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알권리
2017.05.29 00:19

화학사고 지역대응체계 구축 전국워크샵

조회 수 3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5월 24일 (수) 수원시 팔달구청에서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주관한 '화학사고 지역대응체계 구축 전국워크샵'이 진행되었습니다. 인천 서구, 광주 광산구, 평택시, 양산시 등 시범선정 4개 지역 이외에 수원, 파주, 군산, 울산, 안산, 영주, 시흥, 의왕, 의정부·양주 등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와 함께하는 9개 지역 담당자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전국에서 모범적으로 화학물질위원회 운영과 시행규칙이 만들어진 수원시 알권리 조례운영 사례를 듣고 지역별 활동방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조례를 발의한 백정선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으로 부터 제정계기, 어려움, 의원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2016년 3월 21일 수원시 화학사고 대응 및 지역사회 알권리 조례가 통과 되었습니다.  2014년 10월 31일 삼성전자본사와 삼성전기 단지가 연해있는 수원 원천리천에서 물고기 1만여 마리가 집단 폐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원인이 삼성전자 본사 중수도처리시설 공사 중 소독과정이던 폐수가 우수토구를 통해 잘 못 방류돼 일어났음이 밝혀졌습니다. 이후 시민사회와 수원시가 1년여 노력한 결과로 만들어진 조례가 만들어졌습니다. 조례

안의 주요내용으로는 △화학물질로부터 시민이 안전할 권리를 위한 시장의 책무,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행정지원(화학사고 위험등급 설정, 비상대응계획 수립, 고독성물질의 감시 및 화학물질정보센터 설치`운영 등), △화학사고위원회의 설치`구성, △시민의 알권리 실현을 위한 화학물질정보공개 및 평가에 관한 사항 등 입니다.

이후  수원시 화학물질 위원회 위원인 환경정책과, 사업주, 시민단체 위원이 운영관련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토크쇼를 진행하였습니다. 2부는 1부 내용을 토대로 조례 제정과 미제정 각 지역별 향후 활동방향을 토론하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향후 매월 지역별 논의를 거쳐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활동이 진행될 계획입니다.화학사고 지역대응체계 구축이 어떻게 완성될지 많은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세요~

18697994_1479436538786003_8416865556351585575_n.jpg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모색 군산토론회

    화학물질사고, 군산은 안전한가?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모색 군산토론회 지난 6월 22일 (목) 오후 4시 군산 소룡동 주민센터 회의실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 활성화 방안 모색 군산토론회'가 열렸다. 전북 안전사회를위한모임(준) (이하 전북 안전모), 발암물질없는 군산만들기 시민행동, 군산시의회 김성곤의원이 공동주최하였으며, 군산...
    Date2017.06.26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2. 알권리 조례 이행,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알권리 조례 이행,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내실있는 알권리 조례 이행을 위한 제언 글 : 김신범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수원시화학사고관리위원회 부위원장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 조례’ 제정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조례 제정운동은 오래 된 것이 아니다. 2012년 구미 불산누출사고 이후 ...
    Date2017.06.23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3.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조례 제정 및 시행을 촉구하는...

    일과건강이 사무국을 맡고 있는 알권리보장을위한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는 지난 6월 19일(월)~23일(금) ‘화학물질 안전관리 알권리조례(이하 알권리조례) 제정 및 시행을 촉구하는 전국 공동행동’을 진행했습니다. 참여자들은 각 지자체 앞에서 ▲알권리조례 제정 ▲화학물질관리위원회 즉각 구성 ▲사업장 위해관리계획서 주민 고지 등을 요구했습니다. ▲ 지난...
    Date2017.06.23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4.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 지난 5월 24일 (수), 31일 (수), 6월 2일 (금), 9일 (금) 네차례에 걸쳐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이 열렸습니다. 4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하여 환경호르몬과 유해물질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좀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열띤 토론을...
    Date2017.06.21 Category화학물질알권리
    Read More
  5. 문송면/원진레이온 29주기 산재사망노동자 합동추모제에...

    문송면과 원진레이온 산재사망노동자 29주기 합동추모제가 열립니다. 1988년, 15살 문송면은 일하다 수은에 중독돼 숨졌습니다. 그리고 원진레이온의 수많은 노동자가 장시간 노동과 이황화탄소 중독으로 직업병을 얻었지요. 그리고 2017년. 지금 우리의 일터는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올해 초, LG유플러스 고객센터에서 현장실습을 하던 노동자가 엄청난 ...
    Date2017.06.14 Category취약노동자 안전보건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74 Next
/ 74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