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척제위험 실태고발! 발암성물질, 신경독성물질 다량 검출!

일본 인쇄업 담관암의 공포, 우리도 안전할 수 없다.

 

일과건강 현재순

 

71일 국회의정관 101, 일본의 전국노동안전위생센터연락회의와 한국의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일과건강 전문가들이 인쇄노동자의 화학물질노출실태를 고발하고 그 대책을 논의하는 한일심포지엄을 진행했다.


LMJ_0375.jpg

<사진: 일과건강> 인쇄제화 화학물질노출실태와 대책마련을 위한 심포지엄

 

일본 발표에 따르면, 20123월 첫 담관암 산업재해 피해자 상담을 한 이후 20135월 현재까지 SANYO-CYP1개사업장에서만 교정인쇄부문 70명의 노동자 중 17명이 발병하여 7명이 사망하였고 미야기현과 후쿠오카현 사업장 각 2명 등 현재까지 일본 전체에서 72명의 발명자가 산재신청하고 계속해서 피해자접수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담관암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인 담관에 생기는 암으로 조기진단이 어렵고 생존율 30%, 완치율 20%에 불과한 병이다.

이번 인쇄노동자들의 담관암 발병원인은 일본 후생노동성의 오사카 인쇄공장에서 과거 작업환경 재현실험 결과 인쇄 잉크세척 작업에 종사한 노동자에게 노출된 염소계 유기용제인 디클로로메탄(75-09-2)1,2-디클로로프로판(78-87-5)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질명

독성

유발시키는 암

디클로로메탄

2급 발암성 물질

담관암, 뇌암, 유방암, 췌장암, 전립선암

1,2-디클로로프로판

생식독성물질

생식독성, 피부과민성, 호흡기계자극, 유방암

지금은 세척제 성분으로 쓰이지 않고 있는 이 두 물질에 대해 사회적 문제가 되자 일본 후생노동성은 현재 일본 전역에 걸친 인쇄사업장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쇄노동자 더 독한 물질(벤젠,톨루엔,노말헥산)에 노출되어 있다.

 

작년 이 같은 소식을 접한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일과건강은 건강한 일터, 안전한 성동만들기 사업단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말, 2개월에 걸쳐 성동지역의 인쇄제화업종을 중심으로 한 세척제 노출실태를 분석조사하고 올해 3월부터는 작업장공기 중 평가, 작업환경실태조사 및 건강증상 설문조사 등의 2차 분석조사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일본의 담관암 유발물질인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 물질은 우리나라도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어 나오지 않았지만 그 보다 더 독성이 강한 1급 발암성 물질인 벤젠과 신경독성 물질인 톨루엔(Toluene), 하반신 마비를 일으키는 노말헥산이 다량 검출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물질명

독성

비고

벤젠

1급발암성, 생식세포변이성

혈액암, 백혈병 등

톨루엔

신경독성, 발달독성,생식독성

여성월경 영향, 전신성 경화증

노말헥산

신경독성, 생식독성

하반신 마비 앉은뱅이병

 

분석결과를 독성물질별로 따져보면 서울 성수동, 을지로 소재 23개 인쇄제화사업장 51개 제품 중 37개 제품에서 벤젠이, 33개 제품에서 톨루엔, 22개 제품에서 노말헥산이 검출되어 평균 검출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으로 디클로로메탄보다 독성이 훨씬 강한 것으로 알려져 일본에서 조차 세척제 성분으로 쓰다가 그 위험성 때문에 디클로로메탄으로 교체되었던 톨루엔이 우리나라는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고 평균 함유량도 50%가 넘게 나왔다는 것은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무방비 상태에 있는 한국의 인쇄노동자들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물질명

검출제품

검출율

평균 함유량(%)

벤젠

37

72.5%

0.027

톨루엔

33

64.7%

58.2

노말헥산

22

43.1%

8.4

전체

51

 

 

 

또한, 벤젠에 대한 분석결과는 발암성 제품으로 보는 0.1% 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은 없었으나, 현장에서 관리기준으로 보는 0.01%를 초과하는 제품은 56.5%(26)로 절반이 넘는 충격적인 결과였다. 아래의 표와 같이 2009년 금속노조 진단사업 결과와 비교하면 인쇄업종에서의 세척제 벤젠 노출에 실태파악과 관리방안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벤젠 농도 수준

2013년 결과

2010년 금속노조 결과

검출제품수

비율(%)

검출제품수

비율(%)

0.1% 이상

0

0

13

7.7

0.01-0.09%

26

56.5

17

10.1

0.01%이하

7

15.2

31

18.5

불검출

13

28.3

107

63.7

 

무방비 상태에 노출된 인쇄노동자! 이대로라면 답이 없다!

