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공사기간 단축, 노후시설교체 연장! 사고는 계속된다!

 

일과건강 현재순

 

지난 314, 1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대형참사로 이어진 여수국가산단 대림산업 폭발사고로 석유화학공단의 위험성이 다시한번 확인되었다. 화약고라 불리는 여수국가산단은 60년대말 호남정유를 시작으로 지금의 여수국가산업단지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7~80년대 석유화학공장들이 하나둘씩 입주하고 지금에 화학단지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고 90년대 말 IMF 때 잠시 주춤하는가 싶더니 경기활성화에 힘입어 신증설로 인해 기존의 규모보다 3배정도 커져 대규모 석유화학단지가 조성되었다. 지금도 증설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곳 석유화학공장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은 늘어난 공장을 보면 한숨과 함께 가슴이 먹먹할 따름이다. 증설이나 리멥핑(기존공장을 리모델하여 생산량을 증대)으로 공장규모는 커졌는데 오히려 운전할 인원이 줄었기 때문이다. 신증설 공장엔 기존공장에서 인원을 빼내와 배치하고 기존의 공장은 인원이 줄었는데도 불구하고 공정 합리화란 명목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한다. 구조조정을 통해 줄어든 인원만큼 남아있는 원청노동자들의 노동강도는 배가 된다. 때문에 안전관리부터 각종 업무는 소홀해 질 수 밖에 없다. 이번 대림산업 폭발사고는 이를 아주 잘 보여주는 사고이다.

 

정기보수공사(대정비공사)에 많은 협력사(건설업체) 건설노동자들이 들어와 보수공사를 하지만 원청인 공장인원은 공정운전 하기도 빠듯한 인원이기에 협력사 공사를 지원,관리감독할 인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원청노동자 한사람이 여러 장의 작업허가서를 들고 안전관리를 할 수 밖에 없는 대정비 작업의 현실, 결국 대형 사고로 이어진 것이다.

또한 화학공장 특성상 수직 계열화 즉, 원부원료와 기타 공장운전에 기초적인 유틸리티를 공유하며 서로 주고 받는 형태이다 보니 어느 한 공장을 정기보수 하다보면 그곳과 연관되어 있는 타공장들은 가동률을 줄이거나 기간이 길어지면 공장 자체를 꺼야하는 상황까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서로 협의 하에 일정을 조정한다고는 하지만 일정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에 따른 손실이 막대하다보니 보수 일정을 최대한 짧게 잡거나 기존에 잡은 일정을 앞당겨 가동하는 일이 늘상 일어난다. 그러하다보니 안전은 이미 형식적일 수 밖에 없다.

 

여기에 각 회사마다 경쟁구도에 있다보니 과도한 성과주의도 한몫을 담당하게 된다. 일단 임원으로 승진을 하게 되면 성과에 따라 자신들의 입지가 정해지기 때문에 당장에 눈앞에 보이는 성과를 내기위해 무리수를 두게 된다. 투자나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게 된다. 이미 건설하도급문제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최저가 도급제 뿐만아니라 최저가 낙찰제에 공장들이 멍들어 가고 있다. 석유화학 공장 특성상 소모되는 자재나 기계부품들이 고가이거나 각 공정에 맞게 다루어지는 특수한 재질들이 많이 취급되고 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최저가 입찰이 정착되다보니 가장 싼 제품들이 들어오고 싸게 들어오는만큼 품질에는 기대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결국 사람이 밟아 파손될 정도의 부품을 사용한 청주 염소누출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더구나 공정의 안정이나 필요시 요구되는 자재나 부품들을 일정부분 확보를 해야 하나 당장에 성과에 확보자체를 없애거나 수량자체를 줄여 유지보수가 원할치 못하는 지경까지 이른 상황이다. 제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니 공장 노후화는 진행속도가 배가 되고 크고 작은 잘 알려지지 않은 사고들이 늘상 발생하게 되고 급기야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공장 노후화는 가중되고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돈을 줄이다 보니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노동강도는 강해지고 공장과 노동자의 피로도는 날로 늘어만 가고 있다. 이처럼 화학공단은 이미 계속된 사고를 예고하고 있다.

