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사진을 인용할 때는 출처를 꼭 밝혀주세요. 특히 상업용으로 쓰실 때는 반드시 사전협의를 거쳐 사용해야 합니다.


자신의 건강이 자신 주변의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수없는 연구, 조사결과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한다면 현대를 사는 직장인의 건강문제는 잠자는 시간외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직장 내의 노동조건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 될 것입니다.


c_20091215_907_2135.JPG

▲ 국회 앞에서 영업시간 제한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이는 서비스유통노동자. ⓒ 민간서비스연맹



밤에 낮처럼 일하는 노동자 많아져

동식물도 주변 환경에 따라 적응하는 대응방법이 있습니다. 건조한 사막지대의 선인장, 반대로 하루 종일 물속에 잠겨있는 물풀, 그리고 건기와 우기를 번갈아 겪는 아프리카의 각종 야생동물도 각각의 생존 법칙을 만들어 살아가죠.

1879년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여 전기를 빛으로 바꾸어 내면서 인류의 야간생활은 대낮과 다를 바 없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평균 수면시간이 최근 100년 사이에 20%정도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현대사회가 에너지를 통해 밤을 낮처럼 환하게 밝혀놓고 얼마나 많은 부가 활동을 전개하는지 알게 합니다.

직장인 역시 야간, 연장업무 심지어 밤샘업무까지 하면서 삶의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애초의 생체리듬과는 상이한 불편부당한 삶을 강제당하며 살고 있습니다. 얼마 전 모 토론회에서는 야간 근무형태가 여성의 유방암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 중 하나라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인정됐다는 토론자의 발표에 아연 놀란 적이 있었습니다. 전체 고용인구의 약 70%에 달하는 사람이 종사하는 서비스산업 노동자에게는 이러한 사실들이 그냥 지나칠 일이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

특히, 대형유통매장에서 일하는 서비스유통노동자(이하 유통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은 앞에서 우려한 조건을 충족하고도 남으니까요. 이들은 대부분이 여성이고 비정규직입니다. 유통업체를 ‘갑’으로 보면 유통노동자는 ‘을’의 관계에 있는 협력업체·하청·판매업체소속이기 때문에 유통업체 영업방침을 무조건 따라야 합니다. 1996년 유통시장이 개방된 이후 급속도로 유통산업이 기형적으로 발전, 재편되었고 국내 유통재벌들이 생겨났습니다.

유통재벌은 국내 시장 선점을 위해 무제한 출점경쟁을 벌였습니다. 그 결과로 백화점과 할인점은 전국적으로 포화상태가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골목상권까지 장악하면서 중소상인들과 심각한 마찰을 빚는 중입니다. 또한 과당경쟁을 일삼으면서 연장, 야간영업을 시도하고 정기 휴점일도 쉬지 않고 문을 여는 연중무휴 영업을 확대하면서 유통노동자의 건강권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c_20091215_907_2136.JPG
▲ 대형유통매장의 영업시간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 지하철 광고. ⓒ 민간서비스연맹


휴식권·주휴일은 그림의 떡


국제노동기구(ILO) 조약 106조는 유통노동자들의 공동 휴식권과 주휴일을 언급했습니다. 한 사업장의 모든 노동자에게 동시에 휴일을 부여하여 공동 휴식권을 보장하고, 국공휴일 등 보통의 시민이 쉬는 날에 주휴일을 주어야한다는 내용입니다. 2004년 우리나라에 주5일제(주 40시간)가 도입되었지만 대형유통업체에서 일하는 유통노동자에게는 꿈같은 이야기이고 그림의 떡입니다. 심지어는 법에서 반드시 쉬도록 한 주휴일도 제때 못 쉬는 일도 발생하니까요.


웅장한 건물과 화려한 인테리어로 치장된 건물 안에서 항상 미소를 지으며 깔끔한 유니폼을 입고 일하는 유통노동자는 바깥에서 바라보면 그런대로 해볼 만한 직업으로 비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하루 종일 서서 일해 하지정맥류 발병률이 높고, 정신없이 고객을 맞이하느라 생리현상을 제때 해결하지 못해 방광염이 발생하기도 하며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항상 웃음으로 고객을 대하는 감정노동으로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도 노출되는 등 겉보기와는 완전 다릅니다. 유통매장의 특수한 환경, 즉 밖을 내다볼 수 없는 사방이 막힌 실내공간과 천정, 판매대, 사방 벽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렬한 조명 빛은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때때로 시력저하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산재왕국이라는 오명으로 뒤집어 쓴 한국. 산업재해하면 주로 중대 재해가 일어나는 제조업을 우선 떠올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제조업 분야인 유통노동자처럼 일상적으로 건강권을 침해당하는 업종(직종)도 있음을 사회가 새롭게 인식하길 바랍니다.


