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03 01:55
이 글은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이성민(173-lsm@hanmail.net) 연구원이 작성하였으며, 일과건강 2006년 4월호에 실렸습니다.
MSDS는 사용하는 제품에 들어 있는 물질 종류와 함량, 독성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취급시 주의사항, 화재나 응급상황 시 대처방안 등의 내용을 전달하는, 노동자 건강 보호를 위한 좋은 수단이다. 또한, MSDS는 작업환경측정시 측정대상 물질 선정, 노출된 물질의 우선순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측정시 이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장의 작업환경을 평가하면서 MSDS 정확성에 의구심을 갖게 된다. △함량이 100%를 넘는 사례 △반대로 함량이 100% 보다 적은 사례 △함유된 물질명을 단일 물질로 표기하지 않는 사례 △영업비밀이라고 표기된 사례 등에서 일부 MSDS가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연구소는 MSDS가 부정확한 일부 제품을 분석했다. MSDS에 표기된 물질명 및 함량을 분석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심각성을 알게 되었다. 사례를 통해 심각성을 현장 노동자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사례 1. MSDS에 표기된 물질 함량이 100%가 안 되는 사례
A사업장에서 사용하는 형광액 MSDS는 아크릴레이트가 25~30% 함유되었다고 표기했다. 그렇다면 아크릴레이트 25~30%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은 무엇일까? 메탄올로 희석해 분석한 결과, 사용하는 형광액에는 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2-옥세파논,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알 수 없는 물질의 상대적 함량이 29.13% 함유되어 형광액을 공정에서 사용하는 온도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시켰을 때 발생하는 물질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심되는 물질인 비닐아세테이트가 45.88%(상대적 함량) 함유되었다(표1). 상대적 함량은 분석을 통해 검출된 화합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많고 적음을 비교기 위해 계산한 값으로 검출된 물질 중 해당 물질의 퍼센트 양이므로 절대적인 함량은 아니다.
MSDS 정보 |
메탄올 희석 분석 |
가열 분석 | |||
물질명 |
함유량 (%) |
물질명 |
상대적 함량(%) |
물질명 |
상대적 함량(%) |
아크릴레이트 |
25 ~30 |
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
6.11 |
아세톤 |
20.03 |
2-옥세파논 |
14.76 |
이소프로판올 |
16.65 | ||
글리세롤 트리마세테이트 |
21.48 |
메틸아세티이트 |
6.83 | ||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18.66 |
터셔리 부탄올 |
3.63 | ||
디메틸벤조카인 |
9.86 |
비닐아세테이트 |
45.88 | ||
알 수 없는 물질 |
29.13 |
메틸에틸케톤 |
0.99 | ||
에틸아세테이트 |
4.78 | ||||
노말부탄올 |
1.21 |
사례 2. MSDS에 표기된 물질명을 단일 물질로 표기하지 않은 경우
B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속건 희석제’ MSDS는 파라핀, 나프테닉, 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 100%라고 표기되었다. 파라핀, 나프테닉, 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은 파라핀, 나프테닉, 방향족을 가진 모든 탄화수소 물질이 혼합되어 있다는 말인데 수백 또는 수천 가지 물질 중 도대체 어떤 물질이 희석제에 함유되어 있다는 말인가? 분석한 결과 속건 희석제에는 발암성 물질인 벤젠이 0.13%, 톨루엔 15.30%, 노말헥산 3.89% 함유되어 있었다(표2).
).
MSDS 정보 |
분석결과 | ||
구성성분 |
함유량(%) |
구성성분 |
함유량(%) |
파라핀, 나프테닉, 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 |
100 |
벤젠 |
0.13 |
톨루엔 |
15.30 | ||
에틸벤젠 |
0.99 | ||
크실렌 |
2.86 | ||
이소프로필벤젠 |
0.01 | ||
프로필벤젠 |
0.08 | ||
노말헥산 |
3.89 | ||
헵탄 |
0.83 | ||
옥탄 |
1.23 | ||
노난 |
0.37 | ||
시클로헥산 |
4.67 | ||
메틸시클로헥산 |
2.80 | ||
기타 나프테닉 화합물 |
66.84 |
사례 3. 함유량이 불분명하고 영업비밀이라고 표기한 경우
C사업장에서 사용하는 페인트 MSDS는 함유된 물질 함량이 100%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불분명하다. 그리고 영업비밀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함량이 정확히 얼마이고 도대체 영업 비밀이라고 하는 물질이 뭘까? 알키드 수지, 미네랄 스프릿, 자당, 탄산칼슘은 분석할 수 없다. 따라서 노말헥산, 크실렌, 영업비밀로 표기된 유기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MSDS에는 노말헥산이 15~25%라고 표기되었으나 분석 결과 1.08%로 확인되었다. 또한, 크실렌이 0-10% 함유되었으나, 분석 결과 4.22%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영업비밀로 표기한 물질은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등이었으며, 더욱이 벤젠이 0.16% 함유되었다(표3).
MSDS 정보 |
유기화합분석결과 | ||
구성성분 |
함유량(%) |
구성성분 |
함유량(%) |
알키드 수지 |
33-43 |
벤젠 |
0.16 |
노말헥산 |
15-25 |
노말헥산 |
1.08 |
크실렌 |
0-10 |
크실렌 |
4.22 |
미네랄 스프릿 |
25-35 |
헵탄 |
2.41 |
자당 |
1-11 |
메틸시클로헥산 |
2.40 |
탄산칼슘 |
0-8 |
옥탄 |
2.32 |
영업비밀 |
0-10 |
노난 |
2.08 |
에틸벤젠 |
2.05 | ||
시클로헥산 |
1.54 | ||
톨루엔 |
1.01 | ||
기타 |
- |
위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정확한 MSDS 제품을 분석한 결과 MSDS에 표기된 물질 함량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MSDS에 표기된 물질외의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발암물질 또는 발암의심물질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했다.
정확한 MSDS라 함은 함유된 물질을 단일물질명으로 표기하고 함량을 모두 합했을 때 100%가 되는 것이다. 모든 제품의 MSDS가 부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일부 MSDS는 사례에서 본 바와 같이 함량이 부정확하던가 물질명이 단일물질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MSDS는 제조업체에 연락해 정확한 MSDS를 요구해야 한다. 경험으로 보아 정확한 MSDS를 제조업체에 요청하면 일부 수정된 MSDS를 제공하긴 하지만 영업 비밀이라고 표기된 것은 대외비이므로 알려줄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노동자 건강권과 알권리를 위해 제조업체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야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 분석기관들은 제품을 분석해 함유된 물질과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기기를 갖추고 있다. 제조업체 협조가 없을 때에는 본 연구소 또는 다른 분석기관에 의뢰해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자, 지금 우리 사업장에서 보고 있는 MSDS를 한 번 살펴보자.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내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알려주고 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