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사진을 인용할 때는 출처를 꼭 밝혀주세요. 특히 상업용으로 쓸 때는 반드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합니다.




c_20110111_1789_4071.jpg

▲ 건설노동자들이 절을 하며 건설노동자의 무탈한 2011년을 빌고 있다. ⓒ 이현정, 일과건강





소한 한파와 여의도 칼바람이 부는 2011년 1월 7일. GS건설이 공사를 주관하는 국제금융센터 공사현장 1번 출구 앞에 커다란 돼지머리를 시작으로 고사상이 차려졌다.


‘2011년 건설노동자 안전기원제’가 열린 이날은 3년 전인 2008년, 이천 냉동물류창고에서 화재가 나 40명의 건설노동자가 산재사망한 날이다.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은 형식에 지나지 않는 안전교육, 무리한 공정진행으로 사망한 이들을 추모하면서 “건설노동자가 죽지 않고 다치지 않고 일할 권리, 건설노동자의 안전권 건강권 쟁취를 위해” 건설노동자 안전기원제를 기획했다. 기원제가 열리는 여의도 국제금융센터 건설현장은 지난 해 4월부터 최근까지 5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곳이기도 하다.


체감온도 영하10도를 밑도는 날씨에도 하루 일당을 포기한 건설노동자 2백여명이 기원제 현장에는 모여 이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현장’이 얼마나 시급한 문제인지 보여줬다. 제사 진행을 맡은 백석근 연맹 위원장은 “오늘의 기원제가 단순한 제사가 아니라 죽음의 고리를 끊어내고 현장을 개선하는” 시작으로 만들자며 “집에서 나온 그대로의 모습으로 퇴근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사업주가 건설현장의 안전보건을 책임지도록” 싸우겠다며 기원제 취지를 전했다. 




c_20110111_1789_4072.jpg

▲ 돼지머리 입과 코, 귀에 건설노동자의 기원을 담은 봉투가 가득 꽂혔다. ⓒ 이현정, 일과건강





건설노동자의 산재사망이 구제역으로 몸살을 앓는 ‘소·돼지’와 비교되기도 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임상혁 소장은 “지금 전국에서 구제역으로 소·돼지가 죽으니까 난리가 나 원 포인트 국회가 제안되고 있다.”며 운을 뗐다. 그는 “건설노동자는 1년에 7백명씩 죽어나가는데 국회에서 원 포인트 하자는 얘길 들어봤냐?”며 건설노동자의 억울한 죽음에 아무런 관심을 갖지 않는 정치권에 쓴 소리를 했다.


민주노동당 홍희덕 국회의원 역시 MB정권이 항상 국격을 얘기하는데, “노동기본권과 안전하게 일할 여건이 잘 보장된 나라가 ‘격’이 있는 국가”라며 정권의 인식전환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위원장인 정혜경 부위원장도 심각한 안전보건 문제를 푸는 노동부의 대책이라는 것이 캠페인뿐인 그들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냐면서 “ 여러분이 소원종이에 적은 염원이 바로 민주노총의 안전보건 사업이 되도록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건설노동자들은 안전기원제를 시작으로 ∇산재사망 기업주 처벌 강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 ∇특수고용노동자 산재보험 완전 적용을 위한 구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음 사진들은 건설노동자 안전기원제 모습이다. 





c_20110111_1789_4073.jpg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4.jpg

▲ 한 노동자가 소원을 적은 종이를 새끼줄에 달고 있다(사진 위). 이렇게 매달린 소지는 부정을 없애고 소원을 비는 뜻을 담고 불살라진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5.jpg

▲ 풍물패의 악기소리로 ‘건설노동자 안전기원제’ 시작을 알렸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6.jpg

▲ 안전기원제 모습. 춥다는 표현이 부족할 정도의 한파였지만 포항, 울산, 광양 등 거리를 마다않고 건설노동자가 참여했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7.jpg

▲ 민주노동당 홍희덕 국회의원이 연대사를 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홍희덕 의원은 위원회 안에서 건설노동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파수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8.jpg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임상혁 소장은 소·돼지를 위해 원포인트 국회를 열면서도 하루 2명씩 죽는 건설노동자를 위해 국회는 무엇을 하냐며 입법부인 국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79.jpg

▲ 건설연맹 백석근 위원장이 다 읽은 축문을 태우고 있다. 축문에는 열악한 건설노동자의 노동환경을 2011년에 ‘확’ 바꿀 수 있도록 힘을 달라는 기원이 담겨 있었다. ⓒ 이현정, 일과건강





"하루 2명씩 죽는데, 우리가 소·돼지보다 못합니까?"

