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영광 원전 사고피해 모의실험 결과 발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seocode.png

박승준 일본 관서학원대학 종합정책학부 준교수와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탈핵에너지국장은 지난 2월부터 일본의 원자력발전소 사고평가 프로그램인 세오코드(SEO code)를 한국의 핵발전소에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세오 코드는 원자력발전소 사고 시 인명피해를 수치화 한 것으로 1980년대에 故 세오 타케시 박사가 개발해 핵산업계가 아닌 민간부분에서 일본 전역의 원전 사고에 따른 인명 피해를 조사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일본 내에서 원전 사고에 따른 경제피해는 1960년에 일본 정부에 의해서 진행되었지만 1999년까지 공개되지 않았고 그 이후 민간 부분에서 박승준 교수의 피해연구(2003년, 2005년)가 유일한데, 이번 분석은 한국에서는 최초로 경제적 피해를 계산한 것이다.   

사고 모델로 선택한 영광 원자력 발전소(이하 원전) 1호기와 고리 원전 1호기가 대사고(방사성 물질 방출량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정도) 및 그보다 심각한 거대사고(방사성 물질 방출량에서 체르노빌 원전사고 정도)가 발생한 경우, 바람이 부는 방향에 대도시가 존재하는 최악의 경우에는 막대한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다.   

원전 사고 정도에 따라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추정되어 집단피폭량이 산출되는데, 피폭량과 인명 피해의 상관관계는 국제방호위원회(ICRP)가 1990년에 권고한 리스크 계수인 1만명 시버트(Sv)당 암발생 1,735, 암사망 500건, 유전 장애 100건을 적용했다. 하지만 고프만의 경우 치사성 암발생 건수를 4,000건으로 보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인명피해는 보수적으로 설정되었다. 이 보다 2~8배 높게 보는 연구도 있다. 

영광 원전 사고 시 서울로 바람이 부는 경우를 가정했을 경우, 암사망이 최대 55만명, 경제적 피해액은 최고 451조원이 된다. 광주로 바람이 보는 경우를 가정했을 경우, 암사망이 최대 39만7천명에 최고 235조원의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 

고리 원전 사고 시 부산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를 가정했을 경우, 급성사망이 최대 4만8천여명, 암사망은 85만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 경제적 피해액은 최고 628조까지 증가한다. 

피난조치를 취하게 되면 급성 사망과 같은 급성 장애나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만발성 장애의 발생수를 다소 줄일 수 있지만 30km 이내지역에서 2일, 그보다 먼 지역은 피난기간이 15일 가량 걸린다고 가정하게 되면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폭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오염정도가 피난기준(체르노빌 원전 사고 당시 구소련의 기준을 참고: 단위면적당(m²) 세슘137이 148만 베크렐인 경우)에 들지 않아 피난조치를 하지 않게 되어 발생하는 피폭으로 인해 암발생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고리 원전은 인근에 대도시 부산이 있어 대규모 피폭을 피할 수 없어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하는데 그나마 부산시 전역을 대피시키게 되면 암발생률이 크게 떨어진다. 하지만 그만큼 경제적 손실이 커진다.   

고리 원전 거대사고에서, 부산광역시 동구(약 30km 지점)에서 피난 조치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는 43%이 암으로 사망하지만 15일내에 전원을 피난시키게 되면 암사망률을 약 5%까지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빨리 피난을 하게 되면 암사망율을 더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부산지역 대부분을 피난시키게 되면, 경제적 손실이 대폭 증가한다(대사고의 경우 34조원 -> 235조원, 거대사고의 경우 438조원 -> 628조원: 2010년 명목 GDP의 약 53.5%). 생명을 구하기 위한 대책비용이 생명가치를 대폭 상회하게 되는 셈인데, 대도시의 시민들을 피난시키는 데는 경제적 손실이 크고, 이번 분석에서 암사망의 통계적 생명가치(VSL)가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선행 연구된 독일, 일본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집단피폭량과 그에 따른 인명피해가 대부분의 경우에서 비슷한데 한국이 고리 원전의 경우 대도시, 부산이 가까워 인명피해가 더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금액이 전반적으로 10배가량 더 낮은 이유는 한국의 통계적 생명가치(VSL)가 이들 국가들보다 낮기 때문이다.   

