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사고일시 : 2009년 4월 17일(금) 14시 40분 경
사고현장 : 한화열병합 발전소 건설현장
원청사 : 한화건설

고인은 48년 생으로 여수건설노조 보온분회에 소속되어 후배들의 존경과 동료들의 사랑을 받아온 훌륭한 조합원이었다. 
사고 당일 한화열병합 발전소내 보일러 3호기의 펜트하우스 하부 보온작업을 하던 중 높이 40여미터 지점에서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사고 즉시 여천전남병원 응급실로 이송하였으나 머리부터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두개골 파열로 그 자리에서 유명을 달리하셨다. 현재 여천전남병원에 영안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여수건설노조 간부들과 보온분회 조합원들이 고인과 유가족을 지키고 있다.

이번 사고는 안전관리를 소홀히 한 한화건설과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노동부의 책임이 명백하다. 
약 한 달 전인 2월 중순에도 같은 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으나, 다행히 목숨만은 건진 일이 있었다. 
첫번째 추락사고 직후 노동조합에서는 안전관리가 부실한 문제를 지적하였으며, 관리강화를 분명히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똑같은 현장, 그것도 첫번째 추락이 발생했던 곳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서 또다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고, 결국 조합원이 목숨을 잃게 된 것이다. 안전망만 설치되어 있었다면, 조합원이 아까운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다.

한화건설이 첫번째 사고 이후에 관리소홀을 반성하고 건설노동자의 목숨을 지키기 위하여 안전망 설치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였다면 이와 같은 사고는 분명히 미연에 방지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여수건설노조는 한화건설이야말로 이번 산재 살인의 주범이라고 판단한다.

노동부 역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현장에 대하여 관리감독을 철저히하여 미흡한 안전관리 상황에 대해 사업주를 처벌하고 개선을 명령하였다면 한화건설이 이렇게 현장을 무방비 상태로 방치하지는 못하였을 것이다.

여수건설노조는 이번 사망재해의 정확한 원인규명과 부실한 안전관리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요구하며 4월 18일 오후 여수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 계획이다.

 

같은 현장 두번째 추락, 한화건설이 죽였다 !!!
안전망도 없이 작업했다. 한화건설 처벌하라 !!!
첫번째 추락 때 노동부는 뭐했느냐, 고인앞에 무릎꿇고 사죄하라 !!!
형식적 근로감독, 노동부는 자폭하라 !!!
파리목숨 건설노동자, 단결하여 안전쟁취 !!!

2009년 4월 17일

여수건설노동조합




c_20090418_718_1523.jpg




c_20090418_718_1524.jpg






번호 제목 날짜
529 [업종] 뻥 뚫린 조선업 안전, 이유 있었네 file 2012.04.08
528 [헤드라인] 지역명감, 제도에서 소외된 사업장 안전보건 챙길 수 있어 file 2012.04.08
527 [헤드라인] 홀로 야간작업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file 2012.04.08
526 [헤드라인] 방송 재미보다 작업장 안전보건 우선 돼야 file 2012.04.08
525 [헤드라인] 고용형태 반영한 산업안전보건제도 구축 절실 [1] file 2012.04.08
524 [헤드라인] 노동자는 아픈 것보다 해고가 무섭다 file 2012.04.08
523 [헤드라인] 잇따른 타워크레인 산재사망, 전문 신호수만 있었어도… file 2012.04.08
522 [헤드라인] 정리해고는 살인, 현실로 드러나다 file 2012.04.08
521 [헤드라인] 건설현장 또 2명 사망, 이달에만 벌써 5명 산재사망 file 2012.04.08
520 [헤드라인] 건설현장 붕괴사고로 8명 산재사망이 천재지변 탓? file 2012.04.08
519 [헤드라인] 부족한 인력=노동강도 강화=의료서비스 질 저하 file 2012.04.08
518 [속보] 연면적 200㎡ 미만 건축물은 석면 덩어리여도 조사제외? file 2012.04.08
» [속보] 여수건설노조 조합원 추락 사망(속보) file 2012.04.08
516 [속보]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요양 중이던 노동자 또 자살! file 2012.04.08
515 [속보]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창립 14주년을 축하합니다 file 2012.04.08
514 [업종] 택시노동자 건강권 투쟁, 부릉부릉~~~ file 2012.04.08
513 [업종] 민주택시연맹이 움직인다 file 2012.04.08
512 [헤드라인] 요양과 보상 분리 원칙 환영, 기초연금은 부족 file 2012.04.04
511 [헤드라인] 석면함유 탈크 취급 노동자 대책은 어디에? file 2012.04.04
510 버니 밴톤의 이름을 딴 연구센터 창립 file 2012.04.04
509 석면에 의해 남편을 잃은 부인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file 2012.04.04
508 노스캐롤라이나 화물노동자들 일을 멈추고 교섭을 요구하다 file 2012.04.04
507 영국의 우편배달부들 더 빨리 일하라는 압력에 시달리다 [1] file 2012.04.04
506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폭력으로 인해 공항이 분노에 휩싸이다 file 2012.04.04
505 테스코에서 판매되는 육류 포장 라벨로는 알 수 없는 노동자 차별과 착취의 문제 2012.04.04
504 다섯 명 중 한 명은 위험에 처해있다 file 2012.04.04
503 '직장 광우병'에 내몰린 비정규직 2012.04.04
502 아! 그 사람 열사여! -검은 리본을 띠면서 2012.04.04
501 “노동조합이 있어서 정말 행복하게 살았다.” 2012.04.04
500 속보] 2008년 6월 27일 대한주택공사 안산신길 경남아너스빌 사망사고에 대한 건설노조 성명발표 file 2012.04.0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