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사진을 인용할 때는 출처를 꼭 밝혀주세요. 특히 상업용으로 쓰실 때는 반드시 사전협의를 거쳐 사용해야 합니다.




c_20100309_1128_2576.jpg

ⓒ 일과건강






산재사망 재판하던 판사가 위헌심판 제청

헌법재판소는 2010년 2월 25일 구 산업안전보건법 제69조 제1호 중 제10조 제1항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결정하였다. 이 조항은 사업주가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한 사항을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지 않을 경우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한 것이다.




[심판대상 조항]


구 산업안전보건법(1996. 12. 31. 법률 제5248호로 개정되고, 2009. 2. 6. 법률 제9434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




제69조 (벌칙)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보고를 한 자




제10조 (보고의 의무) ① 사업주는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이 사건은 원래 초고압 송전선이 지나는 전신주에서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전류에 감전되어 사망한 사고를 사업주가 노동부에 보고하지 않은 것이 발단이었다. 사업주는 산안법 조항에 따라 기소돼 재판을 받았는데, 담당판사가 위 조항에 위헌성이 있다고 보고 헌법재판소에 위헌심판을 요청하였다.


법률에 처벌 행위 · 범위 등 명확하게 제시하란 뜻


헌법재판소는 이 조항이 헌법상 죄형법정주의와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을 위반하여 위헌이라고 결정하였다.


죄형법정(罪形法定)주의란 범죄(罪)와 형(形)벌을 법(法)률로 정(定)한다는 뜻이다. 누구든지 법률조항만으로 그 법률이 처벌하는 행위가 무엇이며 그 형벌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도록 법률내용이 명확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이란 법률이 처벌내용을 시행령(국회가 만든 법률을 집행하기 위해 정부대표인 대통령이 제정하는 하위법령)이나 시행규칙(법률과 시행령을 집행하기 위해 각부 장관이 제정하는 하위법령) 등 하위 법규로 정할 때는 포괄하여 위임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즉 법률이 처벌내용을 하위법규에 위임하려면 부득이한 경우에 한정하되, 그럴때도 처벌대상 행위가 어떤 것인지 대강의 내용과 형벌 종류 및 상한과 폭을 법률에서 명백히 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국민을 처벌하려면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서 만든 법률조항이 있을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회가 만든 법률을 집행하는 기관일 뿐 처벌여부나 처벌 범위 등의 기준을 스스로 정할 수 없다는 것이 헌법이 정한 삼권분립의 정신이다. 


구 산안법 조항은 사업주가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보고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보고를 한 경우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하는 규정이다. 그런데 헌법재판소는 위 “명령”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불명확하고, 또한 법에 따른 “명령”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의 구체 내용이 법률에서 전혀 정해지지 않아 그 내용이나 종류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결국 이 조항은 국민이 그 내용을 예측하여 자신의 행위를 결정하기 어렵게 하므로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된다고 하였다.


한편 이 조항은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범죄행위를 정하면서도 단지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보고를 한” 경우에 처벌한다고만 할 뿐, “이 법 또는 이 법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 어떠한 것인지 법률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전혀 정하지 않았다. 이처럼 처벌대상을 모두 하위법령인 노동부령에 포괄하여 백지위임 한 것은 헌법상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된다.


사업주의 중대재해 보고의무는 여전히 유효


그런데 위 산안법 조항은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이 나기 전에 모두 개정되었다.


 산업안전보건법(2009. 2. 6. 법률 제9434호로 개정된 것)

제10조 (산업재해 발생 기록 및 보고 등) ①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재해발생원인 등을 기록ㆍ보존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라 기록한 산업재해 중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에 대하여는 그 발생 개요ㆍ원인 및 보고 시기, 재발방지 계획 등을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1조에 따른 요양급여 또는 같은 법 제62조에 따른 유족급여를 신청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2조 (과태료)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10조제2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





현행 산안법도 구 산안법처럼 사망이나 4일 이상 요양을 요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는 1월 이내에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다만 현행 조항은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가 사고 개요ㆍ원인 및 보고 시기, 재발방지 계획 등 구체 보고내용을 법률에서 정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어길 경우 형벌이 아닌 과태료 부과라는 행정처분(과태료 부과는 형벌이 아니므로 죄형법정주의와 관계 없다)을 하게 해 죄형법정주의와 포괄위임금지원칙을 지키고 있다.


헌법재판소에서 구 산안법 조항을 위헌결정 한 것은 사업주가 중대재해를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한 것이 잘못이라는 게 아니라, 보고하지 않은 사업주를 형사처벌하면서 그 내용을 법 자체에서 엄격하게 정하지 않은 것이 잘못이라는 뜻이다. 현행 산안법은 이미 헌법에 맞게 개정되어 시행 중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중대재해를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지 않는 사업주는 법률에 따라 처벌될 것이다. 











번호 제목 날짜
559 삼성백혈병 노동자 고 황유미, 고 이숙영님 산재 인정 판결 [1] file 2012.04.08
558 하루 2명씩 죽는 건설노동자 위한 원포인트 국회는 없나? file 2012.04.08
557 “석면피해 건설노동자 급격하게 늘 것” file 2012.04.08
556 홍희덕 의원 “한국타이어 산재사망 은폐” file 2012.04.08
555 건설노동자 석면수첩 발급 10년에 8명 file 2012.04.08
554 사업주 처벌 없으면 백약이 무효 [59] file 2012.04.08
553 여수·광양에 노동부가 운영하는 보건소 필요하다 file 2012.04.08
552 일주일 전 사고지점서 산재사망 발생 [37] file 2012.04.08
551 “26년 만에 첨 이랑께!” file 2012.04.08
550 "사표 썼으니 삼성사람 아닙니다. 백혈병은 알아서…" file 2012.04.08
549 “여수는 혈액계암, 광양은 호흡기계암 발생률 높다” file 2012.04.08
548 발암물질 진단, 게 뭐꼬? file 2012.04.08
547 매일 3100종의 화학물질 뿌리는 당신 [1] file 2012.04.08
546 WHO 10대 유해물질 줄이기 제안해 file 2012.04.08
545 전남도지사·여수·광양시장 후보, 발암물질 관심 많다 file 2012.04.08
544 심야노동 근무자 유방암 발병 1년에 2천명 file 2012.04.08
» 불명확한 형사처벌 법률 규정 구체화 해라 file 2012.04.08
542 석면조사 안하고 공사? 벌금 쾅쾅쾅! [1] file 2012.04.08
541 비계공 석면 폐암 인정…국내 첫 사례 [1] [44] file 2012.04.08
540 서울메트로, 홀로 당직 서던 30대 초반 노동자 돌연사 [2] file 2012.04.08
539 현대건설 관급공사 현장 두 번째 산재사망 발생 [16] file 2012.04.08
538 모든 장치에 발암물질 존재 태그 부착하자 file 2012.04.08
537 삼성전자 퇴직노동자 뇌종양 산재신청, 불승인 file 2012.04.08
536 선진국 노동자들이 산재승인에 목매지 않는 이유 2012.04.08
535 “법원이 제대로 판단해 달라” file 2012.04.08
534 [헤드라인] 원진레이온 故김봉환 노동자를 기억하십니까? file 2012.04.08
533 [헤드라인] 우울증상과 함께 달리는 버스 · 택시노동자 file 2012.04.08
532 [헤드라인] 유급병가 보장해 사업장 내 감염확산 막자 file 2012.04.08
531 [업종] 사고다발 공정은 휴일노동 금지해야 file 2012.04.08
530 [헤드라인] 사업장에 신종플루 예방 · 관리 체계 만들자 file 2012.04.08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