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012.05.08 16:27

조회 수:17536


응원·따뜻함 가득찬 삼성직업병피해자 한혜경 후원음악회

하루 전날부터 다짐했습니다. '울지 말자. 사회를 보면서 눈물 흘리지 말자.' 삼성직업병 피해 당사자와 그들과 함께하려는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진행자가 눈물을 보이면 혜경씨를 응원하는 자리가 중심을 잃지 않을까, 라는 염려 때문이었습니다.
 
지난달 27일 열린 '삼성직업병 피해자 한혜경 후원음악회-엄마, 더 행복해질게요'는 정말 한 분, 한 분의 따뜻함과 응원하는 마음이 모인 자리였습니다. 음악회에 출연하신 분들은 노래면 노래, 연주면 연주, 그림이면 그림, 자신들이 가진 재능을 기꺼이 후원하셨습니다.
 
삼성직업병 피해자와 유족의 이야기를 담은 만화책 <삼성에 없는 단 한 가지, 사람냄새>의 김수박 작가와 <먼지 없는 방-삼성반도체 공장의 비밀>을 그린 김성희 작가는 미리 얘기되지 않았던 즉석 사인행사를 흔쾌히 받아주었죠. 후원음악회는 그렇게 '이야기, 한혜경'으로 시작했습니다.

5927_다름아름.jpg
▲사진 4월 27일 삼성직업병피해자 한혜경 후원음악회에서 다름아름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다름아름은 2011년 연극 '반도체 소녀' OST작업에도 참여했다.

이야기, 한혜경의 첫 순서는 봄눈별의 인디언플루트 연주였습니다. 치유 음악회를 진행 중인 봄눈별은 이날 "특별히 마음의 고통을 덜어주는 음악을 준비"해 다치고 생채기 난 삼성 직업병 피해자들의 마음을 평화롭게 위로했습니다. 봄눈별은 트위터로 혜경씨 후원음악회에 함께 줄 분을 찾는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답을 한 분이기도 합니다.
 
뒤를 이은, 다름이 아름다운 세상을 노래하는 다름아름(박은영, 황현)은 오늘의 노래가 혜경씨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면 좋겠다"며 '턱을 헐어요'와 '다시는 아프지 말자'를 선사했습니다. 다름아름은 2011년, 삼성반도체 직업병 문제를 다룬 연극 <반도체 소녀> OST에 참여한 분들입니다.


 
휠체어에서 내려 걸어서 무대에 오른 혜경씨

오마이_3_사진_1.jpg
▲ 후원음악회에 참석한 한혜경(맨 왼쪽)씨가 박수치며 노래를 같이 부르고 있다.

주인공 소개가 빠질 수 없죠. 혜경씨와 어머니(김시녀), 혜경씨의 행정소송 변호인인 조지훈 변호사가 무대에 섰습니다. 휠체어에 앉아 있었던 혜경씨는 엄마의 도움이 있었지만 걸어서 무대 위로 올랐습니다. 휠체어를 뒤로한 혜경씨에게 "이제는 못 하는 게 없어"라고 한 어머님의 말에 뿌듯함이 묻어납니다.
 
혜경씨는 스스로 이렇게 소개했습니다. "제가 산재인정 받길 위해 있는 한혜경입니다." 혜경씨 어머니는 "녹색병원에서 나갈 때는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가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인사를 합니다. 조지훈 변호사는 2011년 4월부터 행정소송 중인 혜경씨 상대가 왜 근로복지공단을 넘어 삼성인지를 얘기했습니다.
 
"이 소송은 피고가 근로복지공단인 소송인데, 삼성전자가 근로복지공단을 도와주기 위해서 피고보조 참가인으로 들어와 실제로는 한혜경씨와 삼성전자와의 소송이 진행되는 것입니다. 쉽지 않은 싸움입니다. 1심, 2심 결론이 어떻게 나든 대법원까지 갈 소송입니다. 그 과정에서 한혜경씨의 건강도 소송의 승패도 좋은 결과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세 사람이 내려간 무대는 영상이 채웠습니다. 영상 속의 혜경씨는 어눌해진 말, 중심을 못 잡는 몸을 스스로 '바보 같다'라고 표현하면서도 재활에 힘을 쏟고 삼성과의 싸움에도 빠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름다운 음악과 노래들로 가득 찬 음악회

6133_참좋다.jpg
▲ 직장을 마치고 후원음악회로 가쁘게 달려온 참여연대 회원노래모임 '참좋다'의 공연모습.

1부 '이야기, 한혜경'을 넘어 후원음악회는 2부 '희망, 더 행복해지기!'로 넘어갑니다. 행복해지기의 처음은 트럼펫 연주가 힘차게 열었습니다. 노동가요를 만드는 김호철씨가 "공연 제목처럼 한혜경씨가 행복해지길 바란다"며 '인터내셜가'에 이어 산업재해노동자 이야기를 다룬 '잘린 손가락'을 연주와 노래로 들려주었습니다.
 
