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국회 공청회 

■ 일시 : 2014년 3월 20일(목) 15시 
■ 장소 :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212호) 
■ 주관 : 국회의원 은수미,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 주최 : 화학물질관리와 지역사회알권리법 공동발의단

주민이 나서야 기업이 바뀌고 우리지역이 안전해집니다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공동대표

1984년 12월 3일 새벽 인도 보팔, 미국 유니언카바이드사의 살충제 공장에서 메틸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 유독가스 45톤이 누출되어 2시간 동안에만 사망 6천9백, 중경상자와 성장이 멈춰 버린 어린이 등 50여 만명이 피해를 입는 세계 최악의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사고 발생 후 30년가량 지났지만 아직도 주변지역의 오염은 완전히 정화되지 않았고 아직도 손해배상에 관해 법정 공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은 1986년 응급계획 및 지역사회알권리법(The Emergency Planning Community Right-to-Know Act. EPCRA)을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그 다음해인 1987년 텍사스주에서 유독가스인 불산 24톤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주민대피는 20분만에 800m 내에서 소개되었고 인명피해는 사망자는 없고 1000여명이 병원치료를 받고 마무리되었습니다. 

20140320_05.jpg2012년 9월, 대한민국 경북 구미의 휴브글로벌 회사에서 미국사례와 같은 불산 누출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누출량은 미국의 절반에 도 못미치는 10여톤, 하지만 그 피해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주민대피령은 4시간 후에 내려졌고 그 사이 5명의 노동자가 사망하고 18명 입원, 1만2천명 검진, 주민보상액만도 380억에 이르는 초유에 산업, 환경재해로 기록되었다. 

한 두달 여기저기서 정부와 관련부처, 회사의 안전보건관리과 대응체계의 허술함이 지적되었지만 그 이후로도 청주엘지, 화성삼성, 여수기름유출, 남양주시 빙그레 암모니아 누출사고까지 2013년 상반기에만 총 36건이 발생하여 예년 평균에 5배 이상 급증할 만큼 수차례 반복되고 있습니다. 

전사회적으로 화학물질사고가 회자되면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미국의 경우와 비교에서 나타났듯이 지역주민에게 그 위험성을 가감없이 알리고 노사민정의 일원화된 응급대응계획인 [지역사회알권리법]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오늘 이 자리가 화학물질 사고예방과 비상대응체계 마련의 출발점이 되었으면 합니다. 선진국 화학물질관리 핵심은 화학물질 정보를 제대로 주민들에게 공개하고 참여를 보장해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주민이 나서야 기업과 정부가 바뀌고 우리지역이 안전해집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오늘 발족한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는 앞으로 화학물질 정보공개 청구운동과 지역사회알권리법 제정 캠페인 등을 통해 노동자, 시민분들과 함께 할 것입니다. 많은 관심과 지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역사회 알권리 공청회 자료집
?

자료실

일과건강 및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제공하는 자료 공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수
431 환경성 암환자 찾기를 위한 단체 간담회 file 2021.07.26 229
430 일반자료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TOXIC-FREE)를 위한 국민선언 제... file 2016.07.18 517
429 화학물질(MSDS)영업비밀 사전심사제도 도입을 위한 토론회 file 2017.02.20 1129
428 한국 내 네팔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file 2020.01.08 550
427 학교급식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대안모색 토론회 file 2021.09.29 292
426 플랫폼·배달노동자 안전보건 실태조사 결과 토론회 file 2021.06.23 428
425 산업재해통계 포럼자료집 : 우리나라 산재통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2012.04.01 10521
424 파리바게트 안전보건 및 모성보호 관련 설문조사 결과 (2018년) file 2022.05.19 280
423 파리바게뜨 여성노동인권 개선 방안 모색 국회 토론회 file 2022.07.12 252
422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file 2019.01.31 372
421 일반자료 토론회 토론문_환경운동연합 49 file 2013.02.14 14280
420 건설노동자 타워크레인, 하늘의 절규 file 2012.04.01 9208
419 케이블방송 현대HCN 외주업체 작업환경・산업안전보건 실태 토... file 2021.10.01 285
418 케이블ㆍ통신 노동자 산업안전 보건 실태 및 제도개선 방안 ... file 2022.09.08 197
417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2 file 2018.11.05 369
416 치유와 회복을 위한 고 천민우 주무관 과로사 원인조사위원회... file 2022.04.05 265
415 철도안전법 개정에 관한 정책토론회 file 2016.10.27 509
414 중기부 및 산하 공공기관 고객센터 노동안전 보건 실태조사 ... file 2022.12.15 1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