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배원에게 ‘골병’이 아닌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골병우체국의 주범=우정사업본부’에 대한 특별근로감독 실시 촉구! 

20140428_03.jpg 20140428_01.jpg 20140428_02.jpg 우정사업본부가 쌓아올린 ‘고객만족도 1위, 희망과 행복을 전하는 한국 우정’이라는 명성은 집배원들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명성의 주역인 집배원들의 노동안전보건 실태는 전국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74.6%가 근골격계질환을 지니고 있고, 50%에 달하는 뇌심혈관계질환 고위험집단에 속하며, 절반 이상이 사고 경험을 가진 집배원들의 현실은 말 그대로 충격에 가깝다. 

연대모임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우정사업본부에서 드러난 것만 해도 1,182명의 집배원노동자가 질병이나 사고로 고통 받았고, 19명이 사망했다. 이는 전체 노동자 평균에 비해 4.3배나 더 많은 노동재해율이며, 6배 이상 높은 사망률이다. 어 엄청난 집배원들의 재해를 예방하려는 노력조차 없이 모든 책임을 우체국노동자들에게 돌리는 무책임한 우정사업본부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업장이자, 공공기관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살인기업임이 틀림없다. 

‘무거운 물건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적재하는 택배 업무로 인해 허리를 다치고 어깨 근육이 파열되는 직원들이 많다’, ‘집배실에 먼지가 많아서 환풍기를 달아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했다’, ‘빙판길 오토바이 운행으로 교통사고 문제가 너무 많지만 우정사업본부는 집배원에 대한 징계만 한다’, ‘헬멧, 무릎보호대, 오토바이 앞유리 등이 지급되지 않거나 사용하기 적절하지 않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수많은 현장 집배원들의 증언은 그동안 우정사업본부가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문제를 철저하게 외면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지금 이 시간에도 집배원들은 ‘죽음’과 함께 달리고 있다. 

공공기관에서부터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가벼이 여기는 행태는 당장 뿌리 뽑아내야 한다. 이에 집배원 중대재해 해결을 위한 연대모임(이하 연대모임)에서는 우정사업본부장과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우체국에서 벌어지는 살인행위를 멈추고자 하였다. 하지만 노동자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일터를 책임져야 할 고용노동부는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 서울청의 몇 개의 우체국을 대상으로 형식적인 실태조사만 진행한 채 ‘혐의없음’이라는 무책임한 결정을 내렸다. 다치고, 병들고, 죽어가는 집배원들의 현실이 고용노동부와 검찰에는 보이지 않는단 말인가.  

이에 연대모임은 다시 한 번 고용노동부에 강력하게 요구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재해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수시로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노동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미비한 사업장이다. 더 이상의 노동자들이 죽어나가지 않도록, 우정사업본부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라! 이를 통해 집배원, 나아가 우체국노동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노동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들을 수립하라! 또한 집배원들을 사고와 골병에 몰아넣고, 장시간-중노동 구조를 유지하며 무수히 은폐한 노동재해들을 조사하고, 안전한 노동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우체국의 노동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라!

연대모임은 집배원을 비롯한 우체국노동자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날까지 함께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월 28일 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산재사고로 먼저 떠나간 노동자들과 세월호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전한다. 

2014년 4월 28일
집배원 중대재해 해결을 위한 연대모임

재해발생경위내역 보고서(일과건강)
번호 제목 날짜
619 한국군, 미군의 ‘고강도 안전’도 배워라~ file 2014.09.17
618 계속된 화학사고, 알권리 보장될 때 막을 수 있다 file 2014.09.11
617 세월호 불법 개조도 ‘성장’이라며 박수 받았겠지? file 2014.08.28
616 대기업 소속 ‘스파이더맨’, 오늘도 죽음을 무릅쓴다 file 2014.08.12
615 화학산단 노후설비 실태파악과 개선대책이 시급하다 file 2014.08.04
614 기업의 비밀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우선입니다 file 2014.07.14
613 자동차 전용도로 전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택시 뒷자린 안전띠 고장! file 2014.07.11
612 스마트폰 소음측정기는 얼마나 정확할까 ? [1] file 2014.07.07
611 (세월호 참사, 문제는 여기만이 아니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file 2014.05.29
610 세월호 참사 그 후... 알맹이 빠진 개선대책으론 막을 수 없다 file 2014.05.16
609 국토교통부 '안전점검 실명제' ? 그 정책부터 실명제로 하라 file 2014.05.08
608 4.28 산재사망 추모 결의의 편지 file 2014.05.07
607 시도때도 없는 안전무시 - ‘부처님 오신 날’ 송광사 풍경 file 2014.05.06
606 규제철폐·완화정책과 안전관리 부실이 현대중공업그룹의 안전사고를 조장하고 있다 file 2014.05.06
605 2년 전 구미, '세월호 참사'와 판박이 사고 있었다 file 2014.05.05
604 무릎을 꿇거나 사퇴를 해야 할 사람은 바로 당신입니다 file 2014.05.02
» 집배원에게 ‘골병’이 아닌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file 2014.04.28
602 이 나라에서 스므살까지 살아남기란 file 2014.04.24
601 화학물질 정보공개운동으로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싶어요! file 2014.03.04
600 대책이 시급한 병원여성노동자의 유방암 실태! file 2013.11.28
599 비정규직 노동자 안전보건, 누가 책임져야하지? file 2013.09.04
598 최근의 화학물질 누출사고, 그 뒤엔 하청노동자들이 있었다. file 2013.07.31
597 15세 소년, 수은 중독 사망…한국, 바뀌었나? file 2013.07.08
596 일본 인쇄업 담관암의 공포, 우리도 안전할 수 없다. file 2013.07.03
595 은폐되고 있는 화재,폭발,누출사고가 더 큰 문제! file 2013.06.11
594 현장밀착형 정책의 부재, 예고된 사고예방엔 역부족! file 2013.05.25
593 [기고칼럼] 감정노동자, 엄청난 상처…사회가 방치_프라임경제 2013.05.22
592 여수폭발사고 2개월 후, 너무나 닮은 현대제철사고가 주는 교훈 file 2013.05.16
591 [비정규노동센터 공동기획]산재통계, 그거 다 믿지 마세요. file 2013.05.15
590 양주 농장 2명 사망사고 정말 '감전'일까 ? file 2013.05.1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