Hospital 녹색병원'에서 생중계 됐다.
지난 12월 3일 (금) 정오 12시 ‘유자학교 어린이안전마크 공모전’ 시상식을 열고 수상작을 발표했다. ‘유자학교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이 유해물질 안전제품에 부착할 안전마크를 직접 만드는 공모전이다. 유자학교 프로그램은 아름다운재단과 (사)일과건강,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이 함께 한다.
지난 11월 16일 (화) 오후 3시 스페이스쉐어 서울중부센터 컨퍼런스A홀에서 백도명 석좌연구위원 위촉 기념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대한민국 새 정부에 바라는 안전보건 정책'을 주제로 진행됐다. 백도명 석좌연구위원은 서울대 보건대학원 퇴직 후, 지난 9월부터 녹색병원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일원이 됐다.
지난 11월 9일 (화) 오전 11시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국내 화장품 내 과불화화합물 분석 및 실태조사 보고'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실태조사는 환경운동엽합,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과 함께 진행했다. 국내 판매 중인 화장품 20개 제품 중 10개 제품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