건설산업연맹 지난 7일 국제금융센터 앞서 '제1회 안전기원제' 열어


"구제역으로 국회가 원포인트 국회를 제안하고 전국이 떠들썩합니다. 그런데 건설노동자가 하루에 2명씩 죽어 나가는데도 우리 사회는 아무런 관심이 없습니다. 소·돼지는 억울하게 죽으면 안 되고, 건설노동자는 억울하게 죽어도 되는 겁니까?"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은 지난 7일 오후 건설산업연맹이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 공사장 앞에서 주최한 '제1회 건설노동자 안전기원제'에 참가해 이같이 말했다. 임 소장은 "2008년 1월7일 이천 참사가 발생해 40명의 건설노동자가 죽었지만 건설현장은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이날 행사가 열린 국제금융센터는 GS건설이 공사를 주관하는 곳으로, 지난해 4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5명의 건설노동자가 숨진 곳이다. 연맹은 "건설노동자도 죽지 않고 일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행사를 기획했다"며 "앞으로 발주처와 원청사들이 건설노동자의 안전관리를 책임질 수 있도록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우상원 연맹 노동안전보건 위원장은 “안전기원제를 시작으로 죽음의 건설현장을 가정의 버팀목이 되는 곳으로 만드는 투쟁을 전국에서 진행할 것”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홍희덕 민주노동당 의원은 “건설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나라가 국격이 있는 나라"라며 "환노위 활동을 통해 건설노동자들이 살아서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만들어 내는 파수꾼이 되겠다"고 말했다. 

국제건설목공노련도 연대메시지를 통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선진국이지만 건설노동자들의 작업환경은 OECD 미가입국가들과 똑같다"며 "한국의 노동계가 건설현장을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맹은 앞으로 매년 이천참사가 발행한 1월7일 안전기원제를 열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정혜경 민주노총 부위원장·임준택 건설근로자공제회 본부장·마명하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 근로개선지도과장 등 200여명이 함께했다. 

김은성 기자, 매일노동뉴스






c_20110111_1789_4080.jpg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81.jpg

▲ 홍희덕 의원과 민주노총 정혜경 부위원장(사진 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임상혁 소장이 건설노동자의 안전권과 건강권 확보 기원을 담아 제주를 올리고 돼지머리에 봉투를 넣고 있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82.jpg

▲ 기원제에 참석한 한 여성노동자가 노동가수 박준 노래에 맞춰 힘있게 팔뚝질을 하며 따라 부르고 있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83.jpg

▲ 추위도 건설현장의 모든 불안전 귀신도 떠나보내자며 함성을 지르는 노동자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84.jpg

▲ (왼쪽부터) 플랜트노조, 건설기업노련, 건설노조 위원장은 올 한 해 건설노동자의 안전권과 건강권 쟁취를 위해 함께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이현정, 일과건강





c_20110111_1789_4085.jpg

▲ 건설노동자의 소원을 담은 소지를 불태우고. ‘소지’는 부정(不淨)을 없애고 소원을 비는 뜻으로 얇은 종이를 불살라서 공중으로 올리는 일이나 그 종이를 뜻한다. ⓒ 이현정, 일과건강





그리고 3년의 세월이 흘렀다

조기현

발판도 없는 비계파이프를 타고 오르내리면서 
정해진 시간,정해진 작업물량을 끝내야 한다고
다그치는 그들 앞에서 
이러다가는 사고를 내지 
우리끼리는 웃으면서 말을 주고받으면서도
새벽에 집을 나설 때 가족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리고 3년의 세월이 흘렀다.

부평초처럼 이 현장 저 현장을 떠돌아다니면서
우리는 존재도 이름도 없는 일회용 소모품인지도 모른다.
첫 출근하는 현장마다 안전수칙 서약에 사인하고 
지급받지 않은 안전용품 품목에 지급받았다고 사인하고
현장의 위험요소에 대해 한 마디도 듣지 않았는데
안전교육 사진만 찍히고 그렇게 현장으로 내몰렸다. 

