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노동
2019.11.13 17:13

‘서울시, 노동속 감정을 꺼내다’

조회 수 1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울시, 노동속 감정을 꺼내다’

지난 11월 5일 (화) 오후 2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서울시, 노동속 감정을 꺼내다’가 열렸다. ▶ 제1부 서울 감정노동컨퍼런스 ▷ 감정노동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감정노동토크쇼 <감정스위치 ON!> ▷ 감정체크 심리상담 부스 운영 ▶제1부 감정노동힐링문화제 순으로 진행됐다. 

감정노동.jpg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감정노동토크쇼 <감정스위치 ON!>에 패널로 참여했다. 감정노동자에 대한 사회인식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다. 감정노동 평가제도, 직장 내 괴롭힘 조사결과, 한국의 감정노동보호 흐름과 활동 등을 공유했다.

또한 '감정노동자 노동 존중 선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감정노동자들의 기본 권리 보장과 피해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과 서울시가 협력을 약속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행사는 지난해 10월 18일 '감정노동자보호법(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의2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이 시행된 지 1년을 기념해 마련됐다. 

서울시에 따르면 콜센터 노동자, 승무원을 비롯하여 현재 전국의 감정노동자 규모는 약 740만 명, 이들 중 35%인 260만 명이 서울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감정노동자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나서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

활동포커스

일과건강이 집중 활동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1. [표창원이 만난 사람] 손님은 왕이다? 우리 곁의 감정노동자들

  2. 13Nov
    by 관리자
    2019/11/13 in 감정노동

    ‘서울시, 노동속 감정을 꺼내다’

  3. 2019 감정노동자 보호와 괴롭힘 실태조사 결과발표 기자회견

  4. 한국 간호사의 노동실태와 과제 - 병원노동자에게 감정노동자 보호규제

  5. 보호하지 못하는 감정노동자 보호 매뉴얼

  6. 감정노동자 보호법 시행과 보호제도 정착을 위한 토론회

  7. 10년 가까이 문제제기 되어 온 ‘감정노동자 보호’ 진짜 시작되나?

  8. 「감정노동자 보호법」 추진 현황과 쟁점

  9. 감정노동자, 우리의 가족과 이웃입니다.

  10. 감정노동자 보호 버리고 노동개악법 밀어붙이는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인가?

  11. 감정노동자보호입법을위한네트워크 2015 상반기 캠페인

  12. KTX여승무원 감정노동 정신질환 산재 판정의 의의

  13. 감정노동자 VS 소비자, 윈윈할 수 있다

  14. 어느 법에서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서비스 노동자의 고객 폭력 스트레스를 예방해야 한다

  15.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법률개정안 통과를 촉구 기자회견

  16. [기자회견문] 고객에게 뺨 맞고 사업주에게 괴롭힘당하는 불법도급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을 자살로 내몰지 마라!

  17. "감정노동자 인권보호 위한 법·제도 마련 시급"

  18. [헤드라인] 고객에게 뺨맞고 내부에서 질책받는 서비스노동자…감정노동 관련 질환 심각

  19. 우리도 감정이 있는 노동자 입니다

  20. 고객감동경영은 서비스노동자들의 눈물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Name
E-mail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