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9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4월 11일(목)~12일(금) 1박 2일 동안 대전 유성유스호스텔에서 '2019 노동안전보건 실무학교'가 진행됐다. 노동안전활동가 및 법률 전문가 등 140여 명이 모여  '죽지 않고 다치지 않고 병들지 않고 일할 권리'를 함께 논했다. 


2019 실무학교_03.JPG


실무학교는 ▷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 : 작업환경관리를 잘하기 위한 톡스프리 사용법 ▷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 근골격계질환 관리 방안 ▷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 : 노동자 정신건강 관리 (감정노동과 직장괴롭힘 예방 매뉴얼) ▷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 : 개정 산안법 주요 내용과 현장에서 활용할 안전보건 체크리스트 ▷ 일과건강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원칙과 모의 산보위 ▷ 유성규 노무사 : 산재보상보험법과 바뀐 산재법 ▷각 단위 2019 의제 공유 순으로 진행됐다. 


첫 발제자로 나선 김신범 부소장은 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툴, 톡스프리(toxfree.kr)를 참가자들과 함께 실습했다. 김신범 부소장은 "톡스프리를 이용하면 유럽 기준 발암물질을 확인할 수 있고,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독성물질을 다른 물질로 대체할 방안을 알려준다"며 무엇보다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도에 맞춰 화학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톡스프리를 이용하면 각 사업장 특성에 맞춰 화학물질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노동자가 많은 사업장에서는 톡스프리를 이용하여 생식독성물질을 파악하고, 대체물질을 찾을 수 있다. 


이어 이윤근 소장은 근골격계질환 사업을 제대로 하기 위한 10가지 체크포인트를 제시했다. △ 법으로 보장된 권리가 지켜지고 있는가? (유해요인조사, 작업환경개선, 교육 의무 등) △ 아프면 아프다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가? △ 근골 사업에 노동조합이 주관, 참여하고 있는가? △ 조합원을 주기적으로 만나는 체계가 있는가? △ 질환 의심자를 조기에 찾아내는 체계가 있는가? △ 유해요인 조사는 11개 부담작업 외에 작업자가 힘들다고 생각하는 다른 작업들도 포함하고 있는가? △ 조합 스스로가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는가? △ 근골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현장 활동가들이 있는가? △ 이러한 모든 활동들이 일상화되고 공식화되어 있는가? 등이다.

감정노동자 보호규제는 2018년 10월 18일 부터 시행 중이며, 직장내괴롭힘 금지규제는 올 7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감정노동과 직장내괴롭힘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뉴얼이 필요하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매뉴얼은 구체적이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 폭언, 폭행, 성희롱 등의 직접적 폭력은 무조건 즉시 피할 수 있도록 한다. △ 문제상황에 대응할 전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 피해자 보호 및 적극적 예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등의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실무학교는 신규 안전보건 활동가 및 보수 교육이 필요한 간부를 대상으로 활동력을 강화하고 안전보건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 매년 4월 진행된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와 일과건강이 공동 주최한다.


?
  • ?
    롯비 조직부지회장 김대건 2019.04.26 10:36

    올해 교육을 잘 받았고 만족도도 높았습니다. 내년 교육도 기대가 됩니다.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2019 노동안전보건 실무학교

    지난 4월 11일(목)~12일(금) 1박 2일 동안 대전 유성유스호스텔에서 '2019 노동안전보건 실무학교'가 진행됐다. 노동안전활동가 및 법률 전문가 등 140여 명이 모여 '죽지 않고 다치지 않고 병들지 않고 일할 권리'를 함께 논했다. 실무학교는 ▷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 : 작업환경관리를 잘하기 위한 톡스프리 사용법 ▷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
    Date2019.04.19
    Read More
  2. 2019 노동자 건강권 포럼

    지난 2월 22~23일 서울 용산구 삼경교육센터에서 "안전보건의 새로운 30년을 열자"라는 주제로 '2019 노동자 건강권 포럼'이 열렸다. 일과건강 등 안전보건 관련 단체들이 참여한 2019 노동자 건강권포럼 공동기획위원회가 주관했다. 노동안전보건 활동가·전문가 약 200명이 함께했다. 전체세션 '안전보건의 새로운 30년을 열자'의 첫 발제자로 나선 최명선...
    Date2019.03.25
    Read More
  3. 2019 겨울학교

    지난 2월 13일(수)~27일 (수) 3주간 총 6회(각 2시간)에 걸쳐 2019 겨울학교가 진행됐다. 장소는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겨울학교는 활동가, 노동조합 조합원, 자원활동가 등이 모여 유해물질 관련한 제도와 선행 연구를 공부했다. 원진직업병관리재단과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이 공동 주관했다.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1강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Date2019.02.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평가와 향후...

    이른바 '김용균법'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지난 1월 15일 공포됐다. 일각에서는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1월 31일 (목) 오전 10시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토론회가 진행됐다. 법안 자체에 대한 평가 뿐 아니라 앞으로 어떤 과제를 가지고 어떻게 ...
    Date2019.01.31
    Read More
  5. 마트여성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쉴 권리 찾기 토론회

    마트여성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쉴 권리 찾기 토론회 지난 1월 29일 (화) 오후 3시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마트여성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쉴 권리 찾기 토론회'가 열렸다. 국내 3대 대형마트 현장노동자들의 증언을 시작으로 노동환경 실태조사와 쉴 권리 보장 제도화의 필요성에 대한 발제와 토론으로 이어졌다. “휴게실이 너무 멀고 의자도 없어서 L카(...
    Date2019.01.30 Category서비스유통 노동자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