한 순가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던 그때도 그랬을 것이다. 
현장의위험요소와 안전수칙을 알려주고 
최소한의 안전조치만 취했어도
그렇게 많은 생떼같은 목숨들이 
한꺼번에 잿더미로 변하지는 않았을 것인데

어쩌면 우리는 죽음의 세월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내가 아닌 또 다른 내가 지금 이 순간에도 떨어지고, 감전되고, 불에 타고, 바로 눈앞에서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려도 
아! 살아 있어도 죽음보다 못한 현실 속에서 
가족들을 생각하며 또 일을 한다. 

하루의 삶과 하루의 죽음을 바꿔가면서 
그렇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끝도 없는 이 죽음의 행진은 멈춰야 한다. 
하늘같이 믿고 살아가던 가장의 죽음으로 
하루아침에 가정이 파괴되는 비극은 끝나야 한다. 
형식적인 안전조치와 눈가림의 점검이 
천박한 자본의 이윤과 맞닿아 있는 한
건설현장에서 죽음의 재앙은 멈추지 않는다. 

어느 날 
꿈자리가 뒤숭숭했던 재수 없는 어느 날, 
다가왔던 사고가 아니라 
그날은, 사고의 그날은 
이미 어제이고 오늘이고 내일이었다. 

그리고 3년의 세월이 흐른 오늘
무엇이 변했는가 하루에도 두 명씩 
죽어가는 건설현장 무엇이 변했는가.
죽지 않고 일할 권리, 
다치지 않고 일 할 수 있는 현장
눈가림의 안전조치와 싸우고
천박한 자본의 이윤과 맞닿아 있는 현실과 싸우지 않는 한 
내가 아닌 또 다른 내가 죽어가는 이 현실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번호 제목 날짜
559 삼성백혈병 노동자 고 황유미, 고 이숙영님 산재 인정 판결 [1] file 2012.04.08
» 하루 2명씩 죽는 건설노동자 위한 원포인트 국회는 없나? file 2012.04.08
557 “석면피해 건설노동자 급격하게 늘 것” file 2012.04.08
556 홍희덕 의원 “한국타이어 산재사망 은폐” file 2012.04.08
555 건설노동자 석면수첩 발급 10년에 8명 file 2012.04.08
554 사업주 처벌 없으면 백약이 무효 [59] file 2012.04.08
553 여수·광양에 노동부가 운영하는 보건소 필요하다 file 2012.04.08
552 일주일 전 사고지점서 산재사망 발생 [37] file 2012.04.08
551 “26년 만에 첨 이랑께!” file 2012.04.08
550 "사표 썼으니 삼성사람 아닙니다. 백혈병은 알아서…" file 2012.04.08
549 “여수는 혈액계암, 광양은 호흡기계암 발생률 높다” file 2012.04.08
548 발암물질 진단, 게 뭐꼬? file 2012.04.08
547 매일 3100종의 화학물질 뿌리는 당신 [1] file 2012.04.08
546 WHO 10대 유해물질 줄이기 제안해 file 2012.04.08
545 전남도지사·여수·광양시장 후보, 발암물질 관심 많다 file 2012.04.08
544 심야노동 근무자 유방암 발병 1년에 2천명 file 2012.04.08
543 불명확한 형사처벌 법률 규정 구체화 해라 file 2012.04.08
542 석면조사 안하고 공사? 벌금 쾅쾅쾅! [1] file 2012.04.08
541 비계공 석면 폐암 인정…국내 첫 사례 [1] [44] file 2012.04.08
540 서울메트로, 홀로 당직 서던 30대 초반 노동자 돌연사 [2] file 2012.04.08
539 현대건설 관급공사 현장 두 번째 산재사망 발생 [16] file 2012.04.08
538 모든 장치에 발암물질 존재 태그 부착하자 file 2012.04.08
537 삼성전자 퇴직노동자 뇌종양 산재신청, 불승인 file 2012.04.08
536 선진국 노동자들이 산재승인에 목매지 않는 이유 2012.04.08
535 “법원이 제대로 판단해 달라” file 2012.04.08
534 [헤드라인] 원진레이온 故김봉환 노동자를 기억하십니까? file 2012.04.08
533 [헤드라인] 우울증상과 함께 달리는 버스 · 택시노동자 file 2012.04.08
532 [헤드라인] 유급병가 보장해 사업장 내 감염확산 막자 file 2012.04.08
531 [업종] 사고다발 공정은 휴일노동 금지해야 file 2012.04.08
530 [헤드라인] 사업장에 신종플루 예방 · 관리 체계 만들자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