 

여수산단의 각 공장들은 천문학적인 돈을 벌여 들인다. 그러다보니 공장의 가동율 역시 늘상 최고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30만톤 공장을 가동하면서 45만톤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게 뭘까! 가동률이 높을수록 정기적인 보수시간을 줄일 수 밖에 없고 적시에 보수가 이루어지질 않다보니 각 공장들의 노후화는 그만큼 빨라질 수밖에 없게 되어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로 변해가는 것이다.

 

여수 대림산업폭발사고가 난지 보름이 지나가고 있다. 이천냉동창고 화재로 40여명이 죽었을 때나 엘지화학청주공장 폭발로 8명이 죽었을 때처럼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의 관심 밖으로 사라질 것이다. 정부는 특별안전점검을 한다며 호들갑을 떨지만 점검을 나오는 각 기관들의 공무원들은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고 점검기간을 미리 공지하니, 회사는 청소깨끗이 하고 박자를 맞추어주면 벌금 몇백, 몇천으로 끝이다. 결국 사고가 나면 그곳에서 일하는 원청과 협력업체 노동자들이 위험을 알면서도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현실이다.

 

적정인력을 보장하지 않고 최저가낙찰제로 정비보수관리를 위한 공사를 강행하는 한,

대림 여수폭발사고가 우리의 기억에서 사라질 때 쯤, 전국 어느 석유화학공단에서 든 앞서 언급된 일들이 무한반복될 것이고 결국 또 하나의 속보를 보게 될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번호 제목 날짜
589 사회복지공무원 4명 중 1명 “최근 자살충동 경험” file 2013.05.14
588 사회복지, 법원공무원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사발표 [2] file 2013.05.08
» ‘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68] file 2013.04.02
586 여수폭발사고는 클리닝 작업과 데드존체크 미실시가 부른 대형참사이다. [58] file 2013.03.19
585 [기획연재 2] 기록도 없이 사람 죽어나가는 그곳엔 무슨 일이… [60] file 2013.02.27
584 '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67] file 2012.11.26
583 [기획연재 1] 우리는 일터에 죽으러 가지 않았습니다 [46] file 2012.10.31
582 [산재통계]고용노동부, 2012.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공표 [60] file 2012.09.24
581 [해외]300명 이상 산재사망한 파키스탄 노동자를 기억합니다 [56] file 2012.09.18
580 [해외]300명 사망 파키스탄 의류공장 화재, 남의 나라 이야기? [52] file 2012.09.17
579 [공유]각시탈 보조출연자 첫 산재 인정 [59] file 2012.09.13
578 용광로 쇳물 쏟아져 청년노동자 2명 사망 [70] file 2012.09.11
577 ‘각시탈’ 최종회서 사망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 [54] file 2012.09.07
576 노동부, 산업재해율 높거나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 259업체 명단 공개 [64] file 2012.09.06
575 연이은 밀폐공간 내 중대재해, 이대론 안된다. [49] file 2012.08.29
574 원청(발주처)의 무책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가좌역 선로에서 목숨을 잃은 건설노동자를 애도하며- [60] file 2012.08.23
573 부러우면 지는 것? 부러워만 하면 지는 것! [53] file 2012.07.31
572 기분 좋은 연애의 시작...찰떡궁합 시장과 국회의원 [45] file 2012.07.16
571 "하루 7명씩 사라지는 이 서러운 죽음은 이제 누구의 것입니까?" [64] file 2012.07.04
570 정규직보다 훨씬 건강한 비정규직, 진짜? [66] file 2012.07.04
569 보이지 않는 그림자 방사능,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68] file 2012.07.04
568 15세 소년 문송면의 죽음을 기억하십니까? [50] file 2012.06.27
567 고리, 영광 원전 사고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file 2012.06.07
566 직업병조차 유전될 지 모른다 [101] file 2012.05.15
565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 file 2012.05.08
564 소 잃고 외양간 안 고쳐 또 잃는 공기업 [54] file 2012.04.26
563 삼성전자 입사 후 3년 생리가 끊겼다, 그리고... file 2012.04.23
562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53] file 2012.04.13
561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아픔을 모르는 청소년에게 고함 [67] 2012.04.08
560 냉매가스 프레온에 의한 질식재해 [47]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