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건강·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환경정의·환경운동연합

문의 :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 국장 정미란 (010-9808-5654, hjk2722@kfem.or.kr)


논 평

 

화학사고 1LG’ 눈 가리고 아웅,

LG그룹이 전면에 나서 안전관리강화 대책 마련하라.

- LG그룹에서 절반 이상이 LG화학에서 사고 발생. LG디스플레이 차원 대책은 땜질직 처방에 불과

-당위적인 대책들만 나열했을 뿐. 구체적인 개선책 담지 못해 실효성 의문

-독립적인 민관합동 대책기구 구성해 조사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어제(2) LG디스플레이가 ‘4대 안전관리 혁신(전 사업장 정밀 안전진단, 주요 위험작업의 내재화, 안전환경 전문인력 육성 및 협력사 지원강화, 안전조직의 권한과 역량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1월 발생한 파주공장 화학물질 유출 사고 등 일련의 화학사고에 대한 LG디스플레이 차원의 후속 조치다. 하지만, 여전히 노동자와 지역주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의 신뢰를 얻기에는 이번 대책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올 하반기에 대책에 따른 추진 경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라 밝혔다. 하지만, 발표된 대책에는 당위적인 과제들만 제시했을 뿐, 어떻게 개선하겠다는 것인지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 또한 담고 있지 못해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게다가, 사업장 전 영역을 점검하고 종합적인 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니만큼, 전문성과 객관성, 투명성을 담보한 민관합동 대책기구 구성이 절실하지만, 이번 대책에는 관련 내용이 없어 또 다시 형식적인 안전진단에 그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LG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LG그룹은 지난 7년 동안 가장 많은 화학 사고를 일으킨 기업이다. 화학물질안전원 및 언론에서 공개한 2014년 이후 현재까지 LG그룹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17건을 분석한 결과, LG디스플레이는 5(29%), LG화학은 10건 이상(59%)의 화학 사고가 발생했다. 이처럼, LG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LG화학을 포함해 LG그룹 차원에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화학사고 안전대책을 발표하지 않는 이상, 이번 대책 또한 넘기고 보자는 식의 LG디스플레이 땜질식 처방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순번

사고일자

사고업체명

시도

사고유형

사고물질

1

2014.03.27

LG화학

대전 유성

폭발

헥산

2

2014.05.12

LG화학

전남 화순

누출

DOP(디옥틸프탈레이트)

3

2014.07.25

LG화학

충남 서산

화재

n.Hexane

4

2014.10.23

LG화학

전남 여수

누출

에틸렌

5

2015.01.30

LG화학

전남 여수

누출

일산화탄소

6

2015.02.04

LG화학

충청 청주

누출

염화제이철

7

2015.09.04

LG하우시스

충청 청주

기타

페놀

8

2015.01.12

LG디스플레이

경기 파주

누출

질소가스

9

2017.09.21

LG화학

전남 여수

누출

염화수소

10

2019.08.31

LG생활건강

울산 울주

누출

수산화칼륨

11

2020.01.09

LG화학

충남 대산

폭발

-

12

2020.04.17

LG디스플레이

경북 구미

누출

수산화나트륨

13

2020.05.19

LG화학

충남 대산

폭발

-

14

2020.05.14

LG디스플레이

경북 구미

누출

1.메틸.2.피롤리디논

15

2020.06.04

LG디스플레이

경기 파주

누출

수산화나트륨

16

2020.08.14

LG화학

울산 울주

기타

2.클로로.N.(시아노.2.티에닐메틸).아세트아미드

17

2021.01.13

LG디스플레이

경기 파주

누출

수산화나트륨

<. LG그룹 화학사고 주요사례(2014~ 2021)>

기업들은 화학사고만 나면 여론 무마용 대책을 발표하고 있으나, 실제 사업장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기업의 실효성 없는 대책은 언제든 또 다른 화학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LG그룹은 그룹 차원에서 철저한 원인 규명과 함께 화학사고 예방 체계를 정비하고,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객관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는 노동자, 지역, 시민사회, 전문가가 참여한 민관합동 대책기구를 구성해 제대로 된 조사와 해결책을 마련하여야만 국민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