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제 과로·스트레스

상식과무기1.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by 일과건강 posted Apr 01,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06년 기획교육 부록으로 소개된 것입니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설문지는 기본형과 단축형이 있습니다. 설문지와 함께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PDF 파일을 열어주세요.

2006년 10월 노동안전보건교육센터 기획교육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교대노동> 교육자료 부록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1.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내용

(1) 기본형 측정도구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는 8개의 하부영역의 총 43개 항목의 설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의미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① 물리환경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의 오염, 신체부담 등

② 직무요구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업무중 중단,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등

③ 직무자율

기술적 재량 및 자율성, 업무예측가능성, 직무수행권한 등

④ 관계갈등

동료의 지지, 상사의지지, 전반적지지 등

⑤ 직무불안정

구직기회, 고용불안정성 등

⑥ 조직체계

조직의 정략 및 운영체계, 조직의 자원, 조직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통 등

⑦ 보상부적절

존중, 내적동기, 기대 부적합 등

⑧ 직장문화

한국적인 집단주의적 문화,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


 

■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점수 산출방법(기본형)

각 영역별 환산점수 = (실제점수 - 문항수)×100/(예상가능한 최고점수 - 문항수)

직무스트레스 총 점수 = (각 8개 영역의 환산점수의 총합)/8

<「물리환경」점수 산정방식의 예>

설 문 내 용

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

4

3

1

내 일은 위험해서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2

3

4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해야 한다.

1

3

4

* 물리환경 단순 산출식(단순점수) = 2 + 1 + 2 = 5

합산된 점수(5)-문항수(3)

항목별최고점수(12)-문항수(3)

* 환산점수 = × 100 = 22.2

(2) 단축형 측정도구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기본형 측정도구 43문항은 문항수 및 설문내용이 다소 많아,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도구가 단축형 측정도구 이다.

① 직무요구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업무중 중단,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등

② 직무자율

기술적 재량 및 자율성, 업무예측가능성, 직무수행권한 등

③ 관계갈등

동료의 지지, 상사의지지, 전반적지지 등

④ 직무불안정

구직기회, 고용불안정성 등

⑤ 조직체계

조직의 정략 및 운영체계, 조직의 자원, 조직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통 등

⑥ 보상부적절

존중, 내적동기, 기대 부적합 등

⑦ 직장문화

한국적인 집단주의적 문화,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



■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점수 산출방법(단축형)

각 영역별 환산점수 = (실제점수 - 문항수)×100/(예상가능한 최고점수 - 문항수)

직무스트레스 총 점수 = (각 7개 영역의 환산점수의 총합)/7

 


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평가


(1)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기본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기본형)

* 현재 일하면서 귀하의 생각이나 느낌에 가장 가까운 곳에 “∨” 표를 해 주십시오.

구분

내 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물리환경

1.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

4

3

2

1

2. 내 일은 위험하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1

2

3

4

3.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일을 해야 한다.

1

2

3

4

직무

요구

4. 나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

1

2

3

4

5.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 받는다

1

2

3

4

6.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

2

3

4

7. 나는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할 부담을 안고 있다.

1

2

3

4

8. 내 업무는 장시간 동안 집중력이 요구된다.

1

2

3

4

9.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진다.

4

3

2

1

10. 일이 많아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

1

2

3

4

11. 여러 가지일을 동시에 해야 한다.

1

2

3

4

직무

자율

12.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

4

3

2

1

13. 업무관련 사항(업무의 일정, 업무량, 회의시간 등)이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정해지거나 바뀐다.

1

2

3

4

14.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

4

3

2

1

15. 작업시간, 업무수행과정에서 나에게 결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4

3

2

1

16.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4

3

2

1

관계

갈등

17.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8.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9.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

4

3

2

1

20. 직장생활의 고충을 함께 나눌 동료가 있다.

4

3

2

1

내 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직무

불안

21. 지금의 직장을 옮겨도 나에게 적합한 새로운 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4

3

2

1

22. 현재의 직장을 그만두더라도 현재 수준만큼의 직업 (직장)을 쉽게 구할 수 있다.

4

3

2

1

23.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

1

2

3

4

24. 나의 직업은 실직하거나 해고당할 염려가 없다.

4

3

2

1

25. 앞으로 2년 동안 현재의 내 직업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1

2

3

4

26.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예, 구조조정)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

2

3

4

조직

체계

27. 우리 직장은 근무평가, 인사제도(승진, 부서배치 등)가 공정하고 합리적이다.

4

3

2

1

28.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시설, 장비,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4

3

2

1

29. 우리 부서와 타 부서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4

3

2

1

30. 근로자, 간부, 경영주 모두가 직장을 위해 한마음으로 일을 한다.

4

3

2

1

31.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

4

3

2

1

32. 나의 경력개발과 승진은 무난히 잘 될 것으로 예상한다.

4

3

2

1

33. 내 현재 직위는 나의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다.

4

3

2

1

보상

부적

34. 나의 직업은 내가 평소 기대했던 것에 미치지 못한다.

1

2

3

4

35.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내 봉급/수입은 적절하다.

4

3

2

1

36.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

4

3

2

1

37. 나는 지금 하는 일에 흥미를 느낀다.

