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 101가지 예방책』발간

2012.03.03 00:55

조회 수:6814

c_20081025_190_222.jpg

 

캐나다에서 『암 : 101가지 예방책』이라는 책이 발간되었습니다. 비록 한글로 되어 있지 않아 아직 현장에서 읽을 수는 없으나, 책을 소개하는 글이 너무도 설득력있는 것 같아 소개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해외 웹사이트에서 책을 소개한 글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이 책은 암의 위험에 대하여 쉽고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집과 학교, 지역, 그리고 직장에서 발암물질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의 위험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 자신과 우리의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 세상을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안내해준다. 이 책은 직업성 암을 예방하는 지침서는 아니다. 전체 암에 대한 얘기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기오염, 식품에 잔류한 농약, 물 속의 화학물질 등 대부분의 위험은 작업장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두 배로 발암물질을 먹게 된다. 집에서도 먹고 일터에서도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암은 예방 가능한 것이라는 낙관적 시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 페이지마다 실용적 충고들이 가득하며, 성공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책을 읽는 독자는 가족과 지역사회, 동료 노동자, 그리고 미래의 후손들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서로 어떻게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하는지 얘기하고 보여준다. 따라서 노동조합에게도 이 책은 유익할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작업장의 발암물질 위험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노동조합이라면 이 책을 통하여 실현가능한 수단을 얻게 될 것이다. 노동조합의 안전보건대표자 및 상근간부의 책상위에 이 책은 꽃혀 있을 가치가 충분히 있다."

 

어떤가요? 빨리 우리나라에서도 읽을 수 있으면 좋겠죠?

번호 제목 날짜
49 법규 시행 1년 만에 획기적으로 근골격계질환자 감소하고 있다고? file 2012.03.03
48 여성의 노동권 확보, 남성의 육아 참여, 보육서비스 확대의 삼박자 2012.03.03
47 화학물질 아세트산이 웰빙 식초? file 2012.03.03
46 업무상 과로와 과로사 [51] 2012.03.03
45 신이 내린 선물 ‘불멸의 섬유’에서 ‘죽음의 섬유’로 전락한 석면 [5] file 2012.03.03
44 우리 민족끼리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생각이 들더이다 file 2012.03.03
43 소사장에게도 산재보험이 적용될까? 2012.03.03
42 기본만 지켜도 예방할 수 있는 이주노동자의 산업안전실태 file 2012.03.03
41 그들을 위한 훈장은 없는가? file 2012.03.03
40 2008년부터 도입될 화학물질 분류․표지의 세계조화시스템 [2] file 2012.03.03
39 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는 음식 이야기 2012.03.03
38 포괄산정임금제 하에서의 평균임금 산정방식 2012.03.03
37 목소리로 유리잔을 깬 김종서 - 진동의 이해 [71] file 2012.03.03
36 농업인의 근골격계질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file 2012.03.03
35 관행적인 휴일대체제도의 적법성 file 2012.03.03
34 쌈박한 MSDS를 꿈꾸다 file 2012.03.03
33 사용하는 MSDS 정보 정확한가? file 2012.03.03
32 영국노동조합, 장시간 노동 증가를 경고하다 [3] file 2012.03.03
31 안전과 건강, 국적 따지지 말아야 file 2012.03.03
30 이명박 정부의 안전보건 규제완화, 문제점과 대응방향 2012.03.03
29 호주의 시멘트 공장에서 대대적인 석면관련 조사연구 시작 [1] file 2012.03.03
» 『암 : 101가지 예방책』발간 file 2012.03.03
27 석면문제, 종자관심 모집합니다 file 2012.03.03
26 2008 산업재해 시험표본조사 시작 file 2012.03.03
25 서비스 노동자에게 앉을 수 있는 권리를! file 2012.03.03
24 '화재 참사'가 아니라 '산재 참사' 입니다 file 2012.03.03
23 도요타 자동차 노동자의 미망인, 6년 법정 투쟁 끝에 과로사를 인정받다 file 2012.03.03
22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노동자 파업 file 2012.03.03
21 노동자 건강에 대한 시각 차이 ? file 2012.03.03
20 캐나다의 석면수출 현황 자료 공개 file 2012.03.03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