영업시간 제한은 더불어 사는 문화 만드는 일


지난해 민간서비스연맹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대형유통매장에서 하루 종일 서서일하는 여성노동자들에게 의자를 비치하자는 캠페인은 나름대로 성과를 냈습니다. 물론 형식적으로 의자 놓기를 보여준 악덕업체도 늘 존재하지만요. 올해 연맹은 2008년 의자캠페인에 이어 대형유통업체의 연장영업 반대, 영업시간 제한 그리고 주1회 정기휴점제 시행을 위하여 관련법인 유통산업발전법의 올바른 개정을 촉구하는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맹이 주장하는 대형유통업체 영업시간 제한과 주1회 정기휴점제가 도입된다고 유통노동자의 건강권만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각 부문에서 유효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만드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사회구성원 모두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 만들기란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2대 요구

부문

시행 효과

① 영업시간 제한, 규제

또는 적정한 영업시간 도입

(백화점/ 10:30~19:30)

(할인점/ 10:00~22:00)

+

② 주1회 정기휴점제 시행

노동자

서비스노동자들의 공동 휴식권과 건강권 보장 등 삶의 질 향상

유통기업

고유가시대 에너지 절약 효과와 기업의 수익 증대

소비자

(국민)

휴점 시 시설안전 점검으로 방문객들의 안전을 보장

상인

(자영업자)

재래시장 및 중소영세 자영업자 생존권 보장

유통산업

유통업종 내의 불균형 등 양극화 해소

사회문화

과소비문화 조절 및 사회구성원 간의 더불어 사는 인식 고양

국가

공정하고 균형있는 유통산업의 발전을 도모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녹색성장 정책에 기여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 분들, 앞으로 백화점이나 할인점 등 대형유통업체에서 일하는 유통노동자를 만나면 그 숨겨진 고충을 헤아려주시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반가운 표정을 보내주면 어떨까요? 좀 쑥스러울까요??

번호 제목 날짜
499 [속보] 경총은 경거망동 하지 말고 조용히 자숙하며 반성하라! file 2012.04.04
498 [속보] 고인의 명예를 더럽히지 마라 file 2012.04.04
497 [속보] 엘지화학 여수공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file 2012.04.04
496 근로착취공단 file 2012.03.12
495 산재불승인 삼성반도체 직업병 피해자 5명 심사청구 제기 file 2012.03.11
494 개정 1년 산재보험, 전면 개혁 필요하다 file 2012.03.11
» 연장·야간·무휴영업에 무너지는 서비스유통노동자 건강권 file 2012.03.11
492 산업안전보건위원회도 사업주 입맛대로? file 2012.03.11
491 삼성·하이닉스 반도체 공장서 ‘백혈병 유발 의심’ 벤젠 검출 file 2012.03.11
490 질판위 운영 뒤 산재 승인율 뚝! file 2012.03.11
489 진폐브로커 근절위해 일벌백계 필요 file 2012.03.11
488 정부 관심 필요한 군 건축물 석면사용 실태와 제거 file 2012.03.11
487 민, 산재보험 가입자격 없어 이중고 겪어 … 정부는 뒷짐 file 2012.03.11
486 농작업 재해 · 농부증에 무방비 노출된 농민 file 2012.03.11
485 신종플루에서도 차별받는 비정규직노동자 file 2012.03.11
484 쌍용차 노동자 심리상황, 파업 때보다 악화됐다 file 2012.03.11
483 미국 노동안전보건에 밝은 미래 올까? [38] file 2012.03.11
482 산업재해통계, 사회경제요인 반영한 분석 필요하다 [42] file 2012.03.11
481 한국타이어 노동자 집단사망사고, 회사 관리책임 있다 [42] file 2012.03.11
480 디클로로메탄 급성중독 사망재해 발생 [51] file 2012.03.11
479 발암물질 최루액 사용 당장 중지해야 [47] file 2012.03.11
478 직업성 암, 예방 관점의 관리체계 마련하자 [47] file 2012.03.11
477 쌍용자동차, 구조조정 스트레스로 조합원 또 사망 [43] file 2012.03.11
476 사회안전망으로서 산재보험 ‘철학’이 있어야 [38] file 2012.03.11
475 산재보험법 소급적용 위헌, 본질은 소득재분배다 [42] file 2012.03.11
474 일본, 부하직원 괴롭힘으로 발생한 자살 산재인정 [38] file 2012.03.11
473 방송 프로그램 내 안전보건 불감증 퇴출된다 [45] file 2012.03.11
472 석면피해 규모 잡을 감시체계 구축 시급 [51] file 2012.03.11
471 노동부 환경부 석면 정책 어긋났다 [45] file 2012.03.11
470 아시아에서 석면 사용? 앞으로 만만치 않을 듯 [44] file 2012.03.11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