 

이번 조사결과 문제의 심각성은 51개 제품 중 제조사 확인이 가능한 제품은 전체의 30%에 머물렀고 심지어 같은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톨루엔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현장에서 유통보관관리가 전혀 되지 않다는 현장노동자들의 증언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더욱더 심각한 것은 위험노출에서 노동자를 그나마 보호해줘야 할 환기시설과 보호구실태 조사결과이다. 23개 사업장에서 환기시설 중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된 곳은 단 1곳도 없었으며 창문이나 팬 정도가 있는 사업장이 17곳이었다. 유독성물질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해주는 최소한의 장비인 호흡보호구 착용율 또한 8%에 그쳤고 장갑마저 58%의 노동자만이 착용하고 있었다.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일하는 노동자도 34%나 차지했다.

 

우리나라 인쇄노동자! 담관암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한가지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제기되었다.

앞서 밝혔듯이 앞으로 정부가 나서서 전면적이고 세부적이니 조사를 해야겠지만 이제 한국,일본 인쇄업 세척제에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프로판이 쓰이지 않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번 조사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렇다고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발암성물질이란 잠복기간이라는 것이 있어서 과거에 노출되었다면 언제든 발병이 가능한 것이다. 이번 일본 피해자 대부분이 1990년대~200년대 초까지 노출된 것이었다.

 

그러면 우리나라는 언제까지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을 썼을까!

디클로로메탄 유통량.jpg

 

위 표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도 세척제, 희석제용으로 이 두물질을 90년대 말, 2000년 중반까지

사용한 것으로 환경부 유통량조사결과 나와있다.

과거 사용한 세척액 성분과 제품의 유통, 사업장별 사용실태를 정부가 나서서 시급히 조사해야할 이유이다

어쩌면 얼마 지나지 않아 삼성반도체 노동자들의 백혈병 피해자가 나타나듯 인쇄노동자 담관암 피해자가 속출하지 모를 일이다.

 

번호 제목 날짜
619 한국군, 미군의 ‘고강도 안전’도 배워라~ file 2014.09.17
618 계속된 화학사고, 알권리 보장될 때 막을 수 있다 file 2014.09.11
617 세월호 불법 개조도 ‘성장’이라며 박수 받았겠지? file 2014.08.28
616 대기업 소속 ‘스파이더맨’, 오늘도 죽음을 무릅쓴다 file 2014.08.12
615 화학산단 노후설비 실태파악과 개선대책이 시급하다 file 2014.08.04
614 기업의 비밀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우선입니다 file 2014.07.14
613 자동차 전용도로 전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택시 뒷자린 안전띠 고장! file 2014.07.11
612 스마트폰 소음측정기는 얼마나 정확할까 ? [1] file 2014.07.07
611 (세월호 참사, 문제는 여기만이 아니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file 2014.05.29
610 세월호 참사 그 후... 알맹이 빠진 개선대책으론 막을 수 없다 file 2014.05.16
609 국토교통부 '안전점검 실명제' ? 그 정책부터 실명제로 하라 file 2014.05.08
608 4.28 산재사망 추모 결의의 편지 file 2014.05.07
607 시도때도 없는 안전무시 - ‘부처님 오신 날’ 송광사 풍경 file 2014.05.06
606 규제철폐·완화정책과 안전관리 부실이 현대중공업그룹의 안전사고를 조장하고 있다 file 2014.05.06
605 2년 전 구미, '세월호 참사'와 판박이 사고 있었다 file 2014.05.05
604 무릎을 꿇거나 사퇴를 해야 할 사람은 바로 당신입니다 file 2014.05.02
603 집배원에게 ‘골병’이 아닌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file 2014.04.28
602 이 나라에서 스므살까지 살아남기란 file 2014.04.24
601 화학물질 정보공개운동으로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싶어요! file 2014.03.04
600 대책이 시급한 병원여성노동자의 유방암 실태! file 2013.11.28
599 비정규직 노동자 안전보건, 누가 책임져야하지? file 2013.09.04
598 최근의 화학물질 누출사고, 그 뒤엔 하청노동자들이 있었다. file 2013.07.31
597 15세 소년, 수은 중독 사망…한국, 바뀌었나? file 2013.07.08
» 일본 인쇄업 담관암의 공포, 우리도 안전할 수 없다. file 2013.07.03
595 은폐되고 있는 화재,폭발,누출사고가 더 큰 문제! file 2013.06.11
594 현장밀착형 정책의 부재, 예고된 사고예방엔 역부족! file 2013.05.25
593 [기고칼럼] 감정노동자, 엄청난 상처…사회가 방치_프라임경제 2013.05.22
592 여수폭발사고 2개월 후, 너무나 닮은 현대제철사고가 주는 교훈 file 2013.05.16
591 [비정규노동센터 공동기획]산재통계, 그거 다 믿지 마세요. file 2013.05.15
590 양주 농장 2명 사망사고 정말 '감전'일까 ? file 2013.05.1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