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과건강이 사무국을 맡고 있는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는 지난 619()~23()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조례(이하 알권리조례) 제정 및 시행을 촉구하는 전국 공동행동을 진행했습니다. 참여자들은 각 지자체 앞에서 알권리조례 제정 화학물질관리위원회 즉각 구성 사업장 위해관리계획서 주민 고지 등을 요구했습니다.


알권리 조례 전국행동_4.jpg

▲ 지난 6월 19일 (월)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 사무국장)이 서울시청 앞에서 일인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는 지난 2012년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 이후 만들어져, ‘화학물질관리와 지역사회 알권리법 및 조례 제정운동을 펼쳐왔습니다. 20155월 인천시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13개 지자체가 알권리 조례를 제정했으며, 지난 해 5월 화학물질관리법 일부 개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 제정현황

구분 

 경기도

(13년 3월)

충청북도

(14년 12월) 

인천/전북/군산/양산/광주/수원/

전남/여수/평택/영주 

 위원회 심의 기능

없음(자문) 

없음 (자문) 

심의, 자문 

 민간전문가 참여

없음 

도지사 추천 민간단체 관계자

민간단체 추천 전문가 

 지역사회 고지

없음 

없음 

배출량, 통계조사결과/

위해관리계획서 지역주민고지 

- 광주/전남/여수/평택 : 120톤 미만 사업장 실태조사와 관리 조항 추가

- 수원 : 화학사고위원회, 화학물질정보센터 설치운영 조항 추가

- 여수/평택 : 화학사고 시 주민 고지 의무 조항 추가


하지만 대부분의 조례가 사고 이후 여론무마용으로 급하게 만들어지다 보니,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발생하는 화학사고 대응과정에서 여전히 매뉴얼 부재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올해 3월에는 환경부가 위원회 심의 기능, 민간전문가 참여, 지역사회 고지등을 포함한 표준조례안을 지자체에 권고한 바 있습니다.

 

화학물질사고는 노동자 뿐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중독, 호흡곤란, 피부병, 실명, 그리고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등 광범위하게 피해를 끼칩니다. 따라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알권리조례 제정과 시행이 시급합니다


알권리 조례 전국행동_1.jpg


알권리 조례 전국행동_2.jpg


▶ 관련 소식 : 알권리 조례 이행, 어떻게 하면 좋을까?

(김신범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수원시화학사고관리위원회 부위원장)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나는 무방비다' 시즌 3 <건생지사>

    지난 6월 6일(화) ‘화학물질 감시활동의 시작’ 편을 제작하며, <나는 무방비다>가 2년 만에 새로운 막을 열었습니다. 한때는 팟빵 전체 순위 50위권을 유지해오던 <나는 무방비다>. 국내유일 건강권 헌정방송을 표방해온 팟캐스트 진행자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아요. - 간단하게 <나는 무방비다> 소개를 해주세요. “<나는 무방...
    Date2017.06.26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2.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모색 군산토론회

    화학물질사고, 군산은 안전한가?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모색 군산토론회 지난 6월 22일 (목) 오후 4시 군산 소룡동 주민센터 회의실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 모색 군산토론회'가 열렸다. 전북 안전사회를위한모임(준) (이하 전북 안전모), 발암물질없는 군산만들기 시민행동, 군산시의회 김성곤의원이 공동주최하였으며, 군산...
    Date2017.06.26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알권리 조례 이행,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알권리 조례 이행,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내실있는 알권리 조례 이행을 위한 제언 글 : 김신범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수원시화학사고관리위원회 부위원장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 조례’ 제정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조례 제정운동은 오래 된 것이 아니다. 2012년 구미 불산누출사고 이후 ...
    Date2017.06.23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조례 제정 및 시행을 촉구하는...

    일과건강이 사무국을 맡고 있는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는 지난 6월 19일(월)~23일(금)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조례(이하 알권리조례) 제정 및 시행을 촉구하는 전국 공동행동’을 진행했습니다. 참여자들은 각 지자체 앞에서 ▲알권리조례 제정 ▲화학물질관리위원회 즉각 구성 ▲사업장 위해관리계획서 주민 고지 등을 요구했습니다. ▲ 지난...
    Date2017.06.23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5.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 지난 5월 24일 (수), 31일 (수), 6월 2일 (금), 9일 (금) 네차례에 걸쳐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이 열렸습니다. 4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하여 환경호르몬과 유해물질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좀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열띤 토론을...
    Date2017.06.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