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화학물질사고 더 이상 ‘앙대여’ 1차 캠페인 및
6.4 지방선거 예비후보 공개질의

일시 및 장소 : 2014년 4월 3일(목) 12시, 보신각
- 화학물질사고 더 이상 ‘앙대여’ 대국민 캠페인에 나선다!
27일 이산화탄소 누출사망사고, 삼성전자는 모든 자료를 공개하라!
공개율 10%에 머무르고 있는 기업의 화학물질 정보를 전면 공개하라!
국민청구인단 모집과 청구소송으로 우리동네 위험지도를 제작하고 알권리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알권리 보장법(지자체 조례) 제정운동을 펼친다.

- 6.4 지방선거 예비후보 공개질의를 통해 정치권의 대책을 듣는다!
전국주요지역 여수국가산단, 울산국가산단, 청주/오창산단, 경기(수원/화성), 인천지역 참여단체는 해당지역 예비후보 공개질의를 통해 ‘화학물질 정보공개청구’와 ‘지역사회알권리 보장법 제정’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을 공개하고 그에 맞는 실천 활동을 펼친다.

_1070139.jpg _1070135.jpg지난 3월 20일 발족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는 27일 전국동시 1인 시위 및 인증샷 공동행동의 날 행사에 이어 오늘 4월 3일 12시 보신각에서 화학물질사고 더 이상 ‘앙대여’ 1차 캠페인 및 6.4 지방선거 예비후보 공개질의내용을 발표한다.

27일 이산화탄소 누출사망사고, 삼성전자는 모든 자료를 공개하라!
이번 3월 27일 삼성전자 화성공장 이산화탄소 누출사고 대응과정에서도 나타났듯이 관련 의혹에 대한 정보공개를 전면 거부하고 있는 대기업의 횡포는 하루빨리 막아야 한다. 삼성전자는 소방설비 오작동 원인과 제기되고 있는 의혹들에 대해 CCTV 등 객관적인 자료를 가감없이 공개하여 사고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재발방지대책에 세워야 한다.

전면적인 화학물질 정보공개로 우리동네 위험지도 보급하고 알권리를 보장하라!
기업체의 화학물질 공개율 10%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화학물질 정보를 제대로 공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3년 심상정의원실 조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조사대상인 전국 16,547개 기업체 중 86%인 14,225개 기업이 자신들이 취급하는 화학물질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나, 대기업의 경우는 92.5%가 화학물질 비공개 사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많은 유해화학물질이 기업비밀이라는 이유로, 취급량이 적다는 이유로, 사고대비물질이 아니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고 우리주변에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알권리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알권리 보장법(지자체 조례)을 제정하라!
세계 화학물질 사고의 교훈은 정부주도만의 대책으로는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화학물질 사고예방과 비상대응체계 마련을 위해 미국 의회가 1986년 제정한 ‘응급계획과 지역사회 알권리법’이나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민발의 65호, 캐나다 토론토의 지역사회알권리 조례안’이 대안이다. 주민들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차원의 민관이 함께하는 화학물질관리체계가 지역사회알권리법과 지자체 조례로 시급히 만들어져야 한다.

6.4지방선거 예비후보들은 화학사고예방과 대응체계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소속 지역단체들은 전국주요지역 여수국가산단, 울산국가산단, 청주/오창산단, 경기(수원/화성), 인천지역에서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예비후보들에게 공개질의서를 보낸다. ‘화학물질 정보공개청구’와 ‘지역사회알권리 보장법 제정’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을 공개하고 그에 맞는 실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5f610924e58425029b7e6d31b184574b.jpg

6.4 전국동시지방선거 공개질의서

2014년 4월 2일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
건강한일터·안전한성동만들기사업단/건설산업연맹/노동환경건강연구소/녹색미래/노원노동복지센터/민주노총/민변환경보건위원회/반도체노동자의건강과인권지킴이/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사람과환경연구소/서울아이쿱/여성환경연대/여수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오창유해화학물질감시단(준)/울산시민연대/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천연대/일과건강/작은것이아름답다/청주시민정치네트워크/한살림/화학섬유연맹/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