4

3

2

1

38.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

4

3

2

1

39.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4

3

2

1

직장

문화

40. 회식자리가 불편하다.

1

2

3

4

41. 나는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

1

2

3

4

42.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이고 수직적이다.

1

2

3

4

43. 남성,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1

2

3

4

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기본형 참고치


■ 남자용

항 목

본인

점수

회사

평균

참고치

점수의 의미

하위25%

하위

50%

상위

50%

상위25%

물리환경

33.3이하

33.4~44.4

44.5~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물리환경이 상대적으로 나쁘다

직무요구

41.6이하

41.7~50.0

50.1~58.3

58.4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자율

46.6이하

46.7~53.3

53.4~60.0

6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관계갈등

-

33.3이하

33.4~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

불안정

44.4이하

44.5~50.0

50.1~61.1

61.2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조직체계

42.8이하

42.9~52.3

52.4~61.9

62.0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보상

부적절

55.5이하

55.6~66.6

66.7~77.7

77.8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직장문화

33.3이하

33.4~41.6

41.7~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기본형

총점

45.0이하

45.1~50.7

50.8~56.5

56.6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 여자용

항 목

본인

점수

회사

평균

참고치

점수의 의미

하위25%

하위

50%

상위

50%

상위25%

물리환경

33.3이하

33.4~44.4

44.5~55.5

55.6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물리환경이 상대적으로 나쁘다

직무요구

41.6이하

41.7~54.1

54.2~62.5

62.6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자율

53.3이하

53.4~60.0

60.1~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관계갈등

-

33.3이하

33.4~41.6

41.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불안정

38.8이하

38.9~50.0

50.1~55.5

55.6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조직체계

42.8이하

42.9~52.3

52.4~61.9

62.0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보상부적절

55.5이하

55.6~66.6

66.7~77.7

77.8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직장문화

33.3이하

33.4~41.6

41.7~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기본형총점

49.5이하

49.6~51.1

51.2~56.6

5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② 참고치 및 점수의 의미

ㅇ 참고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표는 대상 근로자의 실제점수와 회사(또는 부서) 평균점수 및 전국 근로자의 4분위수를 제시한 것으로 대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를 비교할 수 있다.

※ 참고치 상위25% : 전국 근로자중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위 25%에 해당하는 점수를 나타냄

ㅇ 점수의 의미

각 항목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참고치의 점수가 낮은 방향으로의 관리가 필요하다.



(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

* 현재 일하면서 귀하의 생각이나 느낌에 가장 가까운 곳에 “∨” 표를 해 주십시오.

구분

내 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직무 요구

1. 나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

1

2

3

4

2.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

2

3

4

3.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진다.

4

3

2

1

4. 여러 가지일을 동시에 해야 한다.

1

2

3

4

직무 자율

5.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

4

3

2

1

6.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

4

3

2

1

7. 작업시간, 업무수행과정에서 나에게 결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4

3

2

1

8.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4

3

2

1

관계 갈등

9.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0.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1.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

4

3

2

1

직무불

안정

12.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

1

2

3

4

13.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예, 구조조정)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

2

3

4

조직 쳬계

14. 우리 직장은 근무평가, 인사제도(승진, 부서배치 등)가 공정하고 합리적이다.

4

3

2

1

15.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시설, 장비,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4

3

2

1

16. 우리 부서와 타 부서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4

3

2

1

17.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

4

3

2

1

보상 부적 절

18.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

4

3

2

1

19.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

4

3

2

1

20.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4

3

2

1

직장 문화

21. 회식자리가 불편하다.

1

2

3

4

22. 나는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

1

2

3

4

23.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이고 수직적이다.

1

2

3

4

24 남성,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1

2

3

4

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단축형 참고치



■ 남자용

항 목

본인

점수

회사

평균

참고치

점수의 의미

하위25%

하위

50%

상위

50%

상위25%

직무요구

41.6이하

41.7~50.0

50.1~58.3

58.4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자율

41.6이하

41.7~50.0

50.1~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관계갈등

-

33.3이하

33.4~44.4

44.5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

불안정

33.3이하

33.4~50.0

50.1~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조직체계

41.6이하

41.7~50.0

50.1~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보상

부적절

33.3이하

33.4~55.5

55.6~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직장문화

33.3이하

33.4~41.6

41.7~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기본형

총점

42.4이하

42.5~48.4

48.5~54.7

54.8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 여자용

항 목

본인

점수

회사

평균

참고치

점수의 의미

하위25%

하위

50%

상위

50%

상위25%

직무요구

50.0이하

50.1~58.3

58.4~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자율

50.0이하

50.1~58.3

58.4~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관계갈등

-

33.3이하

33.4~44.4

44.5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직무불안정

-

33.3이하

33.4~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조직체계

41.6이하

41.7~50.0

50.1~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보상부적절

44.4이하

44.5~55.5

55.6~66.6

66.7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직장문화

33.3이하

33.4~41.6

41.7~50.0

50.1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기본형총점

44.4이하

44.5~50.0

50.1~55.6

56.0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활용상의 제한점

ㅇ 본 측정도구는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상대적인 평가도구로서 집단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나, 개인에 대한 절대평가도구로는 사용을 제한함.

ㅇ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참고치는 각 영역별로 나타난 점수의 의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총점 사용은 가능한 한 제한함.


Articles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