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발암물질에 노출 가능한 6백만명, 이제는 저감정책이 필...

    발암물질에 노출 가능한 6백만명, 이제는 저감정책이 필요하다. - 2014 전국사업장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분석 글 :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 일과건강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강병원 더민주 의원실은 공동으로 발암물질 등 고독성물질로 인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위험인구의 규모를 분석하였다. 환경부가 공개한 2014 전국사업장 화학물질 ...
    Date2016.10.04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2.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지난 7월 13일(수) 오후 2시~5시 국회도서관에서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진행했다. 일과건강이 주관하고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와 국회의원 강병원, 김영주, 송옥주,...
    Date2016.07.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No Image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민선언'을 시작하며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민선언'을 시작하며 글 :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 가습기 살균제 사고는 재발하지 않을 것인가? 재발할 것이다. 비슷한 사고는 다시 발생할 것이다. 아이를 잃은 부모는 '어떻게 이렇게 위험한 물질을 팔 수 있냐'고 또 묻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사회 화학물질법규와 정책은 가습기 살균제 사고의 재발을 막...
    Date2016.07.1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에 다뤄야 할 6가지 제도개선방안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에 다뤄야 할 6가지 제도개선방안 글 : 현재순 일과건강 기획국장 현 제도로 제2의 가습기 살균제 막을 수 없다.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현재의 법규는 충분한가? 우리의 대답은 ‘아니오’다. 2015년 <화학물질의 평가 및 등록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이 시행되는데도 여전히 그러냐...
    Date2016.07.1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5. 기관사 안전에도 ‘정시율’이 필요하다

    기관사 안전에도 ‘정시율’이 필요하다 글 : 홍윤태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지난 6월 14일 (화) 오후 3시 서울시의회 회의실에서 기관사 자살실태와 해결방안 토론회 ‘그들은 왜 스스로 목숨을 끊었나’가 진행되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서울시의회 민생실천위원회에서 주최한 이 토론회에서는 사태 진단, 원인 분석, 대책평가와 조언에 이르기 까...
    Date2016.06.29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75 Next
/ 7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