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아이 병원진료 예약일. 택시를 잡았고 아이와 함께 뒷좌석에 앉았다. 안전띠 줄을 당겨서 벨트를 체결하려하는데 버클이 보이지 않는다. 버클이 시트속에 꼭꼭 숨어 있는 경우가 있어 구멍에 손을 넣어 보았으나 역시 없었다.
진료를 받고나서 돌아오는 길에도 다시 택시를 잡았다. 이번엔 다행히 버클이 제대로 달려 있다. 안전띠를 당겨서 플레이트를 버클에 넣었는데 허걱, '딱'하는 경쾌한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되지 않고 빠져버린다. 고장이다. 설상가상 택시기사 아저씨는 묻지도 않고 자동차 전용도로인 동부간선도로로 달린다. 빠른 길이긴 한데 안전띠를 착용하지 못하지 않았는가. 오늘 내가 탔던 택시 2대가 모두 뒷좌석 안전띠가 고장이었다.
2011년부터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전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되었는데 영업용 차량에서도 아직까지 이렇게 빈번한 위반이 있다면 문제이다.
1997년 : 운전자는 의무적으로 뒷좌석 승차자에게 안전띠 착용을 주의환기 시켜야함(도로교통법, 위반시 벌금, 구류 또는 과료)
2002년 : 조수석의 승차자가 안전띠 미착용시 운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
2011년 :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등 전좌석 안전띠 착용의무화
분명히 '97년 당시보다는 조수석 안전띠는 우리 사회에서 확실하게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뒷좌석 안전띠는 여전히 미완의 과제로 보인다 (아래 그림). 풀기 어려운 과제이고 처벌이 능사는 아닐 것이다. 뒷좌석 안전띠 문제, ‘착용하고 싶어도 착용할 수 없는 상태’부터 개선하라! 나는 무엇보다 택시 뒷자리의 고장난 안전띠부터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택시업계의 자율적 노력을 바란다.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 도로교통공단 2012
○ 참고문헌
국민권익위원회 ‘제 2012 - 166 호의 안 명「자동차 안전벨트 미착용 알림장치 강화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