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3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 기사는 2월 20일(금) 오후3시부터 녹색병원 7층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안전보건 향상을 위한 교육 대안 마련 간담회' 내용입니다. 글과 사진을 인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세요.



c_20090223_655_1340.jpg

간담회에는 연구소와 노동인권회관, 한국노총, 민주노총, 이주노동자가 참여하였다. 간담회 주제는 이주노동자들 안전보건 교육 조직과 방법이었다. ⓒ 이현정




어떻게 조직할지가 젤 어려워


“경제 불황으로 어려운 여건이지만, 오히려 이런 때일수록 교육이 필요하다.”


또 한 가지 어려움은 ‘노동안전보건’ 교육만으로는 이주노동자에게 호기심을 유발할 수 없다는 것. 한국노총도 이런 점 때문에 교육과 공동체 행사를 묶어서 진행했다. 고용허가제, 임금 등 노동법은 현실과 맞물려 호응이 있지만 ‘다쳐야’ 그 의미를 아는 안전보건은 단독으로 관심을 끌기에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군다나 경제가 좋지 않아 이주노동자들이 해고 1순위인 상황은 이들이 자신들의 건강권을 생각할 여유가 더욱 없어졌다. 




c_20090223_655_1341.jpg

산업안전교육을 받은 뒤에 교육의 중요성을 알았다는 아웅틴툰 씨. 그는 교육 기회가 다른 이주노동자에게도 많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 이현정




강의식 벗어나고 소그룹 교육 추진해보자


그렇다고 이주노동자 안전보건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단되어서는 안 되며 이런 시기에 좀 더 적극적으로 이주노동자의 건강권을 챙겨야 한다는 얘기가 간담회에서 나왔다.


조직방법에서는 정부기관 활용보다는 지금처럼 이주노동자와 밀착도가 높은 지원센터와 더불어 대사관, 국가별 조직 이야기가 나왔다. 정부기관은 조직은 용이하지만 이주노동자 안전보건에 관심이 많지 않아 협조가 어렵다는 판단이다.


교육방법은 강의식 일변도를 벗어나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연장선에서 집체교육보다는 소그룹 교육 활성화를 고민해보자는 제안이 나왔다. 이주노동자들이 일하는 사업장은 안전보건이 중요한 몫으로 차지하는 곳이 아니므로 사업주 교육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출되었다.


한편, 작년 안전보건강사 양사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아웅틴툰(버마)씨는 “산업안전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생명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았다.”며 “(자신이) 참여했던 교육이 여러 곳에서 있어 다른 친구들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날 참가단위들은 이주노동자 안전보건, 나아가 건강권 향상을 위해 필요하면 다시 자리를 만들기로 약속했다. 




[덧붙이는 글]

바쁜 일정에도 시간을 내주신 한국노총 산업환경연구소 조기홍 국장,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국 김은기 국장, 이주노동자 아웅틴툰 씨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드립니다. 간담회에는 노동인권회관 석원정 선생님,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윤간우 선생님도 함께 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조회 수
공지 공지 회원정보를 변경해주세요. 34422
공지 공지 CMS 자동이체를 이용하여 후원금을 납부하시는 회원님! file 47276
공지 공지 일과건강 후원금을 신용카드, 계좌이체, 휴대폰으로 결제하세요~ file 208132
공지 지역소식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사람들’을 소개합니다 2 51795
56 교육소식 자유스런 토론과 현장실습으로 접근하니 통하네 file 6495
55 교육소식 외국의 노동안전보건 교육 사례 1 file 11849
54 교육소식 규제완화로 무너지는 현장의 안전보건교육 1 file 9146
53 교육소식 홍세화 '내가 가진 생각은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나?' file 28422
52 교육소식 “휴식시간, 집중력 회복위해 꼭 지키야” 51 file 24112
51 교육소식 "생산현장 안전하면 지역주민도 안전" 50 file 21209
50 교육소식 “안전 지킬 수 없는 현장, 개선방법 없을까?” 41 file 21088
49 교육소식 근골질환이 대세? 우리는 0로%! 53 file 25740
48 교육소식 업종·사업장 넘나드는 연대 만들어보자 41 file 21703
47 교육소식 "안전보건교육, 조기에 실시해야" 44 file 16376
46 교육소식 “사고조사는 노동자 관점으로” 2 file 15926
45 교육소식 지역 안전보건활동, “이 손안에 있소이다!” file 12104
44 교육소식 노동자, 52초에 1명씩 암으로 사망 file 12424
43 교육소식 2010년, 안전보건 하이킥 날려볼까? file 18004
42 교육소식 체계 있는 교육으로 지역 안전보건 책임지겠다 file 11107
41 교육소식 조합원 요구 파악 후 측정하고 검진하자 file 12132
40 교육소식 내공이 쌓이는게 눈에 보입니다 file 9567
39 교육소식 위험지도 그리기, 할만 합니다 file 17692
38 교육소식 금속노조 소규모 사업장 노동안전보건활동가 훈련 다시 시작이다 file 12131
37 교육소식 참 좋은 노동재해 교안을 소개합니다 file 1127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