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방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노동실태 발표 및 노동조건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

지난 8월 29일 (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국방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노동실태 발표 및 노동조건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렸다. 한임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안전보건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10689_88563_1239.jpg

국방부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은 육군 장병들의 군생활 적응을 돕고 심리상담을 한다. 일과건강은 지난 6월2일부터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상담관 400명을 설문조사했다. 6월 기준 전체 상담관은 총 630명으로, 이 중 83%가 여성이다.

상담관 1명이 담당하는 평균 장병 수는 943.7명으로 적게는 20명부터 많게는 2천500명까지 담당했다. 주당 40시간을 초과해 일한다는 응답자는 45%였다. 14%는 월 평균 주말근무가 4일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사실상 주 6일 근무하고 있는 셈이다. 80%의 상담관이 업무량이 '과하다'고 답했다.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상담관은 18.8%로 5명 중 1명 꼴이었다.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국민 19세 이상 성인 중 심리상담이 필요한 이는 6.7%였는데 이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PTSD 경험 역시 18.8%로 지난해 5.7%의 호소율을 보인 소방공무원의 3배에 달했다. 응답자의 17.5%는 상담했던 군 소속원의 자살을 경험하기도 했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심리상담이 필요한 상담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1주 평균 근무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며 “우울감·불안감·PTSD의 경우 상담관 집단이 노동자 평균보다 심각하게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84%는 고용불안을 호소하기도 했다. 63%가 기간제 노동자였다.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운영에 관한 훈령에 따라 상담관은 초기 2년간 기간제로 채용되고, 이후에는 3년 동안 1년마다 계약을 연장한다. 처음 상담관이 된 뒤 5년이 지나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 업무평가가 지나치게 잦은 데다가 가혹한 것도 문제다. 상담관은 훈령이 정한 서식에 따라 군 지휘관에게 복무성과를 평가받는데, 정기·비정기 평가를 합해 1년에 7~19회 정도 업무평가가 실시된다고 답했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장병 살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감정노동 보호조치 전...

    '장병 살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감정노동 보호조치 전무!' 국군의날 국방부 규탄 기자회견 지난 9월 30일 (금) 오전 11시 용산 국방부 앞에서 '장병 살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감정노동 보호조치 전무!' 국군의날 국방부 규탄 기자회견이 열렸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상담관 실태조사 결과에 나타난 감정 소진 심각성을 설명했다. 환자가 환자를...
    Date2022.09.30
    Read More
  2.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 10주기 노후설비특별법 ...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 10주기 노후설비특별법 발의 기자회견 지난 9월 27일(화) 오전 11시 국회 소통관에서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 사고 10주기를 맞아 ‘노후설비특별법 발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일과건강, 구미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사람들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건설산업연맹 전국플랜트건설노조, 강은미 국회의원(정의당), 이지연...
    Date2022.09.27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노후설비특별법 제정을 위한 공동행동

    노후설비특별법 제정을 위한 공동행동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가 일어난 지 10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화학물질 안전관리제도 변화의 계기가되었던 그날의 사고를 기억하며 전국 400여명이 노후설비특별법 제정을 위한 공동행동에 함께 해주셨습니다.
    Date2022.09.26
    Read More
  4. 2022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기자회견

    2022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기자회견 지난 9월 26일(월) 오전 11시 상암문화광장에서 '2022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기자회견'이 열렸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이 발언자로 참여했다. 서울시 노동센터협의회는 9월 26일부터 한달동안을 서울 산업안전 공동 캠페인 기간으로 선포하고 공동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시 노동센터협의회가 진행...
    Date2022.09.26
    Read More
  5. 화학물질안전관리와 지역사회알권리제도 변화

    화학물질안전관리와 지역사회알권리제도 변화 1. 화학물질 지역사회알권리 운동의 시작 2012년 9월 27일 우리나라 화학물질사고 역사상 기록에 남을 만한 사고가 있었다. 노동자 사망 5명, 소방관 부상 18명, 주민 12,000명 병원진료, 농작물고사 212헥타르, 가축 4천여 마리 폐사, 주민보상액만도 380억원에 이르는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가 그것...
    Date2022.09.26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4 Next
/ 7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