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기자회견


지난 9월 26일(월) 오전 11시 상암문화광장에서  '2022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기자회견'이 열렸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이 발언자로 참여했다. 서울시 노동센터협의회는 9월 26일부터 한달동안을 서울 산업안전 공동 캠페인 기간으로 선포하고 공동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시 노동센터협의회가 진행하는 서울 산업안전 공동캠페인 진행에 부쳐

 

한인임(일과건강 사무처장)

 

서울시에서 노동자 인권과 기본권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노동센터협의회에서 급기야 노동안전을 주제로 한 캠페인을 한 주에 걸쳐 무려 20회나 진행한다고 하니 반갑기 그지 없다.

 

너무나 당연한 권리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불가능한 죽지 않고 살 권리또한 노동기본권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지금까지 OECD 국가 중 노동자가 가장 위험한 나라로 자리매김해 버렸다.

 

사실 이 통계조차도 신뢰할 수 없다. 산업재해를 신청해서 승인되지 않으면 통계로 잡히지 않는 구조 때문에 실제로 직업을 가진 노동자가 사망해도 산재 신청을 하지 않거나 승인되지 않으면 업무와 관련 없이 사망한 게 돼 버리기 때문이다. 직업을 가진 상태에서 암에 걸려 사망한 사람이 연간 4만 명이지만 산재로 드러난 노동자는 고작 160, 직업을 가진 상태로 자살한 국민은 7천 명인데 산재로 드러난 자살자는 고작 10명 내외인 것이 현실이다.

 

다행히도 그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이라 생각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올 해 막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윤석열 정부는 시행령을 개정해 법의 입법취지를 무력화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OECD 산재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시민사회, 노동단체, 유족이 나서서 제정한 법률을 고작 시행령 개정으로 무력화하려는 태도는 입법기관인 국회를 무시한 처사이고 국회의원을 뽑은 국민을 무시한 처사이다.

 

대한민국이 정상 국가로 제대로 서기 위해서는 정치가 올바로 서야 하고 시민사회가 두 눈 똑바로 뜨고 위험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은 감시해야 한다. 특히 검찰, 재판부의 제대로 된 법 집행이 그 어느 시기보다 필요한 시기이다. 약자의 편에 서지 않고 강자의 편에 지금처럼 계속 서 있다면 대한민국을 비정상 국가로 끌고 간 책임을 물어야 한다.

 

오늘의 캠페인이 시작이 되어 더 안전한 대한민국 작업장에서 노동자들이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일과건강 연대LIVE]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시민추모제_...

    11월 5일 (화) 오후 7시 서울 강남역 8번 출구앞에서 노동안전단체주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시민추모제'가 열렸습니다. 노동자의 노동 없이, 기업의 이윤 또한 만들어지지 않는 만큼,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에스코넥과 삼성 또한 아리셀 참사에 책임을 다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추모제가 끝난 후 참가자들은 삼성전자 사옥을 행진했습니다.
    Date2024.11.06
    Read More
  2. [일과건강 연대LIVE] 옵티칼로 가는 연대버스

    2022년 10월 불이 난 뒤 가동을 멈춘 한국옵티칼하이테크. 지난 1월8일부터 고용승계를 요구하며 옵티칼 해고노동자 박정혜(38) 수석부지회장과 소현숙(41) 조직2부장이 고공농성 중입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일본 닛토덴코의 또 다른 자회사 한국니토옵티칼로 고용승계할 것을 요구 하고 있습니다. 고공농성 300일을 맞는 11월2일 전국에서 노동자·시민...
    Date2024.11.02
    Read More
  3. [일과건강 연대LIVE]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해결 촉구대...

    2024년 10월 29일(화) 오후 4시 에스코넥 본사 앞에서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해결 촉구대회 '에스코넥이 책임져라!'가 열렸습니다. 10월 29일로 23명 노동자가 사망한 아리셀 참사 128일을 맞습니다. 피해자 유족의 절박한 투쟁으로 박순관 대표이사는 구속기소되고 아리셀·에스코넥의 불법파견, 군납비리 진상이 드러나고 있지만 아리셀 모기업인 에스코넥...
    Date2024.11.01
    Read More
  4. [일과건강 연대LIVE] 아리셀 참사 목요 집중 추모제

    10월 24일 오후 7시 에스코넥 앞에서 아리셀 참사 목요 집중 추모제가 열렸습니다. 아리셀은 에스코넥의 전지사업부서로 출발해 에스코넥으로부터 200억 원이 넘는 지원금을 지원받았으며 현재 아리셀 지분의 96%는 에스코넥 소유입니다. 특히 시료 바꿔치기 등 군납비리의 출발과 지시 주체가 에스코넥이었음이 경찰 수사결과 밝혀진 바 있습니다. 에스코...
    Date2024.10.28
    Read More
  5. 세종호텔 정리해고 1000일 50리 복직의 길 도보행진

    10월 15일 (화)~16일(수) 세종호텔 정리해고 철회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세종호텔 정리해고 1000일 50리 복직의 길 도보행진'을 진행했습니다.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정리해고된 지 1000일하고도 41일이 되던 날입니다. 1일차에는 세종호텔 자회사 KTSC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보행진을 시작해, 세종대를 지나 세종호텔로 이어졌습니다. 세종호텔은 2...
    Date2024.10.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4 Next
/ 7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