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_20110926_2085_4770.jpg

                         시민사회, 환경단체들은 고엽제 매립범죄에 대한 진상조사와 사후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부 당국과 주한미군측은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빈축을 사고 있다. ⓒ 한국진보연대

 

주한미군기지에서 발암물질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검출됐다는 소식입니다. 수질기준의 1000배에 육박하는 양이 검출되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발암물질목록 V1.0에 따르면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은 2등급 발암물질,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은 3등급 발암물질입니다. 주로 세척제, 세탁용제에 포함되어 있는데요.백혈병에 걸린 삼성반도체 노동자들도 트리클로로에틸렌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포함된 반도체 세척제를 공장에서 썼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임상혁 소장은  "TCE와 PCE는 물보다 무겁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층을 형성해 밑에 깔린 채로 있다"며 "지하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펌프를 작동하면 밑에 깔려 있던 TCE, PCE가 뒤섞여 가정에서 그대로 배출될 수 있다"며 "고엽제 매립이 밝혀지지 않으면 여타 반환미군기지처럼 미군이 환경오염에 따른 책임을 회피하고 시간이 지나면 슬쩍 발을 뺄 공산이 크다"고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캠프캐럴 오염된 지하수를 식수로?…수질기준 960배 초과 (메디컬투데이 9월 16일)


임상혁 소장 “밑에 깔려 있던 TCE, PCE가 뒤섞여 가정에서 그대로 배출될 수도 있어"

 

"괜찮다"던 미군기지, 알고 보니 발암물질 심각(SBS 9월 20일)


유기화합물인 TPH가 기준치의 24배, 지하수에서는 역시 발암 물질인 PCE가 기준치의 5배나 검출됐습니다.

 

이미경 의원 “삼성전자 산재보험요율, 교사의 절반도 안된다” (모닝뉴스 9월 21일)


삼성전자 산재보험요율 3.5%, 교육서비스업 8%, 부동산임대업 10%

 

"생전에 남편이 '가스 새나와 죽겠다'고 했는데…"(프레시안 9월 20일)


반도체 산재 유족 "근로복지공단이 산재 막으려 항소…노동부는 뭐하나?"


 

▶현장

 

"진짜 졸릴 땐 입에 손가락 넣어 헛구역질해요" (오마이뉴스 9월 15일)


['과로사회' 한국 ①] 편의점 배송기사·알바생의 심야노동 실태

 

[낮은목소리] 재떨이 던져도 멱살 잡아도…“사랑합니다, 고객님”(한겨레 9월 15일)


 

▶사건, 사고


폭발사고 현대EP 울산공장장 구속수사 요청 (연합뉴스9월 23일)


지난달 폭발사고 현대EP의 울산공장장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혐의로 구속한 뒤 수사요청


▶안전,보건

철도사고, 코레일의 무리한 인력 감축이 원인 (뉴데일리 9월 22일) 

 


신규노선 증가에도 5천115명의 정원감축, 2천958명의 현장정비인력 축소 및 징계남발

 

<현대차 노사 조합원 건강권 확보에 '올인'> (연합뉴스 9월 15일)

 


공장에 자동제세동기ㆍ혈압계 설치, 교통사고 예방대책도 수립

 

포스코건설 5년간 과로사 9명  (내일신문 09월 23일)

 


국내기업 최다 … 상위 10개사중 건설사가 5곳

 

“한타 금산공장 분진·소음 고통” (중도일보 9월 14일)


지난달 정전사고에 오염물질 유출… 인근주민 재발방지대책 요구


 

▶산재,직업병


"해마다 314명 과로사··주로 40대" (아시아경제 9월 20일)


2006년부터 5년간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 과로사 사망자는 1572명

고위임직원 과로사 위험 사무직 종사자 2배"  (건설경제신문 9월20일) 


고용부 통계 매년 과로사 근로자 314명, 40대 남성 가장 많아 

 

 

▶유해물질


KTX 이용객, 발암물질 오염된 공기 마셨다 (아시아경제 9월 23일)

 


2005년 이후 공기순환장치 ‘덕트’ 청소 안 해…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등 오염

 

조승수, “지하철 역사 방독면에 발암물질”(참세상 9월 23일)

 

 

민방위용 방독면 320만여 개 모두 발암물질 크롬(Cr) 성분

 

어린이집·유치원서 유해물질 초과 검출 (KBS 9월 20일)


1급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


 

▶제도 및 정책


민주노총 "특수고용직 산재적용 예외조항 삭제하라" (매일노동뉴스 9월 20일)


노동부 "예외조항 좁혀 무분별한 적용제외 막겠다"


최저가낙찰제 확대 불러올 3대 재앙은? (건설경제신문 9월 21일)


“저가수주가 만연, 건설업계와 협력사는 물론 건축자재업체, 설계업체, 건설근로자의 초죽음 사태를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