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산재처리 지연 대책 및  직업성암 산재인정 촉구 기자회견

지난 3월 9일 (목) 직업성·환경성 암환자찾기119는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 우원식 의원과 함께 국회에서 '산재처리 지연 대책 및 직업성암 산재인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photo_2023-03-09_10-40-26.jpg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무리한 역학조사를 통한 협소한 과학적 증명에서 벗어나, 폭넓게 산재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를 상대로 △산재 처리 지연에 따른 공식 사과 △역학조사 180일 초과 사건에 대한 산재 ‘선보장’ △인정 기준 확대 및 처리 기간 단축 등을 요구했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은 노동자가 업무상질병이나 업무상사고를 당한 경우 요양비(치료비)와 휴업급여(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여 치료받을 권리와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하는 공적 보험제도다.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하며, 업무상질병인지 여부에 대해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역학조사 기관은 근로복지공단의 직업환경연구원이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하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다.

문제는 역학조사가 지나치게 지연돼 제때 필요한 산재보험 적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역학조사 운영규정에 있는 180일의 처리 기한을 훌쩍 넘어, 최소 2~3년, 길게는 5~6년씩 걸리는 실정이다. 이러한 처리 지연의 문제로 인해 특히 직업성암 피해노동자들은 결과를 기다리다 죽어가는 경우까지 반복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3D프린터 육종암 사망노동자 고 서울씨의 아버지 서정균씨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아들의 육종암 공무상재해 사건도 2년 넘게 역학조사가 길어졌다"며 "더 지체없이 공무상재해를 인정하라"고 호소했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02Jul
    by
    2024/07/02

    2024 산재사망 노동자 합동추모제

  2. 10Mar
    by 관리자
    2023/03/10

    산재처리 지연 대책 및 직업성암 산재인정 촉구 기자회견

  3. 25Jan
    by
    2023/01/25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유해물질에서 안전하게! 살아남기!'

  4. 15Dec
    by
    2022/12/15

    중기부 및 산하 공공기관 고객센터 노동안전 보건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및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5. 21Nov
    by
    2022/11/21

    '현장 인력부족은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어떻게 파괴하고 있나' 현장사례 발표 및 건강권단체 제언 종합 기자간담회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74 Next
/ 7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