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9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40320_01.jpg20140320_02.jpg20140320_04.jpg
2012년 9월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누출사고 이후 계속되고 있는 화학물질사고는 기업의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감시감독에 구멍이 뚫렸다는 전국민적 인식이 형성되기는 계기가 되었다.

전사회적으로 화학물질사고가 회자되면서 정부의 인력 및 재정이 부족하고, 법적 근거는 미약하여 강제력도 부실한 상황에서 정부가 기업을 잘 감시, 감독할 것이라는 국민적 기대는 땅에 떨어졌다. 국민들은 언제, 어디서 또 사고가 터질까 불안 속에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그렇다면 사고는 계속되고 있는데 정부가 기업을 감시하지 못한다면, 누가 감시해야 할 것인가, 누가 나서야 정부가 제대로 기업을 감시하게 만들고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인가! 
이제 그 해답을 찾기 위해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가 첫걸음을 시작한다.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는 화학물질사고의 예방과 대응계획수립의 감시자로서 ‘지역주민 알권리’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제도개선을 위한 활동으로 ‘화학물질 정보공개청구’와 ‘지역사회알권리법 제정’ 범국민적 운동을 다음과 같이 전개할 것을 선언한다.

하나. 지역주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범국민적 화학물질 정보공개 청구운동을 펼칠 것이다.
전체 기업체의 86%가 취급하는 화학물질 공개를 거부하고 있는 한 화학물질 사고예방과 사고시 비상응급대응은 제대로 될 수 없다. 환경부는 우리주변 화학물질의 종류와 취급량을 명확히 공개 해야한다. 

하나. 화학물질 사고예방과 비상응급대응을 위한 ‘화학물질관리와 지역사회알권리법 제정’ 대국민 캠페인을 펼칠 것이다.
정부와 환경부는 주민의 알권리와 참여가 보장된 지역차원의 화학물질관리체계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화학물질관리와 지역사회알권리법’을 하루빨리 제정해야 한다.

2014년 3월 20일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발족식 참가자 일동
플랜트건설노조/노동환경건강연구소/녹색미래/민주노총/반올림/발암물질국민행동/서울아이쿱
여성환경연대/오창화학물질감시단/일과건강/화학섬유연맹/환경정의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생활 속 유해물질 추방을 위한 안심마트 만들기 캠페인 ...

    생활 속 유해물질 추방을 위한 안심마트 만들기 캠페인 시작 ‘우선 추방해야할 12가지 유해화학물질’ 목록 발표 예비조사에서 마트 판매 식기류, 생활용품 중금속 함유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이하 발암물질 국민행동)과 환경정의는 안전한 상품의 선택을 위한 소비자의 권리 실현을 통해 생활 속 유해물질을 줄여나가는 “안심마트 만들기” 캠...
    Date2014.03.27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2. ‘이웃의 살인자’, 벌써 여럿 당했습니다

    ‘이웃의 살인자’, 벌써 여럿 당했습니다 [이웃의 살인자②] 최근 우리나라 화학물질 사고의 공통점 찾기 누구도 알지 못했다. 우리 아파트, 학교, 과수원 근처에서 독성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 있다는 것을. 이 고약한 냄새는 금세 사라질 거라 생각했다. 이렇게 쉽게 내 몸을 망가뜨릴 줄은 몰랐다. 사전에 알려줬다면 이상한 낌새를 차렸을 때 가능한 ...
    Date2014.03.27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발족식

    2012년 9월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누출사고 이후 계속되고 있는 화학물질사고는 기업의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감시감독에 구멍이 뚫렸다는 전국민적 인식이 형성되기는 계기가 되었다. 전사회적으로 화학물질사고가 회자되면서 정부의 인력 및 재정이 부족하고, 법적 근거는 미약하여 강제력도 부실한 상황에서 정부가 기업을 잘 감시, 감독할 것이라는 국민...
    Date2014.03.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어느 법에서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서비스 노동자...

    감정노동자 보호입법을 위한 산업안전보건법 추가 개정 기자회견 어느 법에서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서비스 노동자의 고객 폭력 스트레스를 예방해야 한다 지난해 연초부터 언론을 들끓게 했던 ‘진상 고객’문제로 인하여 많은 서비스 노동자들이 일상적으로 고객 폭력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후 국민은 공분했고 사회 각층에...
    Date2014.03.18 Category감정노동
    Read More
  5. 주민들이 직접 기름방제... 이건 아닙니다

    주민들이 직접 기름방제... 이건 아닙니다 [이웃의 살인자①] 고통의 되풀이는 안 된다... 주민 건강영향 조사도 이뤄져야 누구도 알지 못했다. 우리 아파트, 학교, 과수원 근처에서 독성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 있다는 것을. 이 고약한 냄새는 금세 사라질 거라 생각했다. 이렇게 쉽게 내 몸을 망가뜨릴 줄은 몰랐다. 사전에 알려줬다면 이상한 낌새를 ...
    Date2014.03.12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