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알권리
2017.01.13 16:11

[겨울학교] 안전한 화학물질 시장 만들기 2

조회 수 10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노동조합·시민사회단체 활동가 겨울학교' 두번째 시간이 지난 1월 12일 녹색병원 강당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첫번째 시간과 마찬가지로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팀장님이 발표해 주셨는데요. 안전한 화학물질 시장을 만들기 위한 NGO들의 노력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 내용을 함께 공유합니다. 


전세계적으로 NGO와 민간단체들이 화학물질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유용한 툴들을 만들고, 그것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유해화학물질을 퇴출시키는데 실질적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례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1강 보기 : http://safedu.org/activity/109869)


겨울학교_08.jpg


건강을 생각하는 건축 연대 (Healthy Building Network; HBN)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없애고, 좀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입니다. 건축자재가 위험한지 판단하기 위해 성분을 명확하게 공개하도록 하고, 그 성분을 평가할 수 있는 파로스 프로젝트(Pharos project)를 개발하여 응용하고 있습니다. 

파로스 프로젝트는 45개의 권위적인 기관에서 제공하는 독성 평가 정보와 Green Screen List Translator, 각 제조자가 만든 제한 물질목록을 취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약 4만 6천개의 화학물질에 대한 리스트로, 이 화학물질이 어떤 건강영향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툴입니다. 

미국의 비영리기구 세이퍼 케미컬스(Safer Chemicals)는 이 파로스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구글에서는 회사를 리모델링하거나 증축할 때, 사용할 건축자재를 파로스 프로젝트를 이용해서 안전한 건축물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활용하고 있습니다. 

2강_1.jpg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서도 화학물질을 평가하는 툴 '톡스프리(Tox Free)'를 만들고 있습니다. 톡스프리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서 발표한 독성물질 리스트를 종합하여, 독성정보를 평가할 수 있는 툴입니다. 약 7천개 정도의 화학물질에 대해서는 적어도 어떤 물질인지 확실하게 평가하고, 관리 단계를 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물질안전자료(MSDS)를 기반하여, 제조업에서 필요한 위험정보는 대부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후 전성분 공개를 요구하는 운동이 만들어지고, 많은 화학물질 제조업체들이 참여하여 지금보다 더 확실한 물질안전자료를 공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더 확실한 위험 정보가 밑바탕될 수 있을 것입니다. 화학물질을 구매할 때, 가격이나 성능정보 보다도 안전한지 여부를 최우선으로 놓고 구매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일조하게 될 것입니다.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팀장님은 마지막으로 화학물질 정보에 대한 투명성을 강조했습니다. 유해화학물질을 줄여갈 수 있는 첫 시작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우리의 툴을 만들고, 다양한 NGO의 상상력을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줄여가는 시스템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정책이 필요하다면, 정부에 합당한 제도를 요구할 수 있겠지요. 

2강_2.jpg





오는 1월 19일(목) 3시 녹색병원 지하2층 강당에서 세번째 겨울학교가 진행됩니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님이 '환경호르몬 연구 동향과 시민사회 유해물질 저감활동에 대한 제언'을 들려주실 예정입니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토론회] 법과 인권의 사각지대 산업체 현장실습, 대안...

    지난 3월 22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토론회 ‘법과 인권의 사각지대 산업체 현장실습, 대안은 무엇인가?-콜센터 현장실습 사망사고로 본 특성화고 현장실습 노동인권 문제를 중심으로’가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의 사회로 진행되었습니다. 일과건강이 참여하고 있는 LG유플러스고객센터특성화고현장실습노동자사망사건대책회...
    Date2017.03.29 Category취약노동자 안전보건
    Read More
  2. 평택건생지사 정기 공부모임 후기

    평택 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이하 평택건생지사)은 분기별 정기 공부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해 11월 22일 (화) ‘가습기 살균제, 이제는 안전한가’를 주제로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님이, 지난 3월 7일 (화) '가습기 살균제 참사 그후, 무엇이 달라졌나?'를 주제로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님이 진행해 주셨습니다. 이 두 번의 공부모...
    Date2017.03.23
    Read More
  3. [겨울학교] 2015~2016 정부의 화학물질 정책 동향 및 앞...

    지난 2월 23일(목), 3월 2일(목) 두차례에 걸쳐 김신범(노동환경건강연구소 실장)이 '2015~16 정부의 화학물질 정책 동향'을 발표해 주셨습니다. 이어 3월 9일(목)에는 화학물질정책에 대한 비전을 참가자들과 함께 나누었습니다. 그 내용을 함께 공유합니다. 정책 변화에는 필연적으로 계기가 필요합니다. 큰 사고가 났는데 막지 못했다는 안타까움과 그에...
    Date2017.03.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겨울학교] 향 알러젠, 함께 고민합시다

    지난 2월 2일 (목) 녹색병원 지하2층 강당에서 겨울학교 네 번째 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분석팀) 팀장님이 '향 알러젠, 함께 고민합시다'를 주제로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화학업계의 연금술이라고 지칭되는 향료. 향초, 디퓨저, 방향제 등 다양한 향 제품이 유행을 타고 있는 요즘, 우리는 '향료'에 대해서 ...
    Date2017.02.10
    Read More
  5. [겨울학교] 환경호르몬 연구 동향과 시민사회 유해물질 ...

    지난 1월 19일 (목) 녹색병원 지하2층 강당에서 세번째 겨울학교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날은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님이 '환경호르몬 연구 동향과 시민사회 유해물질 저감활동에 대한 제언'을 들려주었습니다. 환경호르몬, 즉 내분비교란물질은 정상적인 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거나 작용하는 것을 방해해서 사람의 건강과 생식작...
    Date2017.01.24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