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사진을 인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c_20090520_753_1638.JPG

▲ 시신 수습 중인 소방대원. 화성시 택지개발지구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매몰된 시신을 찾아 수습하고 있다. ⓒ 연합뉴스





판교 붕괴사고 뒤 3개월 만에 또 다시 3명의 건설노동자가 사망하는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 공기에 쫓겨 산안법 규정 위반


지난 5월 18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청이 발주한 화성시 남양1 택지개발지구 내 터널 공사현장에서 암반 절개지가 무너진 것. 이 사고로 공사장 바닥 쪽에서 옹벽 거푸집 작업을 하던 중국동포 1명과 두 명의 건설노동자가 매몰되어 사망했다.


19일 사고 현장을 방문한 건설노조 박종국 노동안전보건국장은 “절개지가 쓸려간 현장은 토사붕괴 방지턱도 없고 경사를 너무 가파르게 깎았다.”면서 “사전에 충분한 지질조사 없이 공사를 강행한 것이 문제”라고 밝혔다.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에는 굴착면이 높을 경우 계단식으로 굴착하고 소단의 폭은 수평거리 2미터여야 하지만 사고현장은 공기에 쫓겨 규정을 제대로 안 지킨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박종국 국장은 “올해만 벌써 비슷한 사고 원인으로 모두 8명의 건설노동자가 산재사망 했다.”며 “부실공사 및 공사규정 위반을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월 동판교 SK케미칼 연구소 신축현장에서 붕괴사고로 3명, 수원 장안구 조원동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 붕괴사로고 1명, 남양주시 별내면 택지개발공사 옹벽 붕괴로 1명을 포함하면 붕괴사고로 상반기에만 8명의 건설노동자가 사망한 것. 





c_20090520_753_1639.JPG

▲ 무너진 공사현장. ⓒ 연합뉴스




# 간밤에 비 많이 내려 토사 붕괴라니


사고는 주로 경사면이 흙 무게를 이기지 못해 무너지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졌다. 충분한 지질조사와 사전조사로 대책을 세우고 공사를 진행하였다면 막을 수 있는 인재(人災)였다. 하지만 연속해서 일어나는 산재사망을 정부와 소방당국은 이를 천재지변으로 몰아가는 분위기라고 한다.


박종국 국장은 “현장에 가봤더니 간밤에 비가 많이 와서 토사가 무너져 내린 것이라며 인재보다는 천재지변에 무게를 두고 있었다.”면서 “지난 판교 사고도 해빙기라 땅이 녹아서 무너졌다는 식으로 분위기를 몰고 갔다.”며 정부에 강력한 재발방지를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이은 대형 붕괴사고에 어떤 재발방지대책을 내오고 책임자 처벌을 어떻게 할 지 노동부 행보가 주목된다. 한편 사망한 2명의 건설노동자는 경기중서부건설지부 조합원으로 밝혀졌다. 




[덧붙이는 글]

이명박 대통령이 죽창 시위가 국가 이미지에 큰 손상을 준다고 이야기했다는 뉴스가 도배되었다. 그런데, 정말 국가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것은 이처럼 연이어 비슷한 원인으로 노동자가 퍽퍽 죽어나가는데도 대책도 처벌도 안하는 정부 태도이지 않을까 싶다. 2008년, 한국의 산재사망자수는 인구 10만 명당 30.8명으로 OECD 가입국 중 최고의 산재사망률을 자랑(?)했다. 이웃 일본보다 100배 높고 2위 멕시코보다 3배 많은 수치. 이런 사실이 몇 년 째 계속되고 사업주 기 살리기에 올인한 정부가 책임자 처벌보다는 천재지변 탓을 하는 것이야말로 국가 이미지에 정말 큰 손상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번호 제목 날짜
529 [업종] 뻥 뚫린 조선업 안전, 이유 있었네 file 2012.04.08
528 [헤드라인] 지역명감, 제도에서 소외된 사업장 안전보건 챙길 수 있어 file 2012.04.08
527 [헤드라인] 홀로 야간작업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file 2012.04.08
526 [헤드라인] 방송 재미보다 작업장 안전보건 우선 돼야 file 2012.04.08
525 [헤드라인] 고용형태 반영한 산업안전보건제도 구축 절실 [1] file 2012.04.08
524 [헤드라인] 노동자는 아픈 것보다 해고가 무섭다 file 2012.04.08
523 [헤드라인] 잇따른 타워크레인 산재사망, 전문 신호수만 있었어도… file 2012.04.08
522 [헤드라인] 정리해고는 살인, 현실로 드러나다 file 2012.04.08
521 [헤드라인] 건설현장 또 2명 사망, 이달에만 벌써 5명 산재사망 file 2012.04.08
» [헤드라인] 건설현장 붕괴사고로 8명 산재사망이 천재지변 탓? file 2012.04.08
519 [헤드라인] 부족한 인력=노동강도 강화=의료서비스 질 저하 file 2012.04.08
518 [속보] 연면적 200㎡ 미만 건축물은 석면 덩어리여도 조사제외? file 2012.04.08
517 [속보] 여수건설노조 조합원 추락 사망(속보) file 2012.04.08
516 [속보]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요양 중이던 노동자 또 자살! file 2012.04.08
515 [속보]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창립 14주년을 축하합니다 file 2012.04.08
514 [업종] 택시노동자 건강권 투쟁, 부릉부릉~~~ file 2012.04.08
513 [업종] 민주택시연맹이 움직인다 file 2012.04.08
512 [헤드라인] 요양과 보상 분리 원칙 환영, 기초연금은 부족 file 2012.04.04
511 [헤드라인] 석면함유 탈크 취급 노동자 대책은 어디에? file 2012.04.04
510 버니 밴톤의 이름을 딴 연구센터 창립 file 2012.04.04
509 석면에 의해 남편을 잃은 부인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file 2012.04.04
508 노스캐롤라이나 화물노동자들 일을 멈추고 교섭을 요구하다 file 2012.04.04
507 영국의 우편배달부들 더 빨리 일하라는 압력에 시달리다 [1] file 2012.04.04
506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폭력으로 인해 공항이 분노에 휩싸이다 file 2012.04.04
505 테스코에서 판매되는 육류 포장 라벨로는 알 수 없는 노동자 차별과 착취의 문제 2012.04.04
504 다섯 명 중 한 명은 위험에 처해있다 file 2012.04.04
503 '직장 광우병'에 내몰린 비정규직 2012.04.04
502 아! 그 사람 열사여! -검은 리본을 띠면서 2012.04.04
501 “노동조합이 있어서 정말 행복하게 살았다.” 2012.04.04
500 속보] 2008년 6월 27일 대한주택공사 안산신길 경남아너스빌 사망사고에 대한 건설노조 성명발표 file 2012.04.0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