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2012.04.13 20:39

조회 수:14749

안전한 것이라고 믿었던 식품들이 위험한 물질로 오염된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분노하게 된다. 게다가 제조자에 의해 조장된 것이라면 더 그러하다. 먹을 것 갖고 장난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은 그 어떤 명제보다 준엄하기 때문이다. 건강을 해치는 외부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정보를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그런데 제조자나 생산자가 불순한 의도로 음식에 장난을 치지 않았는데도 위험물질이 발생할 경우는 어떨까. 대표적인 예로 감자칩이나 프렌치프라이(french fry·길쭉한 모양의 감자튀김)를 살펴보자. 지금부터 논의할 주제는 감자칩과 프렌치프라이가 갈색으로 먹기 좋은 빛깔을 내고 맛이 깊어질수록 생기는 발암물질, ‘아크릴아미드’에 대한 이야기다. 아크릴아미드는 탄수화물과 아스파라긴이 들어 있는 음식이 180도 수준까지 열을 받아 요리될 때 생성된다고 한다. 감자칩이나 감자튀김은 이 조건을 완벽하게 갖춘 대표 음식이다. 수분 함량이 적을 경우 더 많이 발생하는데 수분이 적으면 더 빨리 열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얇게 썰어 만든 감자칩일수록, 가늘게 뽑아낸 감자튀김일수록 아크릴아미드 함량은 더 많아질 수 있다. 아크릴아미드는 신경독성·유전독성·생식독성 그리고 발암성을 갖는 유독한 화학물질이다. 세계 보건기구산하 국제 암연구소에서 인간 발암 가능물질로 분류돼 있다. 이것이 발생된 음식을 먹을 경우 자궁내막암과 난소암, 그리고 신장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으면 어떨까. 일부 연구에 의하면 집에서 만든 생강빵·쿠키·팝콘·튀긴감자·토스트·볶은 커피나 커피 대체품 등에서도 조리시간이나 방법에 따라 외부 음식에서 발견되는 양에 준하는 아크릴아미드가 발견된다고 한다. 재료와 조리방법이 문제지 장소가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아크릴아미드가 들어 있는 음식을 엄마가 섭취할 경우 태반을 거쳐 음식물에 있던 아크릴아미드가 이동하기도 하고 모유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태아나 신생아 입장에서는 감자튀김 맛도 못 봤는데 자기 의사와 무관하게 아크릴아미드에 노출돼 인생에서 처음으로 억울한 일을 경험하게 된다. 

아크릴아미드의 발생량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요리 시간과 온도, 재료들의 크기나 굵기다. 요리 시간이 짧을수록, 요리 온도가 낮을수록, 재료가 두꺼울수록 아크릴아미드의 발생량은 적어진다고 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아크릴아미드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180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최소한의 시간 동안, 재료는 두껍게 준비하도록 권고하기도 한다. 물론 그만큼 맛은 덜하다. 옛말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더니, 반대로 좋은 맛이 때로는 몸에 이롭지 못한 것도 사실인가 보다. 

튀기지 않고 굽는 것은 어떨까. 구운 감자가 한때 유행이었던 적이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아크릴아미드의 발생량에 있어 구워서 요리하는 방법이 튀기는 방법에 비해 크게 나은 것은 아닌 듯하다. 경우에 따라 튀길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아크릴아미드가 발생하기도 한단다.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동일한 양을 먹더라도 체중당 섭취되는 양은 성인에 비해 2~3배에 이른다. 아크릴아미드의 독성 영향을 좀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태반을 통과하고 모유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태아와 신생아의 건강을 위해 산모들에게는 아크릴아미드가 함유돼 있는 음식을 자제시키는 연구결과도 있어 건강한 식습관의 설계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크릴아미드에 대한 정보를 널리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유명 패스트푸드점에서는 자신들이 만든 감자튀김·햄버거 등에 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아크릴아미드가(첨가된 것이 아니라) 함유돼 있다는 사실을 소비자에게 알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소비자들에게 알권리를 확고히 보장해 줘야 한다. 발암물질의 경우 더 시급하다.

번호 제목 날짜
589 사회복지공무원 4명 중 1명 “최근 자살충동 경험” file 2013.05.14
588 사회복지, 법원공무원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사발표 [2] file 2013.05.08
587 ‘여수 폭발사고’를 바라보는 원청노동자의 호소 [68] file 2013.04.02
586 여수폭발사고는 클리닝 작업과 데드존체크 미실시가 부른 대형참사이다. [58] file 2013.03.19
585 [기획연재 2] 기록도 없이 사람 죽어나가는 그곳엔 무슨 일이… [60] file 2013.02.27
584 '악마의 계약'이 부른 죽음 - 조선업 사망사고의 진실 [67] file 2012.11.26
583 [기획연재 1] 우리는 일터에 죽으러 가지 않았습니다 [46] file 2012.10.31
582 [산재통계]고용노동부, 2012.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공표 [60] file 2012.09.24
581 [해외]300명 이상 산재사망한 파키스탄 노동자를 기억합니다 [56] file 2012.09.18
580 [해외]300명 사망 파키스탄 의류공장 화재, 남의 나라 이야기? [52] file 2012.09.17
579 [공유]각시탈 보조출연자 첫 산재 인정 [59] file 2012.09.13
578 용광로 쇳물 쏟아져 청년노동자 2명 사망 [70] file 2012.09.11
577 ‘각시탈’ 최종회서 사망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 [54] file 2012.09.07
576 노동부, 산업재해율 높거나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 259업체 명단 공개 [64] file 2012.09.06
575 연이은 밀폐공간 내 중대재해, 이대론 안된다. [49] file 2012.08.29
574 원청(발주처)의 무책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가좌역 선로에서 목숨을 잃은 건설노동자를 애도하며- [60] file 2012.08.23
573 부러우면 지는 것? 부러워만 하면 지는 것! [53] file 2012.07.31
572 기분 좋은 연애의 시작...찰떡궁합 시장과 국회의원 [45] file 2012.07.16
571 "하루 7명씩 사라지는 이 서러운 죽음은 이제 누구의 것입니까?" [64] file 2012.07.04
570 정규직보다 훨씬 건강한 비정규직, 진짜? [66] file 2012.07.04
569 보이지 않는 그림자 방사능,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68] file 2012.07.04
568 15세 소년 문송면의 죽음을 기억하십니까? [50] file 2012.06.27
567 고리, 영광 원전 사고시, 최대 85만명 암사망, 인명피해와 피난비용으로 628조원 file 2012.06.07
566 직업병조차 유전될 지 모른다 [101] file 2012.05.15
565 "두 모녀가 걸어서 떳떳하게 나갈게요" [2] file 2012.05.08
564 소 잃고 외양간 안 고쳐 또 잃는 공기업 [54] file 2012.04.26
563 삼성전자 입사 후 3년 생리가 끊겼다, 그리고... file 2012.04.23
»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발암물질 [53] file 2012.04.13
561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아픔을 모르는 청소년에게 고함 [67] 2012.04.08
560 냉매가스 프레온에 의한 질식재해 [47]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