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에게 물었다. “아버지, 삶은 고통인가요?” 아버지가 대답했다. “글쎄다아~ 내, 삶은 계란은 들어봤어도 삶은 고통은 처음 들었구나…” 『이현정의 삶은 고통』은 ‘삶은 고통’은 들어보지도 않았다는 아버지의 위트와 같은 좌충우돌 이현정의 세상살이 입니다. 
  
창가 옆. 혹시나 하고 뿌렸던 씨앗이 돋아나고 자라 이제 어엿한 새잎이 된 것이 신기하기도, 대견하기도 해 올려봅니다. 사진보면서 잠시나마 따뜻하고 여유있는 시간 갖길 바라면서…


c_20090708_804_1760.jpg

▲ 창가옆 나란히 돋아나는 씨앗들. ⓒ 이현정



책상이 있는 쪽 창밖 모습입니다.


유월 초에 2년 전 받은 백일홍, 채송화, 봉선화를 나란히 심었습니다. 오래된 꽃씨라 "돋아날까??" 의심을 하며. 그런데 어느 날. 돋아난 새싹을 보았습니다.


"이렇게 신기할 수가!"


이때 처음 사진을 찍어 일과건강 뉴스레터(7월 1일자) 하단에 실었지요. 이때만 해도 몇 개 나지 않았던 때 입니다. 그런데 또 어느 날. 창밖을 보니 초등학생 1학년이 조회시간에 줄을 서 있듯 새잎이 나란히 나 있더군요. 불과 3~4일 전입니다. 사진 네모를 친 곳이 바로 씨앗을 뿌린 곳이지요. 잘 안 보이나요?


좀 더 확대해볼까요?



c_20090708_804_1761.jpg

▲ 순번을 기다리듯 일렬로 자란 강철새잎들. ⓒ 이현정



이렇게 두 줄 입니다.


오른쪽 줄은 드문드문한데 왼쪽은 빼곡하게 새잎이 돋았습니다. 세 가지 씨앗을 섞어 뿌려 좀 더 자라봐야 어느 놈이 백일홍인지, 채송화인지, 봉선화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봉선화가 자라면 올해는 꽃물을 들여볼랍니다.


빼곡한 왼쪽 줄은 자라면서 조금 문제가 될 것도 같습니다.



c_20090708_804_1762.jpg

▲ 여린만큼 우람한 새잎. ⓒ 이현정



마른 땅을 뚫고 나온 새잎입니다.


뿌리기도 늦었고 땅도 말라 남들 꽃 피울 때 이녀석들은 계속 자라야 할지 모르지만, 늦으면 어떻습니까? 결국은 백일홍, 채송화, 봉선화 인것을.



강철새잎(박노해/시, 조민하/가락)


저기를 보아라 새잎이 돋아온다

아가의 여린 손 마냥

따 사론 봄볕에 실눈을 부 비면서

고목에 새록새록 새순이 돋아온다

하! 연둣빛 새 이파리

네가 바로 강철이구나

엄혹한 겨울도 두터운 껍질도

자신의 힘으로

보드라움으로 이겼으니 썩어

가는 것들 크게 썩은

바로 그 곳에서

분노처럼 불끈불끈

새 싹이 돋는구나

부드런 만큼 강하게

여린 만큼 우람하게

아! 썩어진 고목에

새록새록 새순이 돋는구나

강철 새잎이 돋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