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_내_네팔이주노동자_정신건강_실태조사.pdf



한국 내 네팔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2008년부터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네팔 노동자들의 자살이 2010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해가 갈수록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으로 이주한 네팔 노동자들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은 타국으로 이주한 네팔 노동자들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가 진행 중이던 20198월에도 한 건의 네팔 이주노동자 자살이 발생하였으며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서 겪는 여러 어려움과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상황들은 한국 사회의 시급한 문제이지만, 네팔 이주노동자를 비롯한 한국 내 이주노동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가 매우 희소하여 문제 파악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내 네팔 이주노동자들의 정신 건강 현황과 위험 요인,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인 탐구를 위한 후속 연구 기획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료실

일과건강 및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제공하는 자료 공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수
398 2020 노동안전보건실무학교 file 2020.06.11 1296
397 2020 (사) 일과건강 정기총회 file 2020.04.20 1098
396 [연구논문] 화학물질 지역사회알권리를 위한 시민사회역할 file 2020.02.13 1313
» 한국 내 네팔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file 2020.01.08 3735
394 [증언대회] 2018년 12월의 김용균, 2019년의 김용균들 file 2019.11.04 1081
393 고 김용균 사망사고 진상조사결과 종합보고서 2019.09.18 1350
392 서울의료원 간호사 사망사건 진상대책 조사결과 보고 file 2019.09.10 1265
391 과로사 과로자살 문제 대응의 경험과 과제 file 2019.09.05 1288
390 [토론회] 서산 한화토탈 화학사고, 그 이후를 묻다 file 2019.08.21 1196
389 2019 산재사망노동자 합동추모제 file 2019.07.02 1438
388 문재인 정부 노동안전보건 관련 공약 및 국정과제 2년 평가와... 2019.05.27 1297
387 2019 노동안전보건 실무학교 자료집 file 2019.04.10 1309
386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file 2019.01.31 3756
385 마트여성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쉴 권리찾기 토론회 file 2019.01.31 1295
384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2 file 2018.11.05 1948
383 환경호르몬 조사 [스포츠용품]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유해물질 공통안전기준 ... file 2018.10.25 2673
382 노동자건강권 쟁취 산재인정 투쟁역사 사진전 file 2018.07.13 1370
381 2018 노동안전보건 실무학교 자료집 file 2018.04.10 15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