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사진을 인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일부 방송 프로그램이 작업장의 안전보건과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성을 등한시 하는 내용을 여과없이 방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총 안전보건연구소는 6월 한 달간 KBS(체험 삶의 현장·1박2일) SBS(생활의 달인·패밀리가 떴다) MBC(무한도전·불만제로) EBS(극한직업) 프로그램 안전보건 모니터링 결과를 9월 8일 공개했다. 이 결과에서 안전보건연구소는 “일부 방송 프로그램의 안전 불감증이 매우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c_20090915_862_1936.jpg

▲ 적절한 보호구 없이 도금작업하는 출연자.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도금공정에서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 것은 산안법 위반이다. ⓒ KBS 캡쳐, 한국노총.





보호구 위의 냄비가 웃기지 않은 이유


KBS1TV는 체험 삶의 현장 6월 14일 방영분에서 냄비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유해화학물질 노출 가능성이 높은 도금공정에서 출연 연예인은 물론 작업자까지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모습을 그대로 방영했다. 유해공정에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다. 게다가 출연 연예인이 보호구 위에 냄비를 뒤집어 써 보호구의 중요성을 희석하는 모습도 보였다. 안전보건연구소는 “방송의 재미를 위해 안전모 위에 냄비를 착용하였지만, 자칫 안전모의 중요성을 희화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행동이었다고 밝혔다.


SBS의 생활의 달인 6월 16일 방영분에서는 목장갑을 끼고 날 또는 축이 회전하는 기계를 취급하는 노동자가 달인으로 소개되었다. 산업안전보건법대로라면 노동자는 손에 밀착이 잘 되는 가죽장갑을 끼고 작업해야 한다. 더군다나 산업재해로 손가락이 절단된 작업자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작업환경은 그대로였다. 연구소는 “이는 작업장의 안전보건을 매우 무시하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방송에서 일반인들이 절대 따라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인터뷰에서 목장갑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안전보건 정보를 알려야 했다.”고 전했다. 



c_20090915_862_1937.jpg

▲ 산업재해로 절단된 작업자의 손가락. 산업재해 발생이 가능한 작업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채 그래도 방영되었다. ⓒ SBS 캡쳐, 한국노총.





극한직업=산안법 위반 사업장?

모니터링에서 심각한 지적을 받은 것은 EBS의 ‘극한직업’이었다. 안전보건연구소는 “극한직업의 대부분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업장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노동자도 직업병 발생 가능성이 높음에도 힘든 상황을 극복해내는 모습만 보여준다.”면서 “이는 잘못된 안전보건 인식을 제공하고 산업재해 방치를 여과 없이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청소년 시청이 많은 교육방송 특성상 이들에게 잘못된 직업정신 가치와 안전보건 불감증을 제공하여 앞으로 노동현장의 산업재해 예방에 큰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고 염려했다.

이외에도 시청률이 높은 KBS2TV 1박2일은 출연자가 달리면서 음식을 먹는 장면을, SBS 패밀리가 떴다는 구명장비 없이 수상 촬영하는 모습 등 안전보건 문제가 있는 장면이 여과 없이 방영되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 같은 장면을 보는 순간 지난 2004년 성우 장정진 씨가 KBS2TV ‘일요일은 101%’ 녹화 도중 소품용 떡을 급하게 먹다 기도가 막혀 한 달 만에 사망한 사건이 떠올랐다며 안전보건에서 방송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c_20090915_862_1938.jpg
▲ 구명조끼 입지 않은 제작진. 출연자는 구명조끼를 입었지만 그들 뒤의 스태프는 구명조끼 없이 일하고 있었다. ⓒ SBS 캡쳐, 한국노총.




