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지난 10월의 마지막날 노동자 3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상을 입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다. 사고는 배를 만드는 목포 대불산단 내 원당중공업 사내하도급 업체인 민주이엔지 사업장에서 가스가 폭발한 것이다. 

사고 발생원인은 전날 누출된 가스가 선박 블럭에 가득 차 있었고 아침 작업시작 전 냄새가 심하게 났지만 무리하게 블록 안으로 투입된 노동자들이 용접을 시작하면서 폭발이 발생한 것이다. 

사고가 나자 주요언론의 방송행태는 변함없이 전날 가스를 누출시킨 작업자 부주의를 운운하면서 안전불감증을 부각시켰다. 가스냄새가 남에도 산업안전보건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밀폐공간내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엄두도 못내고 블록내로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조선소의 근무조건과 원청, 하도급업체 간악마의 계약이라 불리는 구조적 문제를 거론하는 언론은 없었다. 

원인은 명백하다. 
사내하청사업주는 하청노동자들에게 산소농도체크 장비를 지급치 않는다.  
그 이유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과 같은 재벌 원청업체가 돈벌이에만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악마의 계약"을 강요하고 하청단가를 후려치고 있다. 다단계 피라미드 사업처럼 1억원에 수주된 공사는 3~4단계 도급을 거치며 4차 하청업체는 4천만을 가지고 공사를 해야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사장도 먹고 살아야 하니 안전조치를 위한 비용은 없어진다. 

이런 악마의 계약은 조선소에서 만연해있다. 냄새는 났지만 장비가 지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용접기 불을 당길 수 밖에 없다. 또한, 하청노동자들은 장비지급을 요구할 수도 없다. 장비지급을 요구하면 그런 회사로 가라고 하기 때문이다. 가족 전체의 생계를 걸고 가스농도 체크를 요구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법을 위반했을 때의 처벌이라도 강해야하는데 벌금 몇 푼이나 기소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법치국가라면 정부당국 노동부의 강력한 처벌의지가 있어야 한다. 
이번 사고의 경우 원청과 사내하도급업체 사업주의 불법행위가 명백하다. 
원청인 (주)원당중공업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를 위반했고, 사내하도급 업체인 (유)민주이엔지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안전조치를 위반으로 최고 5년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의 이하의 벌금에 해당된다. 

이렇게 명확히 잘못한 주체가 있고 악마의 계약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명명백백 드러나있는데도 매번 똑같은 원인의 중대사망사고를 막지 못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국회 국정감사 때만 되면 국회의원들의 정부기관을 호통치는 소재로 안전보건문제가 제일 많이 이용된다는 안타까운 분석도 있다. 

또한, 최근 선거철을 앞두고 대선후보들의 산업왕국 탈출을 위한 행보가 전해지기도 한다. 진정, 중대재해를 막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번호 제목 날짜
589 사회복지공무원 4명 중 1명 “최근 자살충동 경험” file 2013.05.14
588 사회복지, 법원공무원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사발표 [2] file 2013.05.08
587 ‘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68] file 2013.04.02
586 여수폭발사고는 클리닝 작업과 데드존체크 미실시가 부른 대형참사이다. [58] file 2013.03.19
585 [기획연재 2] 기록도 없이 사람 죽어나가는 그곳엔 무슨 일이… [60] file 2013.02.27
» '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67] file 2012.11.26
583 [기획연재 1] 우리는 일터에 죽으러 가지 않았습니다 [46] file 2012.10.31
582 [산재통계]고용노동부, 2012.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공표 [60] file 2012.09.24
581 [해외]300명 이상 산재사망한 파키스탄 노동자를 기억합니다 [56] file 2012.09.18
580 [해외]300명 사망 파키스탄 의류공장 화재, 남의 나라 이야기? [52] file 2012.09.17
579 [공유]각시탈 보조출연자 첫 산재 인정 [59] file 2012.09.13
578 용광로 쇳물 쏟아져 청년노동자 2명 사망 [70] file 2012.09.11
577 ‘각시탈’ 최종회서 사망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 [54] file 2012.09.07
576 노동부, 산업재해율 높거나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 259업체 명단 공개 [64] file 2012.09.06
575 연이은 밀폐공간 내 중대재해, 이대론 안된다. [49] file 2012.08.29
574 원청(발주처)의 무책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가좌역 선로에서 목숨을 잃은 건설노동자를 애도하며- [60] file 2012.08.23
573 부러우면 지는 것? 부러워만 하면 지는 것! [53] file 2012.07.31
572 기분 좋은 연애의 시작...찰떡궁합 시장과 국회의원 [45] file 2012.07.16
571 "하루 7명씩 사라지는 이 서러운 죽음은 이제 누구의 것입니까?" [64] file 2012.07.04
570 정규직보다 훨씬 건강한 비정규직, 진짜? [66] file 2012.07.04
569 보이지 않는 그림자 방사능,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68] file 2012.07.04
568 15세 소년 문송면의 죽음을 기억하십니까? [50] file 2012.06.27
567 고리, 영광 원전 사고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file 2012.06.07
566 직업병조차 유전될 지 모른다 [101] file 2012.05.15
565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 file 2012.05.08
564 소 잃고 외양간 안 고쳐 또 잃는 공기업 [54] file 2012.04.26
563 삼성전자 입사 후 3년 생리가 끊겼다, 그리고... file 2012.04.23
562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53] file 2012.04.13
561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아픔을 모르는 청소년에게 고함 [67] 2012.04.08
560 냉매가스 프레온에 의한 질식재해 [47]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