직장인들이 모인 참여연대 회원노래모임 '참좋다' 팀과 우쿨렐레 공연을 한 '릴리와친구들'은 금요일 저녁, 개인시간을 포기하고 후원음악회로 달려온 분들이죠. 참좋다는 "빨리 퇴근도 못한데다, 지하철도 밀리더라"면서 늦을까봐 다급했던 마음을 전하고는 "열심히 응원하고 후원하는" 마음을 담아 '노래여 날아가라' '이 길의 전부'를 불렀습니다. 
 
릴라와친구들은 "실력만 보면 이 무대에 서기가 부끄럽지만 마음만은 차고 넘치기에, 한혜경 님이 꼭 걸어서 춘천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득 안고 왔다"며 '봄이 오는 길' '너에게 난 나에게 넌' '나의 노래'를 경쾌한 우쿨렐레 선율로 전달했어요.

6307_박준_김호철.jpg
▲ 노동가요 작곡가이면서 음악감독인 김호철, 노동가수 박준,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사무국장 양삼봉 씨가 
함께 무대를 만들었다.

민족시인 이적 목사는 시 '꽃 한송이-한혜경씨에게'를 보내왔습니다. 이적 시인은 한혜경 씨를 "비틀어진 세상의 줄기가 되리라고" 다짐하는, "오늘도 이를 악물고 버팅기고 서 있는 겨울 들녘 쓰러지지 않고 서 있는 꽃송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노동자가 있는 현장과 늘 함께 하는 가수 박준씨는 깜짝 이벤트를 선보였습니다. 노래에 앞서 "명동거리에서 만난 작은 마음을 전해드리고 싶다"며 명동성당 앞 거리공연에서 모인 성금을 혜경씨 어머님께 전달했어요. 객석과 함께 부른 '행복의 나라', '힘들지요'는 울림이 더욱 커졌습니다. 

6169_릴라와친구들.jpg
▲ 하와이 악기인 우쿨렐레 공연을 선보인 '릴라와친구들'
 
후원음악회는 점점 마무리를 향해 갑니다. '희망, 더 행복해지기!'에서 가장 기다렸던 시간일지도 모릅니다. 혜경씨와 어머니가 서로에게 마음을 담은 편지를 읽었습니다. 어머님은 첫 마디보다 눈물이 앞질러 나왔습니다. "우리 딸 이름 세 글자만 불러도" 마음이 아픈 어머니는 "돈 주고도 못 사는 사람들을 알게 해준" 엄마 딸 혜경씨에게 "정말 고맙다"고 했습니다. "열심히 재활치료 받아서 우리를 도와준 모든 사람들한테 걸어서 보답하자"는 말도 잊지 않았습니다. 혜경씨는 짧지만 커다란 마음이 담긴 편지를 또박또박 읽었습니다.
 
"엄마, 항상 죄송해요. 제가 아파서 엄마가 고생이 많아요. 전 엄마가 안 아팠으면 좋겠어요. 병원에서 7년이나 좁은 침대에서 주무시는 것도 항상 죄송하고요. 엄마 인생을 빼앗은 것도 미안하고요. 제가 빨리 걸어서 다 보답할게요. 조금만 기다리세요. 엄마, 사랑해요."

삼성직업병 피해자와 유족은 물론 객석에 있던 분들에게 혜경씨와 어머니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되었나봐요. 눈가가 붉게 물든 음악회 참석자들과 삼성직업병 피해자, 유족, 후원음악회를 준비한 사람들 모두가 혜경씨가 좋아하는 노래 '장미'를 불렀습니다.
 
"당신에게선 꽃내음이 나네요~♬ 잠자는 나를 깨우고 가네요. …… 어여쁜 꽃송이 가슴에 꽂으면 동화 속 왕자가 부럽지 않아요. …… 어쩌면 당신은 장미를 닮았네요. 어쩌면 당신은 장미를 닮았네요~♪"
 
혜경씨와 어머님이 더 행복해지기를, 걸어서 춘천 가자는 희망이 현실이 되기를 바라는 응원과 따뜻한 마음들이 후원음악회 공간을 꽉 채우며 '삼성직업병피해자 한혜경 후원음악회, '엄마, 더 행복해질게요'는 끝나갔습니다. 


6527_삼성피해자.jpg
▲ 삼성직업병피해자 한혜경 후원음악회 '엄마, 더 행복해질게요'가 끝난 뒤 피해자 분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앞줄 가운데가 뇌종양 수술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한혜경씨이고 바로 뒤가 어머니(김시녀) 입니다. 
삼성반도체 백혈병 피해자 고 황민웅씨 아내 정애정씨(왼쪽), 고 황유미씨 아버지 황상기 어르신.

한혜경씨 후원계좌와 4월 27일 후원음악회 당일 후원함에 응원을 보태신 분들입니다. 모두 141명의 따뜻한 마음이 함께 했습니다. 후원계좌(4월27일 기준)로 612만5천 원, 후원음악회 날 262만2천 원이 모였습니다. 고맙습니다.
 
한혜경씨를 계속 응원하고 싶은 분은 일과건강(전화_02-490-2091, 2097, http://safedu.org)으로 연락주세요. 한 분, 한 분에게 인사를 드리지 못한 점 너그럽게 생각해주시고요. 통장과 후원봉투에 적힌 문구를 그대로 옮깁니다. 

