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산 근로자건강센터를 다녀오다

 

: 또바기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경산시_4.jpg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산업 재해 예방전문기관,

경산 근로자건강센터 개소

 

지난 730일 경북 경산 진량공단 내에 경산 근로자건강센터가 개소했다. 근로자건강센터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와 작업환경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산업 재해 예방전문기관이다. 경산 산업 단지를 비롯한 지역 근로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안전보건공단의 지원으로 한국산업간호협회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경북 동남권 지역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업무상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 프로그램 등을 무료로 진행한다. 경산 근로자 건강센터가 개소함에 따라 전국 20여 곳에 소규모사업장 근로자 대상 무료건강서비스 지원센터가 구축되었다.

 

보건관리자 선임 의무가 없는 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재해율,

300인 이상 사업장의 5배 이상 높아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은 보건관리자 선임 의무가 법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규모 사업장에는 보건관리자를 두지 않고 있다. 또한 시간적·경제적으로 직업건강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어렵다. 스스로 건강을 지켜야 하는 이들은 산업재해에도 더 취약하다.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재해율은 0.86% 정도다. 이는 우리나라 평균 재해율 0.59%보다 높으며, 300인 이상 사업장의 재해율 0.18%보다 5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경산시_2.jpg



최근 경산시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또 근처 다른 지역에 비해 산재율과 이환율은 높다. 이 같이 건강보건 서비스의 사각지대가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의 기대와 요구에 의하여 경상북도 내에서는 구미 다음으로 경산에 근로자건강센터를 개소된 것이다.


경산시_1.jpg

 

취약 노동자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힘써야 할 때

 

센터 관계자는 보호구 착용법조차 제대로 모르고 일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고 말했다. 길게는 수십년을 일해왔지만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탓이다. 지난해 총 108000여명이 전 지역의 근로자건강센터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대부분이 장년 근로자, 외국인,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 등 취약계층이었다. 2회 이상 방문자의 이용 전후를 비교한 결과, 작업 환경 인식이 88.5% 향상됐고 직무 스트레스 개선율은 65.7%에 이르렀다. 또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는 3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 방문객들은 특히 무료로 건강상담을 해준다는 점에 만족감을 표했다.

 

 

경산은 특히 외국인과 장년층의 건강문제에 중점을 두어

 

경산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구지역본부 관할 내의 외국인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또 최근 경산시 내의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경산 근로자건강센터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건강관리, 50세 이상 근로자 건강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또 경산 지역의 소규모 사업장과 우리 회사 건강파트너협약을 맺고 있다. 협약을 맺을시 근로자건강센터에서 사업장에 대한 맞춤형 보건관리를 지원한다. 아직 개소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인지 2015911일 기준 총 10개의 협약이 맺어진 상태다.

앞으로 경산 근로자건강센터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고, 모든 노동자가 건강권을 지킬 수 있도록 일조하기를 바란다.

 

경산근로자건강 센터는?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공단7126 경산시근로자복지회관 2

전화번호 : 053-853-8579

 

5일 운영, AM 9:00~ PM 9:00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누구나 근로자건강센터의 직업 건강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 사업장에서 상담교육을 신청하면 사전예약을 받아 방문서비스도 제공한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기관사 안전에도 ‘정시율’이 필요하다

    기관사 안전에도 ‘정시율’이 필요하다 글 : 홍윤태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지난 6월 14일 (화) 오후 3시 서울시의회 회의실에서 기관사 자살실태와 해결방안 토론회 ‘그들은 왜 스스로 목숨을 끊었나’가 진행되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서울시의회 민생실천위원회에서 주최한 이 토론회에서는 사태 진단, 원인 분석, 대책평가와 조언에 이르기 까...
    Date2016.06.29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2. [대학생 기자단]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직접 체험하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직접 체험하는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 다녀와서 글 : BLISS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1995년 4월 28일 대구의 상인동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공사 중 가스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리고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
    Date2015.11.17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3. [대학생 기자단] 열악한 버스기사 근무 환경 개선해야…

    열악한 버스기사 근무 환경 개선해야… 글 : 대학생 기자단 또바기조 지난 10월 18일 부산의 한 교차로에서 시내버스와 화물차가 정면 충돌해 버스기사와 승객 17명이 부상당했다. 이어 10월 21일에는 춘천에서 1톤 트럭이 시내버스를 들이받아, 12명이 부상을 입었다.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대중교통 버스의 사고는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
    Date2015.11.04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4. [대학생기자단] 안전한 추석나기

    안전한 추석나기 Have a safe Korean thanks giving day. 글 : BLISS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입니다. 높고 맑은 하늘과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철에는 야외활동이 잦아지는데요, 특히 민족대명절 한가위에는 벌초를 위해 고향을 찾거나 가까운 공원을 찾아 성묘를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벌초 시 발생하는...
    Date2015.09.22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5. [대학생 기자단] 경산 근로자건강센터를 다녀오다

    경산 근로자건강센터를 다녀오다 글 : 또바기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산업 재해 예방전문기관, 경산 근로자건강센터 개소 지난 7월 30일 경북 경산 진량공단 내에 ‘경산 근로자건강센터’가 개소했다. 근로자건강센터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와 작업환경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산업 재해 ...
    Date2015.09.14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6. [대학생 기자단] 예방대책만 제대로 되었다면 막을 수 ...

    예방대책만 제대로 되었다면 막을 수 있었던, 동대구역 환승센터 붕괴사고 글 : BLISS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동대구역 환승센터 붕괴사고> ․ 일시 : 2015년 7월 31일 오전 11시6분 ․ 장소 : 대구시 동대구역 환승복합센터 ․ 사고 경위 : 환승복합센터 지하 6층 바닥 레미콘 타설 작업 중 전체 2만1000㎡에서 거푸집 역할을 하는 89㎡의 덱 플레이트...
    Date2015.09.01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7. [대학생 기자단] ‘우리동네 위험지도’ 앱 활용기

    [대학생 기자단] ‘우리동네 위험지도’ 앱 활용기 ‘우리동네 위험지도’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글 : 또바기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곳 근처엔 어떤 작업장이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 어떤 물질이 취급되고 있고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관련 전문가나 종사자가 아니고서는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한 ...
    Date2015.08.04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8. [대학생 기자단] 아르바이트생의 감정노동 실태

    [대학생 기자단] 아르바이트생의 감정노동 실태 따뜻한 말 한마디면 됩니다. 글 : 미쁘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2014년 대학생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3개월 이상 근무한 아르바이트 직종은 외식업‧서비스직 55.1%, 매장관리‧판매 30.4%, 고객상담‧텔레마케터 8.7% 등 감정노동과 관련된 직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
    Date2015.08.04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9. [대학생기자단] 대구 영남도금 사고, 그 이후

    대구 영남도금 사고, 그 이후 -2014년 영남도금 화학물질 누출 사고 후 개선방안 글 : BLISS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영남도금 염소산가스 누출 사고> 일시 : 2014년 12월 10일 낮 12시 23분 장소 : 대구시 달서구 갈산동 도금공장 영남도금 사고 경위 : 탱크로리 기사(나모·46)가 염소탱크에 주입해야 할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황산탱크에 주입하면서 ...
    Date2015.08.04 Category대학생 기자단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