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광우병'에 내몰린 비정규직

2012.04.04 15:43

조회 수:8207

이상윤 건강연구공동체 상임연구원·노동건강연대 사무국장



이 상황에 있게 되면, 보통 사람들보다 3배나 숨질 위험이 높아진다. 이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사고를 더 많이 겪고, 질병에 더 잘 걸리며, 치료를 제때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런 처지에 있는 이들의 비극은 당대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의 자녀들은 다른 아이들에 견줘 건강하지 못하고, 커서도 질병에 걸릴 위험이 더 커진다. 더 안타까운 것은 부모가 이런 처지에 있으면 자녀도 나중에 커서 같은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끔찍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는 차별과 그것의 대물림이 보통 일이었던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다. 하루 1달러 미만의 생활비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인구의 절반이 넘는 가난한 나라의 이야기도 아니다. 이는 지금 현재 이 땅에서 벌어지고 상황이다. ‘괴담’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이는 괴담이 아니다. 최근 광우병 정국에서 이런 상황은 ‘일터의 광우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바로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사회경제적으로 차별과 배제에 시달릴 뿐 아니라 단지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만으로 더 많이 죽고 더 자주 병에 걸린다. 차별과 배제가 생명과 건강에 영향을 끼칠 정도면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 있는 이들이 적은 것도 아니다. 자그마치 850만명, 일하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 문제를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 문제의 해결 우선순위는 문제의 규모, 심각성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이런 상황이면 비정규직의 건강 문제는 국가가 해결해야 할 과제 가운데 최우선 순위에 놓이는 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너무 조용하다. 이 문제를 문제라고 말하는 이들은 물론 해결하려 나서는 이들도 적다. 다만 문제 해결이 어렵기 때문이라고만 말한다. 쉽지 않은 문제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해결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문제를 정말 심각하게 느낀다면 해답은 찾을 수 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도 일부 사람들은 문제 해결 방법이 없다고 말한다. 그들에게 재협상은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한 것이다. 국민들은 ‘왜 문제 해결책이 없냐’고 반문한다. 국민들에게 재협상은 가장 현실적이고 가능한 문제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지난 1일로 이른바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이 법을 비정규직 ‘보호법’이 아니라 비정규직 ‘양산법’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1년 넘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싸우고 있는 기륭전자, 이랜드, 코스콤, 고속철도(KTX) 및 새마을호 노동자들이 다시 거리로 나섰다.


비정규직 문제는 일터의 광우병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다.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만으로 더 많이 아프고 더 많이 숨져야 하는 현실은 반드시 개선돼야 할 과제다.




번호 제목 날짜
529 [업종] 뻥 뚫린 조선업 안전, 이유 있었네 file 2012.04.08
528 [헤드라인] 지역명감, 제도에서 소외된 사업장 안전보건 챙길 수 있어 file 2012.04.08
527 [헤드라인] 홀로 야간작업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file 2012.04.08
526 [헤드라인] 방송 재미보다 작업장 안전보건 우선 돼야 file 2012.04.08
525 [헤드라인] 고용형태 반영한 산업안전보건제도 구축 절실 [1] file 2012.04.08
524 [헤드라인] 노동자는 아픈 것보다 해고가 무섭다 file 2012.04.08
523 [헤드라인] 잇따른 타워크레인 산재사망, 전문 신호수만 있었어도… file 2012.04.08
522 [헤드라인] 정리해고는 살인, 현실로 드러나다 file 2012.04.08
521 [헤드라인] 건설현장 또 2명 사망, 이달에만 벌써 5명 산재사망 file 2012.04.08
520 [헤드라인] 건설현장 붕괴사고로 8명 산재사망이 천재지변 탓? file 2012.04.08
519 [헤드라인] 부족한 인력=노동강도 강화=의료서비스 질 저하 file 2012.04.08
518 [속보] 연면적 200㎡ 미만 건축물은 석면 덩어리여도 조사제외? file 2012.04.08
517 [속보] 여수건설노조 조합원 추락 사망(속보) file 2012.04.08
516 [속보]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요양 중이던 노동자 또 자살! file 2012.04.08
515 [속보]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창립 14주년을 축하합니다 file 2012.04.08
514 [업종] 택시노동자 건강권 투쟁, 부릉부릉~~~ file 2012.04.08
513 [업종] 민주택시연맹이 움직인다 file 2012.04.08
512 [헤드라인] 요양과 보상 분리 원칙 환영, 기초연금은 부족 file 2012.04.04
511 [헤드라인] 석면함유 탈크 취급 노동자 대책은 어디에? file 2012.04.04
510 버니 밴톤의 이름을 딴 연구센터 창립 file 2012.04.04
509 석면에 의해 남편을 잃은 부인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file 2012.04.04
508 노스캐롤라이나 화물노동자들 일을 멈추고 교섭을 요구하다 file 2012.04.04
507 영국의 우편배달부들 더 빨리 일하라는 압력에 시달리다 [1] file 2012.04.04
506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폭력으로 인해 공항이 분노에 휩싸이다 file 2012.04.04
505 테스코에서 판매되는 육류 포장 라벨로는 알 수 없는 노동자 차별과 착취의 문제 2012.04.04
504 다섯 명 중 한 명은 위험에 처해있다 file 2012.04.04
» '직장 광우병'에 내몰린 비정규직 2012.04.04
502 아! 그 사람 열사여! -검은 리본을 띠면서 2012.04.04
501 “노동조합이 있어서 정말 행복하게 살았다.” 2012.04.04
500 속보] 2008년 6월 27일 대한주택공사 안산신길 경남아너스빌 사망사고에 대한 건설노조 성명발표 file 2012.04.0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