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건강에 대한 시각 차이 ?

2012.03.03 00:15

조회 수:5840

c_20081025_168_200.jpg

 

핀란드 정부가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서, 노동자 건강권에 대한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수준차이를 너무나도 실감하였습니다. 함께 읽어주십시오.

 

 

핀란드 노동자, 직장 분위기가 나빠져 참을 수 없을 경우

병가를 쓸 권리가 있다고 생각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사업주가 직장 분위기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 정부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의 반 정도는 직장분위기가 안좋아져서 참을 수 없을 경우 병가를 쓰는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대답하고 있었다.


핀란드의 보건복지부에서 인터넷으로 3만 명 이상에게 조사한 결과가 공개되었다. 90 %의 응답자들은 직장 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해서 관리감독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약 반 정도는 직장내 분위기가 안좋아져서 참을 수 업을 경우 노동자들은 병가를 낼 권리가 있다고 보고 있었다. 한편, 노동자들이 충분한 이유 없이 너무 많이 결근할 경우 사업주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응답도 92 % 정도로 나타났다.

 

글 및 사진 출처 : YLE, 2007. 12. 7.

 

 

 

이런 것도 정부가 나서서 조사하는 나라가 있다는 것이 우리에게는 놀라울 따름입니다.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권리는 “죽지 않는 것” 수준에서 형성될 것이 아니라, “힘들지 않는 것” 수준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을 다시 깨닫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49 법규 시행 1년 만에 획기적으로 근골격계질환자 감소하고 있다고? file 2012.03.03
48 여성의 노동권 확보, 남성의 육아 참여, 보육서비스 확대의 삼박자 2012.03.03
47 화학물질 아세트산이 웰빙 식초? file 2012.03.03
46 업무상 과로와 과로사 [51] 2012.03.03
45 신이 내린 선물 ‘불멸의 섬유’에서 ‘죽음의 섬유’로 전락한 석면 [5] file 2012.03.03
44 우리 민족끼리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생각이 들더이다 file 2012.03.03
43 소사장에게도 산재보험이 적용될까? 2012.03.03
42 기본만 지켜도 예방할 수 있는 이주노동자의 산업안전실태 file 2012.03.03
41 그들을 위한 훈장은 없는가? file 2012.03.03
40 2008년부터 도입될 화학물질 분류․표지의 세계조화시스템 [2] file 2012.03.03
39 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는 음식 이야기 2012.03.03
38 포괄산정임금제 하에서의 평균임금 산정방식 2012.03.03
37 목소리로 유리잔을 깬 김종서 - 진동의 이해 [71] file 2012.03.03
36 농업인의 근골격계질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file 2012.03.03
35 관행적인 휴일대체제도의 적법성 file 2012.03.03
34 쌈박한 MSDS를 꿈꾸다 file 2012.03.03
33 사용하는 MSDS 정보 정확한가? file 2012.03.03
32 영국노동조합, 장시간 노동 증가를 경고하다 [3] file 2012.03.03
31 안전과 건강, 국적 따지지 말아야 file 2012.03.03
30 이명박 정부의 안전보건 규제완화, 문제점과 대응방향 2012.03.03
29 호주의 시멘트 공장에서 대대적인 석면관련 조사연구 시작 [1] file 2012.03.03
28 『암 : 101가지 예방책』발간 file 2012.03.03
27 석면문제, 종자관심 모집합니다 file 2012.03.03
26 2008 산업재해 시험표본조사 시작 file 2012.03.03
25 서비스 노동자에게 앉을 수 있는 권리를! file 2012.03.03
24 '화재 참사'가 아니라 '산재 참사' 입니다 file 2012.03.03
23 도요타 자동차 노동자의 미망인, 6년 법정 투쟁 끝에 과로사를 인정받다 file 2012.03.03
22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노동자 파업 file 2012.03.03
» 노동자 건강에 대한 시각 차이 ? file 2012.03.03
20 캐나다의 석면수출 현황 자료 공개 file 2012.03.03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