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5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과건강은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사람들' 화학물질 주민감시단을 모집, 화학물질에 대한 주민알권리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알권리법(조례) 제정운동'에 나선다.


작년 9월 구미불산사고 이후 잇따른 화학물질 화재,폭발,누출사고로 인한 주민불안과 정부감시감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나오는 대책은 미봉책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고예방대책 중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감시,소통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지역사회알권리법'을 제정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다.


알권리법 제정의 목적은 노동자와 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생산저장사용폐기 현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지역사회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노동자와 주민이 참여하고 동의하는 지역사회의 비상사태에 대한 대응계획 수립 및 근본적 지역안전을 위한 고 위험물질 및 고독성물질 저감대책 논의의 촉발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알 권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첫째지역사회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규모에 대한 알권리로 지역별 사업장별 화학물질 유통량 조사결과 공개

둘째지역사회로 배풀되어 환경과 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에 대한 알권리로 지역별사업장별 배출량 조사결과 공개,

셋째로는 지역사회에 위해를 가할 수 있고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의 현황에 대한 알권리 및 사고발생시 비상대응계획 수립에 대한 참여.

기타 지역사회의 환경과 건강 및 안전의 보호를 위하여 노동자와 주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추가내용(청구권소환권,공동조사권등이다 이러한 내용을 지자체 조례안으로도 마련하여 지자체(여수,양산 등)의 조례제정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일과건강은 화학물질 사고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알권리법안(조례안마련을 위한 내부 워크샵을 진행하여 입법안(조례안)과 법(조례)제정 추진계획을 세우고, 마련된 초안을 바탕으로 10월 관련단체, 국회의원들이 참가하는 공개 워크샵을 통해 제정을 위한 참여단체를 확대,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완성된 법안은 10월 지역사회 알권리법 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거쳐 11월부터 법제정을 추진한다.

또한 알권리법 제정을 위한 캠페인사업으로 주민이 나서야 기업이 바뀌고 지역이 안전해집니다화학물질 주민감시단(이하 화학물질감시단)‘ 활동계획을 마련하고 함께 활동할 단원 공개모집을 진행 중이다.


'화학물질 감시단'의 주요 3가지 활동영역으로는 첫째, 화학물질 정보공개 청구소송운동(지역별 화학물질 유통량 및 배출량 조사결과), 둘째 지역별 사업장 모니터링운동(사업장별 화학물질 저감대책, 비상대응계획 모니터링/지역별 화학물질 위험지도 그리기), 셋째, 지역별 감시활동 정기후원운동(일과건강 건생지사 정기후원(월 5천원 CMS)/지역사회알권리법 제정 등 SNS홍보) 등이다.


공개모집 참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신청 기간 : 9월부터 10월 발족식 전까지.

2) 신청 절차 : 신청서(첨부파일) 다운받아 작성 후 발송(팩스 02-490-2099, 메일 hjsoon9@hanmail.net)

3) 발족식 기자회견 : 10월 말, 광화문광장

4) 문의전화 : 일과건강 02-409-2091 주민감시단 신청서(수정).hwp


건생지사단원모집_서울.jpg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원한다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창립총회 화평법 토론회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원한다”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창립총회 및 화평법 토론회가 지난 11월 12일 화요일, 국회의원회관 2층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1부 창립총회와 2부 화학물질평가및등록에관한법률(이하 화평법) 토론회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1부 순서인 ‘발암...
    Date2013.11.25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2. 고독성물질 저감의 성공 사례

    고독성물질 저감의 성공 사례 - 발암물질국민행동, 금속노조, 제조기업 간의 유해물질가이드라인협약에 대하여 김신범 실장(노동환경건강연구)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수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서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암물질 관련 사업을 추진하였다. 여러 전문가와 함께 발암물질목록작성위원회를 운영하여 2010년에 ‘발암물질목록1.0’을 공표하였고, ...
    Date2013.10.29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주민이 나서야 기업이 바뀌고 지역이 안전해집니다.

    일과건강은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사람들' 화학물질 주민감시단을 모집, 화학물질에 대한 주민알권리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알권리법(조례) 제정운동'에 나선다. 작년 9월 구미불산사고 이후 잇따른 화학물질 화재,폭발,누출사고로 인한 주민불안과 정부감시감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나오는 대책은 미봉책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
    Date2013.09.04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자료집첨부]전국 주요산단 화재,폭발,누출 사고은폐현...

    지난해 9월부터 잇따라 터진 화학물질 화재폭발누출사고의 심각성은 사회적 이슈를 형성하고 있다. 갑작스럽게 급증한 화학물질사고 소식에 국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급기야 정부는 지난 5월22일 ‘중대 화학사고 예방대책’을 발표하였다. 그렇다면 정말 기업의 안전보건관리가 갑자기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사고가 이렇게 많아진 것일까! 아니면 원래 많...
    Date2013.06.05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5. "여수폭발과 너무 닮은 현대제철 사고, 그 해결은...."

    여수폭발사고 문제점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방향 토론회 개최 ▲ 여수폭발사고 문제점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방향 토론회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 현재순 5월 14일은 17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온 여수국가산단 대림산업 폭발사고가 난 지 2개월째 되는 날이었다. 다음날인 15일, 여수시청에서는 2달이 지난 시점에서 3월 14일 그날의 사고원인과 ...
    Date2013.05.16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