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6018155.jpg 국토교통부가 ‘안전점검 실명제’를 내놓았다. ‘도둑이 제발 저린다’는 말이 맞다. 국토교통부, 사실 ‘모피아’와 더불어 ‘건설마피아’는 원조격 ‘관피아’라 할만한 곳이 아닌가! 무엇보다 4대강에서 20명이 넘는 현장 노동자들이 산업재해로 사망했을 때, 당시 그들 수장이 한다는 말씀이 ‘사고다운 사고는 없고 인명피해는 대부분 본인들 실수’에서 여실히 드러나지 않았는가 ! 아니나 다를까 ‘안전’ 철학없는 부처가 졸속대책을 제일 먼저 내놓았다. 

안전점검 실명제 ? 언젠 안전점검을 누가 했는지 알 수 없었던가? 안전점검 실명제가 아니어도 점검자가 누구인지는 다 알 수 있다. 보도자료용이며 기껏해야 실무자 겁주기용 정도라고 해석된다. 모든 책임을 점검 실무자에게 뒤집어 씌우려는 술책에 지나지 않는다. 현장에서는 볼멘소리가 연일 터져 나올테고 온통 ‘행정지도’와 ‘권고’같은 법적 근거가 없는 지적사항들이 난무할 것이다.

안전점검자가 아무리 전문성이 있고 양심적이어도, 점검은 만능이 아니다. 점검자는 신도 아니다. 문제는 점검을 비롯한 시스템 전체를 안전을 우선으로 하도록 조직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경영주가 문제를 가장 먼저 접하는, 현장 노동자들이 자유롭게 자잘한 사고를 보고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여기에 제3자에 의한 내실 있는 안전점검까지 촘촘하게 엮여야 하는 것이다. 관련하여 품질관리의 일반원칙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지금 시대에 품질검사부에서만 잘하면 품질이 향상된다고 생각하는 ‘바보 경영자’는 없다. 품질부서가 없는 곳도 많다. 품질 향상이란 품질경영을 모토로 경영진을 중심으로 전 조직이 노력할 일이지 특정인 또는 특정부서가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실 품질보다 더한 경영기법이 필요하다. 안전은 결과적 품질일 뿐만 과정을 포함하는 품질이기 때문이다. 

‘안전점검 실명제’이야말로 현장도 모르고 조직도 모르는, 줄곧 본부에서 야근에 시달려 정신과 육체가 모두 피폐해진, 사무관 몇몇이 윗선이 볶아 대는 바람에 졸속으로 내놓은 안임이 분명하다. 이를 내놓는 국토교통부는 도대체 어느 시대에 살고있는 조직이란 말인가 ? 

그렇게 ‘노골적인’ 실명제가 하고 싶다면 수십년 전부터 말로만 외치는 ‘정책 실명제’도 실천하라. 지방관서 실무자들은 그 정책에 따른 실무자에 지나지 않는다. 바로 이 ‘안전점검 실명제’가 최초 누구의 아이디어 였고 누가 구체적으로 입안하였는지부터 명명백백하게 하라. 그리고 이 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었는지도 후일에 반드시 같이 평가하라. 정책의 잘못인지 실무자의 점검 실패인지를 명확히 가려라. 

제발 이성을 갖고 진득하게 고민을 하시라. 저런 졸속대책이 결국 또 다른 대형참사를 부르는 것이다. 지금은 철저히 진상규명을 할 때이지 설익은 대책을 펑펑 내놓을 때가 아니다. 하여간 국토교통부가 분명히 또 무슨 일을 내고야 말 것 같다. 불안하고 무섭다. 

글 : 칼럼니스트 보납
http://blog.ohmynews.com/hum21
번호 제목 날짜
619 한국군, 미군의 ‘고강도 안전’도 배워라~ file 2014.09.17
618 계속된 화학사고, 알권리 보장될 때 막을 수 있다 file 2014.09.11
617 세월호 불법 개조도 ‘성장’이라며 박수 받았겠지? file 2014.08.28
616 대기업 소속 ‘스파이더맨’, 오늘도 죽음을 무릅쓴다 file 2014.08.12
615 화학산단 노후설비 실태파악과 개선대책이 시급하다 file 2014.08.04
614 기업의 비밀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우선입니다 file 2014.07.14
613 자동차 전용도로 전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택시 뒷자린 안전띠 고장! file 2014.07.11
612 스마트폰 소음측정기는 얼마나 정확할까 ? [1] file 2014.07.07
611 (세월호 참사, 문제는 여기만이 아니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file 2014.05.29
610 세월호 참사 그 후... 알맹이 빠진 개선대책으론 막을 수 없다 file 2014.05.16
» 국토교통부 '안전점검 실명제' ? 그 정책부터 실명제로 하라 file 2014.05.08
608 4.28 산재사망 추모 결의의 편지 file 2014.05.07
607 시도때도 없는 안전무시 - ‘부처님 오신 날’ 송광사 풍경 file 2014.05.06
606 규제철폐·완화정책과 안전관리 부실이 현대중공업그룹의 안전사고를 조장하고 있다 file 2014.05.06
605 2년 전 구미, '세월호 참사'와 판박이 사고 있었다 file 2014.05.05
604 무릎을 꿇거나 사퇴를 해야 할 사람은 바로 당신입니다 file 2014.05.02
603 집배원에게 ‘골병’이 아닌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file 2014.04.28
602 이 나라에서 스므살까지 살아남기란 file 2014.04.24
601 화학물질 정보공개운동으로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싶어요! file 2014.03.04
600 대책이 시급한 병원여성노동자의 유방암 실태! file 2013.11.28
599 비정규직 노동자 안전보건, 누가 책임져야하지? file 2013.09.04
598 최근의 화학물질 누출사고, 그 뒤엔 하청노동자들이 있었다. file 2013.07.31
597 15세 소년, 수은 중독 사망…한국, 바뀌었나? file 2013.07.08
596 일본 인쇄업 담관암의 공포, 우리도 안전할 수 없다. file 2013.07.03
595 은폐되고 있는 화재,폭발,누출사고가 더 큰 문제! file 2013.06.11
594 현장밀착형 정책의 부재, 예고된 사고예방엔 역부족! file 2013.05.25
593 [기고칼럼] 감정노동자, 엄청난 상처…사회가 방치_프라임경제 2013.05.22
592 여수폭발사고 2개월 후, 너무나 닮은 현대제철사고가 주는 교훈 file 2013.05.16
591 [비정규노동센터 공동기획]산재통계, 그거 다 믿지 마세요. file 2013.05.15
590 양주 농장 2명 사망사고 정말 '감전'일까 ? file 2013.05.1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