출연자 및 제작진에게 안전보건교육 실시해야

한국노총 노동안전보건연구소는 각 방송사에 모니터링에서 지적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전달하고 ∇프로그램 사업장 섭외 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업장 섭외 자제 ∇위험한 상황의 무리한 연출 및 안전보건 희화화 자제 ∇시청자위원회 구성에 산업안전보건 전문가 참여 및 모니터링 실시 ∇프로그램 출연자 및 제작자에게 안전보건 교육 실시 등을 요구하였다.

2008년 우리나라는 9만5천806명(하루 262명 꼴)이 산업재해를 당했고 이중 2천422명(하루 7명 꼴)이 목숨을 잃었다. 산업재해로 발생한 지난 해 경제적 손실은 약 17조 1천억 규모로 GDP의 1.67%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산업재해율은 1997년 처음으로 1% 미만인 0.88%에 진입했으나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0.7%대의 재해율이 유지되고 있다. 참고로 일본의 2005년~2007년 산업재해율은 0.19%였다. 




번호 제목 날짜
529 [업종] 뻥 뚫린 조선업 안전, 이유 있었네 file 2012.04.08
528 [헤드라인] 지역명감, 제도에서 소외된 사업장 안전보건 챙길 수 있어 file 2012.04.08
527 [헤드라인] 홀로 야간작업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file 2012.04.08
» [헤드라인] 방송 재미보다 작업장 안전보건 우선 돼야 file 2012.04.08
525 [헤드라인] 고용형태 반영한 산업안전보건제도 구축 절실 [1] file 2012.04.08
524 [헤드라인] 노동자는 아픈 것보다 해고가 무섭다 file 2012.04.08
523 [헤드라인] 잇따른 타워크레인 산재사망, 전문 신호수만 있었어도… file 2012.04.08
522 [헤드라인] 정리해고는 살인, 현실로 드러나다 file 2012.04.08
521 [헤드라인] 건설현장 또 2명 사망, 이달에만 벌써 5명 산재사망 file 2012.04.08
520 [헤드라인] 건설현장 붕괴사고로 8명 산재사망이 천재지변 탓? file 2012.04.08
519 [헤드라인] 부족한 인력=노동강도 강화=의료서비스 질 저하 file 2012.04.08
518 [속보] 연면적 200㎡ 미만 건축물은 석면 덩어리여도 조사제외? file 2012.04.08
517 [속보] 여수건설노조 조합원 추락 사망(속보) file 2012.04.08
516 [속보]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요양 중이던 노동자 또 자살! file 2012.04.08
515 [속보]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창립 14주년을 축하합니다 file 2012.04.08
514 [업종] 택시노동자 건강권 투쟁, 부릉부릉~~~ file 2012.04.08
513 [업종] 민주택시연맹이 움직인다 file 2012.04.08
512 [헤드라인] 요양과 보상 분리 원칙 환영, 기초연금은 부족 file 2012.04.04
511 [헤드라인] 석면함유 탈크 취급 노동자 대책은 어디에? file 2012.04.04
510 버니 밴톤의 이름을 딴 연구센터 창립 file 2012.04.04
509 석면에 의해 남편을 잃은 부인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file 2012.04.04
508 노스캐롤라이나 화물노동자들 일을 멈추고 교섭을 요구하다 file 2012.04.04
507 영국의 우편배달부들 더 빨리 일하라는 압력에 시달리다 [1] file 2012.04.04
506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폭력으로 인해 공항이 분노에 휩싸이다 file 2012.04.04
505 테스코에서 판매되는 육류 포장 라벨로는 알 수 없는 노동자 차별과 착취의 문제 2012.04.04
504 다섯 명 중 한 명은 위험에 처해있다 file 2012.04.04
503 '직장 광우병'에 내몰린 비정규직 2012.04.04
502 아! 그 사람 열사여! -검은 리본을 띠면서 2012.04.04
501 “노동조합이 있어서 정말 행복하게 살았다.” 2012.04.04
500 속보] 2008년 6월 27일 대한주택공사 안산신길 경남아너스빌 사망사고에 대한 건설노조 성명발표 file 2012.04.0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