제염비용과 사고수습비용 포함 시, 천문학적 액수
부산시 전역 대피계획 아니면 고리 1호기 폐쇄해야


이번 분석에서는 인명피해를 중심으로 인명피해의 경제적 환산 가치와 피난 비용과 피난으로 인한 소득 상실 비용만 경제적 피해로 산출했다. 원전사고가 발생하기 전으로 회복되기 위한 방사능오염 제거작업(제염작업)이나 사고 수습비용, 폐로비용, 사고로 인해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나 폐기물 비용은 계산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비용이 포함된다면 천문학적인 경제적 피해가 예상된다. 

하지만 한국은 한국수력원자력(주)이 가입되어 있는 보험에 의한 배상액은 500억원이고 배상책임이 3억 SDR(약 5천억원)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비용은 정부에서 부담할 수밖에 없고 이는 전기요금의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일본의 경우 보험 배상액 1천2백억엔, 추가 비용은 전력회사가 원칙적으로 부담). 

 대규모 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돌이키기 어려운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인근인 부산에서는 수명이 다한 고리 원전 1호기 폐쇄결정이 미뤄지고 있고 최근 계획된 신규 원전의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는 대형 사고를 예상하지 않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역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예상 외’의 사고였다. 인구밀도가 높고 좁은 국토를 가진 한국에서 위험한 원전을 계속 가동하고 확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값비싼 선택임을 이번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번호 제목 날짜
589 사회복지공무원 4명 중 1명 “최근 자살충동 경험” file 2013.05.14
588 사회복지, 법원공무원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사발표 [2] file 2013.05.08
587 ‘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68] file 2013.04.02
586 여수폭발사고는 클리닝 작업과 데드존체크 미실시가 부른 대형참사이다. [58] file 2013.03.19
585 [기획연재 2] 기록도 없이 사람 죽어나가는 그곳엔 무슨 일이… [60] file 2013.02.27
584 '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67] file 2012.11.26
583 [기획연재 1] 우리는 일터에 죽으러 가지 않았습니다 [46] file 2012.10.31
582 [산재통계]고용노동부, 2012.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공표 [60] file 2012.09.24
581 [해외]300명 이상 산재사망한 파키스탄 노동자를 기억합니다 [56] file 2012.09.18
580 [해외]300명 사망 파키스탄 의류공장 화재, 남의 나라 이야기? [52] file 2012.09.17
579 [공유]각시탈 보조출연자 첫 산재 인정 [59] file 2012.09.13
578 용광로 쇳물 쏟아져 청년노동자 2명 사망 [70] file 2012.09.11
577 ‘각시탈’ 최종회서 사망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 [54] file 2012.09.07
576 노동부, 산업재해율 높거나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 259업체 명단 공개 [64] file 2012.09.06
575 연이은 밀폐공간 내 중대재해, 이대론 안된다. [49] file 2012.08.29
574 원청(발주처)의 무책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가좌역 선로에서 목숨을 잃은 건설노동자를 애도하며- [60] file 2012.08.23
573 부러우면 지는 것? 부러워만 하면 지는 것! [53] file 2012.07.31
572 기분 좋은 연애의 시작...찰떡궁합 시장과 국회의원 [45] file 2012.07.16
571 "하루 7명씩 사라지는 이 서러운 죽음은 이제 누구의 것입니까?" [64] file 2012.07.04
570 정규직보다 훨씬 건강한 비정규직, 진짜? [66] file 2012.07.04
569 보이지 않는 그림자 방사능,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68] file 2012.07.04
568 15세 소년 문송면의 죽음을 기억하십니까? [50] file 2012.06.27
» 고리, 영광 원전 사고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file 2012.06.07
566 직업병조차 유전될 지 모른다 [101] file 2012.05.15
565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 file 2012.05.08
564 소 잃고 외양간 안 고쳐 또 잃는 공기업 [54] file 2012.04.26
563 삼성전자 입사 후 3년 생리가 끊겼다, 그리고... file 2012.04.23
562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53] file 2012.04.13
561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아픔을 모르는 청소년에게 고함 [67] 2012.04.08
560 냉매가스 프레온에 의한 질식재해 [47]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