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_20110823_2061_4718.jpg

                             직업성 암환자 찾기 운동 ⓒ 금속노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근무하다 백혈병으로 숨진 노동자에 대해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재해를 인정했습니다. 기아차에서 발암물질에 따른 백혈병이 산재로 인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지난 3월 숨진 조 모씨는 89년 12월 기아차에 입사해 21년 가까이 도장공장에서만 일했다고 합니다.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 64곳의 도장공장 중에서 절반 정도가 발암물질이 포함된 원료를 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금속노조는 '직업성 암환자 찾기 운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암 사망’ 기아車 근로자 첫 산재 판정 (경향신문 8월 22일)


광주공장 도장1부에 근무하다 백혈병에 걸려 조모씨(34)에 대해 업무상 재해를 인정

 

기아차서 첫 발암물질에 의한 산재인정 (매일노동뉴스 8월 23일)


복지공단 “백혈병과 도장공장 업무 인과관계 있다”


금속노조, ‘직업성 암’ 집단 산재신청 접수 (메디컬투데이 8월 17일)


4월에 이어 두번째…"사업장 발암물질로 인해 암 걸려"

 

 

▶연구소


식당아줌마의 싸움 5년…대법 “허리병은 산재다”(한겨레 8월 19일)

 

식당노동자 77%가 골병 대부분 “참거나 자비치료”, 산재 처리는 5%에 그쳐
이윤근 근골격계질환센터 소장 “식당노동자의 일상적인 작업인 식자재 운반, 설거지, 배식 등은 모두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은 작업들”

 

"청소노동자 휴식공간 보장돼야" (뉴시스 8월 17일)


김신범 실장은 "청소노동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건물에 마련돼야 한다"



▶현장

 
노동자는 올빼미가 아니다 (한겨레21 08월 22일)

 

유성기업 노동자 홍완규씨, 죽어서 나가는 동료 보며 ‘주간 2교대’ 요구했다 폐쇄된 직장 
 

산업의학전문의가 삼성전자 노사 소통하게 할까? (매일노동뉴스 8월 19일)


노동부 관계자 "노조가 있으면 산업안전에 도움이 많이 되긴 한다"

 

유성기업 불법 직장폐쇄와 부끄러운 대한민국 (참세상 8월 16일)


3개월가량 지속되고 있는 유성기업의 불법적 직장폐쇄


 

▶사건, 사고

 
STX조선해양 최근 1년간 사망재해만 5건 발생  (매일노동뉴스 8월 22일)


노동부 오늘 산업안전보건 특별감독 들어가

 

방배동 공사현장서 근로자 3명 추락해 부상 (YTN 8월 22일)


방배동 교회보수공사현장에서 46살 김 모 씨 등 3명이 5층 높이에서 떨어져

 

"광양제철 폭발사고, 비정상적 가스압 상승 때문" (연합 8월 19일)


포스코 폭발 사고는 제철 공정 중에 발생하는 배기가스(CO)의 압력 상승 때문


현대EP 울산공장 폭발사고…근로자 8명 중경상 (아시아경제 8월 18일)


8명 중경상 한 명은 생명이 위독


울산 국가산단 ‘화약고’… 시민 불안 고조 (국민일보 8월 18일)


.울산 국가산업단지에서 화재·폭발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 고조


 

▶안전,보건

 
무상급식 주민투표 준비하던 공무원 숨져  (매일노동뉴스 8월 22일)


공무원노조 “오세훈 시장의 정치놀음이 불러온 과로사”


 

▶산재,직업병


'사망자만 94명', 산재도시 오명 뒤집어 쓴 경남 (뉴시스 8월 19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0.5%(22명)나 늘어나

 

법원 "산재로 투병 시달리다 자살, 업무상 재해로 인정해야" (시사서울 8월 21일)


유족 "근로복지공단이 진료계획 변경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강제퇴원시키자  이를 비관해 자살"
 

“산재 투병중 자살도 업무상재해”(한겨레 8월 21일)


14년 고통으로 적응장애, 법원 “업무와 인과관계”

 


▶유해물질

 
이번엔 '미군기지 백혈병', 작은 마을서 어린이 두명이… (프레시안 8월 17일)


캠프캐럴 기지 인근 어린이 두 명 백혈병 등 희귀병 발병


 

▶제도 및 정책

 

분배·빈곤 더 악화… “성장 만능 벗어나야”(경향신문 8월 21일

)
산업재해 사망자 수 등의 지표로 평가하는 경제적 안전 항목의 순위는 29위


 

식약청, 영유아 식품 유해물질 기준 강화 (MBC 8월 19일)

 

산재보험 억울한 삭감, 온라인으로 이의제기 (데일리메디 8월 22일)


근로복지공단, 관련 서비스 운영…의료기관 편의성 제고


▶오피니언


[최장집칼럼]장위동 봉제공장의 얼굴 없는 생산자들 (경향신문 8월 22일)


사업자 등록을 할 경우 고용, 산재, 건강, 국민연금과 같은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겠지만,
그보다 그들은 법의 단속과 공권력을 두려워한다.

 

'검은 민들레' 피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프레시안 8월 17일)


환경병 환자가 없는 세상은 곧 우리가 추구하는 녹색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