건강하세요, 이재명, 편수현, 서주희, 힘내세요, 문성식, 박정원, 조철현, 정해성, 함께하는마음, 힘내세요, 힘내세요 강소라, 김평근, 김희주, 힘내세요, 인산영구법, 힘내세요, 정주성, 힘내세요, 힘내세요, 김현준, 하정호, 방영석, 언니힘내세요, 주종훈, 힘내세요, 혜경씨화이팅, 꼭걸으시길, 박성희, 쾌차, 윤정원, 힘내시고건강해, 홍기성, 파이팅,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유창식, 홍남표, 힘내세요, 응원할게요!!, 김광윤, 김미정, 조성혜, 황인영, 박진한, 이태경, 행복이, 조준경, 힘내세요, 손미정, 예수님마음, 부산에김정민, 이민영, 김태윤, 박은사, 최진영, 날이산이엄마, 최권행, 한혜경님응원합, 힘내세요, 힘내세요!, 김영조, 조수근, 최성애, 한세희, 빠른쾌유빕니다, 최병호, 권오갑, 힘내세요., 김휘기, 김영준, 황은희, 힘내세요!, 힘내세요화이팅, 나두식, 신은희, 힘내세요, 정경순, 김고은, 힘내세요, 최지환, 이순복, 강용균응원합니, 김정수, 송치화, 대학노조, 김용일, 재활센터일동, 대학서울본부, 오순임, 녹색병원노동조합, 한국교회인권센터, 녹색병원건강증진센터, 보리출판사, 녹색병원 양길승 원장, 금속노조 노안실장 고인섭, 금속노조 노안부장 김범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병원 김현희, 녹색병원 서진영, 녹색병원 봉선미, 녹색병원 한지원, 녹색병원 김은주, 서울대 로스쿨 산업재해 노동자와 소통하는 클리닉, 녹색병원 약제과 최혜영, 녹색병원 약제과 장지연, 녹색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녹색병원 3102호실, 녹색병원 배순영, 원진재단 박석운 이사, 이진수, 환경정의, 녹색병원 직업환경의학실, 갈산교회 안인철 목사, 녹색병원 영상의학과, 참여연대 회원노래모임 참좋다, 김창영, 익명(25명) 



번호 제목 날짜
589 사회복지공무원 4명 중 1명 “최근 자살충동 경험” file 2013.05.14
588 사회복지, 법원공무원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사발표 [2] file 2013.05.08
587 ‘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68] file 2013.04.02
586 여수폭발사고는 클리닝 작업과 데드존체크 미실시가 부른 대형참사이다. [58] file 2013.03.19
585 [기획연재 2] 기록도 없이 사람 죽어나가는 그곳엔 무슨 일이… [60] file 2013.02.27
584 '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67] file 2012.11.26
583 [기획연재 1] 우리는 일터에 죽으러 가지 않았습니다 [46] file 2012.10.31
582 [산재통계]고용노동부, 2012.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공표 [60] file 2012.09.24
581 [해외]300명 이상 산재사망한 파키스탄 노동자를 기억합니다 [56] file 2012.09.18
580 [해외]300명 사망 파키스탄 의류공장 화재, 남의 나라 이야기? [52] file 2012.09.17
579 [공유]각시탈 보조출연자 첫 산재 인정 [59] file 2012.09.13
578 용광로 쇳물 쏟아져 청년노동자 2명 사망 [70] file 2012.09.11
577 ‘각시탈’ 최종회서 사망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 [54] file 2012.09.07
576 노동부, 산업재해율 높거나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 259업체 명단 공개 [64] file 2012.09.06
575 연이은 밀폐공간 내 중대재해, 이대론 안된다. [49] file 2012.08.29
574 원청(발주처)의 무책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가좌역 선로에서 목숨을 잃은 건설노동자를 애도하며- [60] file 2012.08.23
573 부러우면 지는 것? 부러워만 하면 지는 것! [53] file 2012.07.31
572 기분 좋은 연애의 시작...찰떡궁합 시장과 국회의원 [45] file 2012.07.16
571 "하루 7명씩 사라지는 이 서러운 죽음은 이제 누구의 것입니까?" [64] file 2012.07.04
570 정규직보다 훨씬 건강한 비정규직, 진짜? [66] file 2012.07.04
569 보이지 않는 그림자 방사능,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68] file 2012.07.04
568 15세 소년 문송면의 죽음을 기억하십니까? [50] file 2012.06.27
567 고리, 영광 원전 사고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file 2012.06.07
566 직업병조차 유전될 지 모른다 [101] file 2012.05.15
»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 file 2012.05.08
564 소 잃고 외양간 안 고쳐 또 잃는 공기업 [54] file 2012.04.26
563 삼성전자 입사 후 3년 생리가 끊겼다, 그리고... file 2012.04.23
562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53] file 2012.04.13
561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아픔을 모르는 청소년에게 고함 [67] 2012.04.08
560 냉매가스 프레온에 의한 질식재해 [47]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